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乙支路와 忠武路 우리나라는 1945년 8월 15일 해방된 후에도 종전의 일본식 도로명을 계속 쓰다가 1946년 10월 서울시장 주관하에 우리식으로 도로명을 변경하기 위한 T/F가 발족하면서 제일 먼저 개편에 착수한 도로명이 乙支路와 忠武路였다. 乙支路는 당시 中國人들의 상가가 주로 이어져 있었고 지금도 중국인들이 직접 경영하는 안동장, 동화반점 태화루 오구반점 등이 남아있다 이에 T/F에서는 中國人들의 색채를 빼내기 위해 中國人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乙支文德 장군을 모셔다가 乙支路로 이름 지었다 반면에 忠武路에는 日本人들이 많이 살고 있었고 忠武公 李舜臣 將軍이 12살까지 머물었던 生家 乙支路3가 驛과 忠武路驛 중간 지점(명보 아트홀 앞)이었기에 일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忠武公을 모셔다가 忠武路로 이름 지었다.
2. 퇴계로와 율곡로 한편 나라가 제대로 발전하려면 文과 武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먼저 乙支路와 忠武路에 武人 中心으로 이름을 지었기 때문에 다른 도로들은 文人 중심으로 이름 짓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따라서 우리나라 代表的인 文人인 退溪 李滉 선생과 栗谷 李珥 선생이 논의되었으며 李栗谷 선생이 관직에 있을 때 主居住地가 仁寺洞이었기에 이 일대를 栗谷路로 이름지었고 退溪路는 비록 退溪 이황이 서울에서 거주한 事實은 없지만 우리 나라의 代表的 文人이었기에 退溪路라는 이름을 지었다.
3. 세종로와 태평로 그리고 원효로 世宗路는 世宗大王이 태어난 곳이 종로구 玉仁洞이었기에 그렇게 이름 지었고 太平路는 중국 황제의 칙명을 가지고 오는 칙사가 머무는 태평관(太平館)이 南大門과 시청역 사이에 있었기에 太平路라 이름 지었다.
그리고 元曉路는 당시 T/F팀장이던 초대 서울시장 김형민이 독실한 불교 신자로 佛敎界의 代表的 人物인 元曉大師를 기린다는 차원에서 다른 팀원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강력하게 밀어붙여 元曉路란 이름이 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4. 테헤란로 우리나라는 1973년 오일 쇼크로 엄청난 충격을 받아 석유는 배급 받고 공장 조업은 단축되었으며 물가는 급등하였다 이러한 형국에 유일하게 우리 나라에게 석유를 持續的으로 공급했던 이란에 감사를 표시하기 위해 서울시와 테헤란시는 자매 결연을 추진하여 1977년에 강남의 삼릉로를 테헤란로로 변경하고 테헤란에는 서울로라는 거리를 만들게 되었다.
5. 영동대로(永東大路) 지금의 강남이 본격 개발되기 이전의 강남 지역은 경기도 始興郡과 廣州郡의 일부였다 그러다가 1963년에 이 지역이 서울시 성동구로 편입되었으며 1973년에는 성동구 永東출장소가 생겼다 그리고 1960~70년대에 한강 以南에서 제대로 도시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곳은 1936년에 始興郡에서 경성부(서울)로 편입된 永登浦밖에 없었기 때문에 강남지역을 永登浦의 동쪽이라는 의미로 永東이라 이름 지었다 지금도 永東이란 이름이 남아있는 곳은 1976년 6월에 이름이 붙여진 永東大路외에도 "비내리는 영동교"의 永東大橋 영동 시장 영동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얼마 전에 강남 세브란스로 바뀐 永東 세브란스 병원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