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무궁화연대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도토리숲
    2. 최은영
    3. 데이지
    4. 김경은
    5. 레이지
    1. 하니허니
    2. 오쩡
    3. 하하둥둥
    4. 요니
    5. 토토리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스크랩 으름 열매-북한산
sunpower 추천 1 조회 62 16.10.10 14:45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봄에 꽃이 피었으나 많이 피지 않았습니다.

2013년 처음 꽃을 보고 가을에 몇번 다시 가보았으나 열매를 보지 못했습니다. 시기가 맞지 않았는 가 봅니다

운 좋게 금년에는 한참 동안 찾았으나 보이지 않아 덩굴 전체를 샅샅이 훑어 보아서 한 꼬투리에 3개가 열린 으름열매를 보았습니다.

생각외로 열매 크기가 작았으나 길이는 짧고 굵기는 정상적이었습니다.

중학교 시절에 친구들과 산과일을 따라 깊은 산중으로 같이 가서 보았는 데 오늘 같은 크기가 아니고

시중에 판매되는 크기였으며 힌 과육에 까만 씨앗이 줄 지어 붙어 있었습니다.

본 품종은 전에 본 것과는 다름 품종인가 봅니다. 으름을 많이 보고 먹기도 했지만

이런 것은 처음 봅니다.




봄에 핀 꽃

으름덩굴   통초(通草)   으름덩굴   

 익생양술대전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56XX12400726


분류 낙엽 활엽 덩굴나무
학명Akebia quinata
분포지역 황해도 이남
자생지역 산기슭, 들, 숲 속
번식 꺾꽂이·씨·분주
약효 줄기
생약명 목통(木通)
길이 5m 정도
으름덩굴과
별칭 통초(通草)·만년등(萬年藤)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성 평온하며, 쓰다.
독성여부 없다
1회사용량 줄기 5∼7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잎  

새 가지에서는 어긋나고 묵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는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5개씩인데 길이 3~6cm의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꼴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약간 오목하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백색이 돈다.

4∼5월에 낙하산처럼 생긴 꽃이 연한 자줏빛을 띠는 갈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암수한그루의 단성화이다. 한 나무에서 암꽃과 수꽃이 다른 모양으로 따로따로 핀다. 암꽃과 수꽃 모두 꽃잎이 없으며

3개의 꽃받침 조각이 꽃잎 같아 보인다. 크기가 작은 수꽃은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6개의 수술과 퇴화한 암술이 있다.

크기가 큰 암꽃은 적게 달리며 퇴화한 수술 및 3~6개의 심피가 있다.


열매  

10월에 맺는 육질의 장과는 길이 6~10cm의 긴 타원형인데 자줏빛을 띠는 갈색으로 익으면서 한가운데가 세로로 길게 갈라져 씨가 나온다.

             

사용 방법

임하부인(林下婦人)·졸갱이·유름·목통여름·목통(木通)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으름이라고 한다. 열매가 줄기에 매달린 채

익으면 껍질이 갈라져 가운데가 벌어지는데 그 모양을 보고 임하부인이라 하였다. 전체에 털이 없고 갈색의 덩굴이 다른

물체를 기어 오르거나 땅 위를 기면서 자란다. 유사종으로 작은 잎이 6~9개인 것을 여덟잎으름이라 한다.

또한 비슷한 식물로 멀꿀이 있는데 늘푸른나무로서 잎이 두껍고 작은 잎의 수도 으름덩굴보다 많으며 향기가 좋은 꽃이 핀다.

열매는 으름과 비슷하지만 잘 벌어지지 않으며 으름보다 맛이 좋다. 으름덩굴의 열매를 구월찰(九月札),

씨를 예지자(預知子)·연복자(燕覆子)라고 한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를 으름이라 하며 과육을 먹을 수 있다. 

예전에는 열매를 '조선바나나'라 하여 여름에 흰 과육이 많이 있는 것을 따서 팔기도 하였다.

머루·다래와 함께 산에서 나는 3대 과일 중의 하나이다. 또 과육을 먹으면 씨앗이 씹히면서 차가운 느낌이 전해져

얼음 같은 느낌이 난다 하여 으름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줄기는 약용하거나 바구니 등을 만든다.

잎은 따서 말려 차로 달여 마신다. 새순과 어린 줄기는 나물로 먹고 줄기를 삶은 물은 염료로 썼다.

뿌리껍질은 목통, 줄기를 통초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하지만 임신부가 기준량 이상을 복용하면 유산할 수도 있다.

효능

주로 부인과·신경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가슴답답증, 강심제, 개창, 관상동맥질환, 관절염, 구금, 구충, 금창, 낙태, 당뇨병, 두통, 방광염, 배농,

번열, 변비, 부종, 불면증, 설사, 소변불통, 소염제, 소화불량, 수종, 수혈대용, 신경통, 영류, 오심, 원기부족, 월경불순,

 월경불통, 위염, 유산·조산, 유즙분비부전, 음낭종독, 음창, 이뇨, 이명, 인후염·인후통, 임질, 종독, 진통, 창종, 통경, 통풍, 해수, 해열, 행혈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