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광우병 사태에서 미국산쇠고기의 위험성에 관한 과장된 공포의 실체와 함께 궁금한 것이 과연 한우는 얼마나
안전한가일 것입니다.
도대체 우리나라에서는 광우병 위험 소 검사를 하는지 안하는지, 또 우리나라는 광우병소가 발견된 적이 없으므로 광우병청정국가인지, 전수검사를 한다는 일본은 과연 어느 등급인지, 그리고 미국이 부여 받은 지위인 광우병위험통제국이란게 어느 정도의 의미인지 궁금할 것입니다.그래서 궁금점 해소 차원에서 간단히 정리해 봤습니다.
(이 글은 서울대 인수공통질병연구소 소장인 이영순 교수님의 "광우병의 과학적 진실"이란 2008년 6월
논문에 나온
글과 그림 및 표를 바탕으로 쓰여진 글입니다.)
우선 국제수역사무국(=OIE)이 정한 국가별 광우병 위험등급 평가의 현황입니다.
*** OIE로부터 광우병 위험등급 평가를 받은 국가 현황
1 경미한 위험국(negligible)(10)
호주,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싱가폴, 우루과이, 핀
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파라과이
2 위험 통제국(controlled)(31)
미국, 캐나다, 칠레, 브라질, 스위스, 대만, 오스트
리아, 벨기에, 사이프러스,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
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
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
덜란드, 폴란드,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슬로베니
아, 스페인, 영국, 멕시코, 리히텐슈타인
3 미결정 위험국(undetermined)
위의 41개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
-OIE는 광우병 발생당시 세계 각국의 나라를 5단계로 구분하여 위험등
급을 표시하였으나, 지금은 단지 3단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경미한 위험국(negligible)의 10개국, 그리고 위험통제국(controlled) 31
개국, 그리고 위험성 여부가 미결정되어있는 위험국(undetermined)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그 밖의 모든 나라가 이에 속합니다(일본도 미결정 위험국임).
- 위험등급의 평가는 미결정 위험국에서 7년에 걸쳐 24
개월 이상의 사육두수가 100만두이상 일 때에는 A형(위험통제국)의 기
준으로 30만점을, 만약에 사육두수가 80만두일 때는 24만점을 얻어야
위험통제국 지위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반드시 7년 내여야 하며 4년, 5년 내로 하면 안됩니다. 즉 소의 광우
병 잠복기 이상인 7년 이내에 30만점을 획득해야 합니다. (일본은 바로 이 기준에
미달하기 때문에 미결정 위험국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거기서 다시 “경미한 위험국” 즉,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광우병
청정국이 되려면 다시 5년내에 B형의 15만점 이상을 따야합니다. 24개월
이상의 사육두수가 100만두가 되지 못하고, 80만두 이상일 때는 12만
점을 따야 합니다.
-그리고 검사수 마리당 일정한 점수를 주는 것이 아니라
위험소일수록 검사하면 점수가 높습니다. 즉 4세 이상 7세미만의 소
가운데 광우병과 유사한 증상의 소를 검사 했을 때는 750점이지만, 같
은 연령에서도 정상상태의 건강한 소를 도축해서 검사할 때는 0.2점 밖
에 얻을 수 없습니다.
(여기서 대충 눈치 채셨겠지만 일본처럼 전수조사를 하는건 광우병
청정국가가 되는데 비용-이득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상당히 비효율적입니다.과학적 통계적 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표본조사가 훨씬 더 효율적이죠.일본의 전수검사는 과학적인 행동이 아니라
나라에서 광우병을 통제하기 위해 뭔가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려는 정치적 행동으로 보면 될 듯합니다)
이렇게 7년간에 걸쳐서 30만점 이상을 따야 위험통제국의 지위를 얻게
되는데 우리나라는 현재 한육우와 젖소의 사육두수가 100만두 전후입니다.
그래서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80만두를 목표로 지난 2003년부터 24만
점을 획득하기 위한 7개년계획을 세워놓고 있습니다.
이 계획을 보면 우리나라는
2007년까지 겨우 7만5천점을 획득한데
불과합니다.그리고 올해와 내년에 16만 5천점을 추가해서 국제기준인 24만점에 겨우 턱걸이하겠다는 걸
알수있습니다.
