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킹은 어떻게 2024 파리 올림픽 공식 종목이 됐을까?
브레이킹은 어떻게 올림픽 종목이 됐을까?
한국 브레이킹 댄스계의 최대 이슈는 올림픽이다. 몇 년 전부터 ‘브레이킹 K’라는 이름으로 대표 선발전이 펼쳐졌다. 이 과정에서 토너먼트를 거친 댄서는 ‘국가대표’가 되어 진천 선수촌에 입소했다. 댄서가 정식으로 태극마크를 달게 된 것이다. 스트릿 문화에서 시작된 ‘브레이킹 댄스’가 올림픽 종목이 되리라고 그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
비보잉, 어쩌면 가장 유명할 스트릿 댄스
브레이킹 댄스는 50년 전 뉴욕의 브롱크스에서 탄생했다. 처음에는 미국인들의 스트릿 컬처였다. 하지만 비교적 빠른 시간에 전 세계로 뻗어나가며 수많은 청년들이 즐기는 문화가 됐다.
인기도 많다. 세계에서 1:1 브레이킹 배틀을 제일 잘하는 댄서를 뽑는 <레드불 BC ONE>은 매년 성황을 이룬다. 프리스타일 세션, 아웃브레이크, 배틀 오브 더 이어 등 브레이킹 댄스를 메인으로 둔 세계 대회 또한 곳곳에서 펼쳐진다. 레드불뿐만 아니라 몬스터 에너지, 아디다스, G-SHOCK, 퓨마 등 세계적인 브랜드가 브레이킹 댄서를 후원하고 있다.
한때는 길거리 젊은이들의 치기 어린 문화로 취급받기도 했다. 그러나 꾸준한 발전을 거쳐 체계적인 대회를 치르는 큰 문화로 성장해다. 세계 대회의 규모와 후원사의 면면 등을 기준으로 보자면, 브레이킹 댄스는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스트릿 댄스 중 하나라는 데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올림픽 종목’ 타이틀이 갖는 무게감
그런데 어떻게 브레이킹 댄스가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된 걸까? 얼핏 보면 스케이트보드로 스트릿 컬처의 가능성을 본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나선 것 같지만, 사실은 그 반대에 가깝다.
IOC가 올림픽 종목을 심사하는 기준은 매우 까다롭다.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어야 하고, 남녀 모두 출전할 수 있어야 하며, 상업성도 있어야 한다. 국가 보급률 기준도 있다. 유명한 스포츠라 해도 이 기준에 맞지 않으면 금세 퇴출된다.
명확한 룰 또한 필수적인 요소다. 올림픽에서 선수들의 노력은 모두 숫자로 치환된다. 복잡한 기술은 높은 점수를 얻고, 정확하지 못한 동작은 감점 요인이 된다. 선수의 감성과 개성을 심사 기준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조차 ‘예술성’으로 엄격하게 점수를 매긴다. 선수의 모든 요소가 판정의 대상이 되는 거이다. 그런 만큼, 큰 무대로 나설수록 명료한 규정에 의한 심판 판정은 그만큼 중요해진다.
브레이킹 댄스는 이런 점에서 잠재력이 있는 댄스였다. 먼저 브레이킹 댄스에는 모든 댄서가 공유하는 기본기가 있다. 기술의 완성도도 높고, 댄서마다 개성도 훌륭하며, 대중의 눈에 띌 수 있을 만큼 볼거리도 많다.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기도 했다.
하지만 발목을 잡는 요소가 없었던 건 아니다. 명문화된 규정이 부재했다. 대회마다 판정의 기준이 없던 건 아니었지만, 심사위원의 안목과 경험에 적잖이 의존하는 측면이 있었다. 스트릿 문화이기 때문에 폭력적이라는 부정적 편견도 한몫했다.
해결책을 찾다: 비보잉과 댄스 스포츠, 그들의 어색한 악수
이런 아쉬움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건 룰을 정비하고 체계를 다잡을 협회의 존재였다. IOC에서 원하는 형태로 브레이킹 댄스가 스타일을 바꾼다면 가능성이 있어 보였던 것이다. 세계 댄스스포츠 연맹(WDSF)이 나서 브레이킹 댄스를 올림픽 종목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기 시작한 이유다.
