|
순위 | 국가명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
| 총계 | 193,111 | 23.3 | 208,182 | 7.8 | 210,018 | 0.9 |
1 | 미국 | 66,988 | 19.4 | 68,845 | 2.8 | 73,458 | 6.7 |
2 | 대만 | 58,950 | 10.2 | 63,249 | 7.3 | 55,153 | △12.8 |
3 | 헝가리 | 7,895 | 76.0 | 17,776 | 79.3 | 17,737 | △0.2 |
4 | 이탈리아 | 7,916 | △27.2 | 10,833 | 4.6 | 13,797 | 27.4 |
5 | 독일 | 2,551 | 93.1 | 6,120 | 37.8 | 8,700 | 42.1 |
6 | 슬로바키아 | 1,435 | △59.6 | 2,623 | 1.9 | 3,242 | 23.6 |
7 | 불가리아 | 1,640 | 11,030.1 | 284 | △82.7 | 2,949 | 1,123.2 |
8 | 한국 | 3,545 | 45.4 | 4,532 | 27.8 | 2,249 | △50.4 |
9 | 일본 | 2,351 | 136.2 | 1,283 | △45.4 | 1,531 | 19.3 |
10 | 영국 | 1,802 | △20.9 | 1,400 | △22.3 | 1,310 | △6.4 |
자료: KITA
ㅇ 대한 수입규모
- 한국은 중국의 피트니스용품 10대 수입국 중 하나이며, 2017년까지는 전체 수입 시장의 약 2%를 차지하였으나, 2018년 수출금액이 224만 9천달러로 전년 대비 50.4% 감소하면서 전체 수입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 수준으로 떨어짐.
최근 10년 간 중국 피트니스용품(HS Code: 950691) 대한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자료: KITA
□ 경쟁동향
ㅇ 주요 브랜드
브랜드명 | 소개 |
잉파이스 (英派斯)
| - 본사 소재지: 대만(台湾) - 특징: 1974년에 대만에서 설립됨. 주로 유럽 지역으로 수출하다가 2004년에 중국 칭다오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여 피트니스용품 생산과 판매를 시작함. 주요 헬스클럽 및 피트니스 전문시설을 운영하며 관련 용품 판매 중. 최근에는 인터넷 혁신기술을 응용한 스마트 피트니스 기구 등을 연구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impulsefitness.com |
수화 (舒华)
| - 본사 소재지: 중국 푸젠성(福建省) - 특징: 1996년에 설립된 피트니스용품 연구개발 및 생산 판매를 진행하는 제조기업임. 현재 중국 푸젠(福建)과 허난(河南)에 총 3개의 생산기지를 보유하고 있음. O2O판매 시스템을 구축하여 구미, 중동, 동남아 등 전 세계 80여개 국가와 지역에 판매망을 구축함. - 홈페이지: www.shuhua.cn |
쵸산 (乔山) | - 본사 소재지: 대만(台湾) - 특징: 1975년에 설립된 피트니스 운동기구 전문 제조 판매기업으로 2000년에 중국 상하이에 진출함. 가성비 높은 런닝 머신 제품으로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으며, 현재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18개 국가에 판매망을 구축함. 대만과 상하이에 생산 기지를 보유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johnsonfitness.com.cn |
하오쟈팅 (好家庭)
| - 본사 소지재: 중국 광둥성(广东省) - 특징: 1994년에 설립되어 전문 피트니스용품의 연구개발, 디자인, 생산, 판매 등 수직 계열화를 구축함. 중국 전역에 자체 브랜드 체인점을 운영하여 제품을 유통하고 있으며, 운동 기구 관련 정부 입찰 구매 등 시장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goodfamily.cc |
완니엔칭 (万年青) | - 본사 소재지: 중국 상하이(上海)
- 특징: 1989년에 설립되어 전문 피트니스용품을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현재 미국, 이탈리아, 영국, 터키, 인도 등 국가에 수출하고 있음. 주력 제품으로는 런닝머신, 헬스싸이클, 근력 운동용품 등이 있음.
- 홈페이지: www.wnq.com |
아오뤼터 (澳瑞特) | - 본사 소재지 : 중국 산시성(山西省) - 특징: 1991년에 설립되어 전문 유산소, 근력운동, 실외에 사용되는 600여 종의 피트니스용품을 생산하여 헬스클럽, 호텔, 아파트 단지, 공원 등에 납품함. 현재 미국, 호주, 유럽, 중동, 동남아 등 전세계 60여 개 국가에 수출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cn-orient.com |
자료: 十大品牌网
ㅇ 현재 중국 시중에 판매되는 한국 수입 피트니스 용품은 KAESUN, STEX, Anyfitness, kus 등의 브랜드가 있음.