반면 미국은 국제기준의
10배인 약 300만점을 획득하여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양국가간의 사육두수의 차이를 고려해볼수 있지만
OIE기준으로 보면 30만점과 24만점을
요구하는 것으로 볼 때 6만점정도의 차이 밖에 없죠)
특히 지난
5년간(2003년-2007년) 노무현정부시절 광우병위험에 우리나라 정부가 어떻게 대처했는가가 수치로서 명확히 보여집니다.미국정부는 노무현정부보다 약 40(=2,970,000/75,000)
배 이상의 광우병위험 대처노력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우리나라가 미국소를 보고 광우병소라고
손가락질하다니 참 알 수 없는 일입니다
적어도 광우병에 관한한 미국소가 한우보다 훨씬 더(약 40배)
안전합니다.
좀 웃기는 비유를 하자면 이건 마치 수학시험에서
점수를 2점 받은 학생이 80점 맞은 옆집학생에게 넌
100점도 못받고 왜그리 수학을 못하냐고 동네방네 소리치고 다니면서 비웃는 것과 같은 한심한
상황이라는 것입니다(물론 이 학생은 자기 점수가 얼마인지에 대해서는 차분히 알아볼 생각이 별로 없는
인간입니다).이 학생의 점수를 알고 있는 이웃들은 하도 어이가 없어서 이 코미디 같은 상황을 보면서
웃어야할지 울어야할지 모르면서 비웃음이나 날리고 있습니다.
미국은 현재 OIE에서 권고하는 고위험군 소를 대상으로 광우병 검사를
실시 중이며, 단순한 검사 두수보다는 광우병 검색확률이 높은 고위험군
소를 검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광우병 감염소를 색출할 수 있는 검사체계
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광우병 검색 확률이 거의 없는 정상 소를 다수 검사하는 것보다
임상증상을 보이거나 일어서지 못하거나, 생체검사에서 불합격판정을 받
은 소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소를 검사할 경우 더 확실한 광우병 예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금 OIE가 권장하는 BSE 예찰체계는 10만두당 1두의 감염우도 검색
할 수 있는 기준으로 95% 신뢰도 기준아래 평가하는 체계입니다(미국은 검사 두수를 높여서
이 기준을 1000만두 당 1두의 감염우도 색출해 낼수 있는 수준으로 높이려고 합니다.)
국제기준에서는 7년간 예찰점수가 누적 30만점을 획득하여야하나, 미국
은 최근 7년 동안 297만점을 획득하여 국제기준의 거의 10배에 달하는
수준의 광우병 검사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상의 사실을 종합해보면 과연 지금 현재 한우와 미국소 중 어느 것이 더 안전하다는 생각이 드십니까?
https://www.chogabje.com/
첫댓글 역사학도님! 우리 한우농가... 불쌍한 우리님들이 이글을 읽으면 아무리 퍼 왔다해도 님을 욕해요. 이런글은 올려놓지마세요. 님의 집에 이런거 있음 정말 추해보여요.이런 비유가 어떻게 함부로~~ 안돼요. 왜놈들도 독도가 지네거라구 속쎅이고 북한놈들도 우리 관광객 여자분을 총으로 쏘아죽이는 이 아픈날의 오후에....~~
이런 글은 일본 총리한테 보내야 하는것 아닙니까
"학도" 님, 어떠한 의견도
불이익이 없다면.. 다양한 모든 의견으로 대화하자고 공지글로 써놓고는 --- "학도" 혼자서만 글쓰기 도배를 하지말고
--- 늘봄, 이준형, 형아 님을 접근금지도 풀어주시지요
함께 다정하게 글쓰기 하여 봅시다.. 
역사학도님은 집안에 혹시라도 중고등학생 없나요?? 있으면 뉴스좀 보세요.. 중고등학생 위탁급식에 올라오는 소고기 80%이상이 수입인데... 만약 우리 아들 딸이 이걸 먹는다면 그많은 소수중에 내가족이 아니라는 보장이 있나요??
아니심.... 기독교인의 양심을 팔아 부~~자라도 되시나요?? 우리 집에도 목사님 그리고 전도사님 그리고 몇 안되시는 여자 목회자님 중에 제 이모님도 계시는데... 이렇게 생각없게 사시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하필이면... 오늘 같은 날에.. 쯧쯧 오늘은 제가 기도를 해야겠네요,,, 학도님을 구원해 달라고..........
역사학도님 그분이 지금 맴이 좀 상해서 그렇지 좀 있다가 화해모드가 열려지게 되믄 글 못쓰게 한 몇분들도 특별사면될텐데요. 근디요 .워쩐댜~~ 그남자님이 정회원이 아니구 벌 받아서리 까까머리됬어요....ㅜㅜㅜ 뭔 잘못 그렇게 많이 하셨어요? 그남자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