하지만 댄서들이 마냥 반긴 건 아니었다. 문제는 세계 댄스스포츠 연맹 그 자체였다. 이들은 스트릿 댄스와의 연관성이 부족했다. 스트릿 댄서는커녕 브레이킹 댄서도 아닌 사람들이 브레이킹 댄스를 대표하게 된다는 사실은 댄서들로서 쉽게 납득하기 어려웠다.
이는 2017년 올라왔던 <WDSF가 힙합에서 손을 떼게 해달라>는 청원에 2,000명 이상이 호응하는 결과를 낳았다. 협회가 브레이킹 댄스를 착취하고, 예술성을 거세하고, ‘댄스스포츠의 올림픽 진출’이라는 숙원 사업의 미끼로 악용한다는 내용의 청원이었다. 배드민턴협회가 야구를 대표하고, 승마협회가 모터스포츠를 대표하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꼬집기도 했다.
하지만 브레이킹 댄스의 가능성을 본 WDSF와 댄스 커뮤니티는 멈출 이유가 없었다. 이들은 유스 올림픽에 브레이킹 댄스를 세우며 비보잉의 잠재력을 대중과 IOC에게 어필했다. 결과적으로 브레이킹 댄스는 2024 파리 올림픽 정식 종목에 채택되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 스포츠댄스가 ‘댄스스포츠’라는 이름을 달고 시범종목에 채택된 이후 번번이 올림픽 도전에 실패했던 댄스 커뮤니티로서는 24년 만에 이룬 쾌거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WDSF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규정을 제정하고 이를 습득한 심사위원을 양성했다. 판정 시스템도 올림픽에 걸맞은 형태로 개정했다.
하지만 아직 결과물이 완벽하지는 않다는 비판이 따른다. 판정은 스피디해졌으나, 스트릿 댄스를 몇 가지 판정 기준으로 재단하고 순위를 매긴다는 점에서 각 대회마다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점수를 얻을 수 있는 브레이킹 댄스의 스타일이 정해져 있다는 비판도 따른다. 협회는 선수별 성과에 따른 포인트제를 만들고 세계 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올림픽 티켓을 공정하게 부여하려고 한다.
하지만 적지 않은 댄서가 이 과정에서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일정은 낯설고, 부담감은 무겁다. 이런 춤을 추기 위해 브레이킹 댄서가 된 건 아니었다는 푸념도 소셜 미디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래도 올림픽의 여정은 시작되었다
어쨌든, 결과적으로 브레이킹 댄스는 올림픽이라는 무대에 서게 되었다. 여태껏 보지 못한 수많은 대중과 국가가 지켜보는 무대다. 브레이킹 댄스와 댄스스포츠가 발을 맞추는 데에는 다소 미온적이라 해도, 각 장르가 갖는 근본적인 차이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해도, 이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두 장르는 불안한 동거를 이어가고 있다. 그 목표는 단 하나, 올림픽이다.
올림픽은 그 어떤 스포츠 이벤트보다도 거대한 대회다. 아무리 훌륭한 문화라고 해도 쉽게 가질 수 없는 기회다. 브레이킹 댄스계에게는 뜻밖의 선물이고 호재인 이유다.
주사위는 던져졌다. 댄스스포츠와 브레이킹 댄스의 동행은 적어도 2024년 여름까지는 유효할 것이다. 주사위가 어떤 값을 얻을지, 이 주사위를 던지는 게 옳은 일이었을지는 내년에 모두 알게 될 것이다.
원문: 스트릿 웨어 브랜드 DIRT
첫댓글 작년에 쓰여진 글인데, 브레이킹이 올림픽 종목이 되었단 사실을 저는 이 글을 통해서 알게 되는군요. 오홋.
야구가 올림픽에서 잠깐 유지되었던 것을 저도 기억합니다만, 스포츠 안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너무 지루해서(저의 경우ㅡ_ㅡ) 결국 영구 퇴출 되었나 봅니다
이번엔 전혀 반대로 재미는 가득할듯 한데 무게감으로 올림픽에서 지속할 수 있을지, 의문이로군요.
올해 파리 올림픽에서 한다니 기대는 되는데, 제가 뭐 스포츠 관련 프로는 아예 안보는지라... 결국 내가 보게 될런지 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