□ 유통구조
ㅇ 피트니스용품의 주요 유통채널은 온라인일 경우 티몰, 징둥, 타오바오 등이 있고, 오프라인일 경우 백화점, 피트니스용품 전문점, 헬스장 등이 있음.
유통구조
자료: KOTRA 항저우무역관 자체 정리
□ 관세율 및 수입규제
ㅇ 관세율
- 2019년 피트니스용품(HS Code: 950691)의 최혜국 세율은 6%, 한중FTA 세율은 5 %임.
- 해당 품목은 한중FTA 협정에 근거해 협정 발효일을 시작으로 10단계에 걸쳐 매년 균등 철폐함으로써 이행 10년차인 2024년 1월 1일부터 무관세 혜택을 받게 됨.
피트니스용품(HS CO DE 950691) 관세율 비교
2019 MFN | 2019 APTA | 2019 한중 FTA | 보통 세율 |
6% | - | 5% | 50% |
자료: 중국 관세청
ㅇ 수입규제
- '강제성 제품인증 필요 제품 리스트'에 속한 피트니스용품은 반드시 중국 3C 인증을 받아야 함.
명칭 | CCC(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
인증구분 | 강제 |
일반사항 | '강제성 제품인증 필요 제품 리스트'에 속한 재활기기는 반드시 중국 3C 인증을 받아야 함. |
절차 | 신청서 제출▶자료심사▶샘플제출▶샘플측정▶공장심사▶합격평정▶인증서 취득▶사후 감독 |
준비서류 | ① 인증신청서(신청기업의 직인 및 신청인(연락담당자) 필요) ② 신청인, 제조업체와 생산공장의 영업허가증, 조직기구 증서 ③ 대리 권한 부여 통지(대리회사를 통해서 인증절차를 진행할 때) ④ 상표등록증명(상표가 있을 경우) 혹은 상표사용위임장 ⑤ 공장점검조사표(최초 신청, 또는 추가로 상품 인증 신청 시) ⑥ 라벨 ⑦ 설명서 ⑧ 부품리스트(Word 형식) ⑨ 부품인증서 ⑩ 비금속재료 정보 ⑪ 모델별 차이점 설명(여러 종류 모델을 동시에 신청한 경우 작성 필요) ⑫ 기계샘플 사진 ⑬ 전기회로도(혹은 원리도) ⑭ 조립도 ⑮ 접지 단자 부식방식 설명(부품과의 대응 관계를 명시. 특히 비금속재료 부분) |
기간 | 약 2개월 소요됨 |
ㅇ 통관 수속 시 주요 구비서류
- 제품리스트, 패킹리스트, 인보이스, 무역계약서, 원산지증명, 통관 대리 위탁서 등
ㅇ 주의사항
- 중국 세관(海关)에서 납세 증명서를 발급 후 7일 내로 납세하지 않을 경우 연체금이 부과됨.
- 화물이 항구에 도착 후, 14일 내로 해관에 신고하지 않을 경우 연체금이 부과되고 3개월이 지나도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해관에서는 화주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자체 매각 처분
□ 시사점
ㅇ 중국 피트니스용품 시장의 성장세와 진출 여력
- 중국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다이어트와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관련 산업 규모도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운동 관련 아이디어 제품 및 다이어트 식품 등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을 갖춘 수입 제품의 경우, 현지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 입점을 통해 소비자의 관심을 이끌어낼 유인이 충분이 있다고 판단됨.
ㅇ 피트니스용품 H 전문점 매니저 인터뷰
- 현재 실내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요가와 필라테스 용품인 요가 매트, 아령, 짐볼 등 간단한 피트니스용품이 인기가 많음. 또한 자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 가정에서도 홈트레이닝이 가능한 미니멀한 사이클 도구, 트위스터 등도 판매가 호조세를 보이고 있음.
- 최근에는 스마트 시스템을 탑재한 피트니스용품들이 많이 개발되어 심장박동, 혈압, 거리, 에너지소모 등을 측정하는 기능이 있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 또한 '샤오홍슈', '틱톡' 등 SNS 채널을 통해 인플루언서가 운동 방법, 체형 교정, 다이어트 후기 등을 홍보하며 동시에 관련된 제품을 홍보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피트니스용품 브랜드사에서 광고를 하고 있음. 인지도가 낮은 수입 브랜드의 경우, 특히 타깃 소비층을 대상으로 브랜드 침투율 및 구매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전함.
자료원: 中国产业信息网, KITA, 十大品牌网, 中国报告网 및 KOTRA 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