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데이디지털.20230316.VirtualBOX의 SynologyNAS(헤놀로지) KT 공유기 포트포워딩, 부팅시 헤놀로지 자동시작
: 윈드보스
https://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7.0.8/VirtualBox-7.0.8-156879-Win.exe
VirtualBOX에
https://github.com/fbelavenuto/arpl/releases/tag/v1.1-beta2a
Arpl(?) 자료를 활용하여,
Synology(헤놀로지) NAS를 설치했고,
지금 잘 쓰고 있다. 꽤 만족스럽다.
예전 유투버(공돌TV)가 알려준 데로 해서 쓰던 아들이 안쓰고 방치한 윈도PC를,
내가 쓰는 맥북(MacBook)이 너무 느려서 활용해서 쓰기로 했기도 하지만,
결정적으로, 이렇게 만든 Synology(헤놀로지) NAS 서버가 에러를 발생시키는데,
도대체 해결방법을 모르겠기에,,,
결국 자료 모두 날려먹고, 그냥 쉽게 가상머신으로 시놀로지를 간단히 설치하고,
운용해 보기로 한거다.
문제가 생겼다.
예전 SynologyNAS는 외부에서도 쓸 수 있었는데,
새로 설치한 시놀로지(Xpenology) NAS는
도대체 예전처럼 간단히 공유기를 세팅할 수가 없었다!?
한참을 고민하며 전전긍긍하다가,
1.포트포워딩-집의 공유기 ID, Password 알아서 접속하기
KT인터넷 공유기(Router)에 접속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포트포워딩에 대한 공부와 세팅에 들어가게 됐다.
2.KT인터넷 공유기(Router)에 포트포워딩 메뉴 찾기
KT인터넷공유기(Router)는 주메뉴 '장치설정'으로 가야한다.
그 전에 '상태정보-시스템정보'에서 외부로 나가는 IP주소를 알아야 한다.
3.KT인터넷 공유기(Router)에서 포트포워딩 등록하기
좀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 해보면 간단하다.
SynologyNAS가 사용할 포트(외부의 공용 IP주소 뒤에 콜론(:)뒤에 칠 5000번~5001번)를
넣고, SynologyNAS의 IP주소(내부 IP주소)를 넣은 후,
SynologyNAS 내부포트(외부 포트와 같은 5000번~5001번)를 넣고,
'추가'하면 된다.
4.SynologyNAS의 제어판, 네트워크 클릭
SynologyNAS의 제어판, 네트워크를 클릭하여 들어간다.
5.SynologyNAS에 동적 유동IP주소에서 고정IP주소 지정
내 경우에는, 포트포워딩 내부 IP주소를,
SynologyNAS(Xpenology)에서 고정으로 한 개의 내부 IP주소를 배정해서,
외부에서 포트포워딩이 되는 주소를 입력하고,
수동으로 변경해 주었다.
추가정보,
**.VirtualBOX 네트워크 어댑터, 내 경우 '어댑터1'은 안되고, '어댑터2'에서만 브릿지가 되었음.
그리고, PC를 재부팅할 때마다,
VirtualBOX를 켜고, 다시 Synology(헤놀로지 Xpenology) DSM을 실행하는 것이,
너무 귀찮고 번거로워,
VirtualBOX에 설치된 Synology(헤놀로지)에서 마우스 우클릭,
'데스크톱에 바로 가기 만들기'를 클릭하여,
데스크톱에 내 경우, 설치된 시놀로지가 'DSM'으로 되어 있으므로,
'DSM' 바로가기가 만들어지게 된다.
탐색기에서 '시작프로그램'을 치면, 바로 시작프로그램 폴더가 나오게 되므로,
그 '시작프로그램' 폴더안에,
데스크톱에 만들어진 DSM(각자 설치된 이름) 바로가기를 넣어준다.
부팅할 때마다, 자동으로 DSM이 함께 시작한다.
https://youtu.be/3LnOiAFZX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