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기
책 속으로
김수영은 ‘시인’이 되고 싶어 했다. 그가 시인임에도 그는 끊임없이 시인이 되고 싶어 했다. 그렇기에 그는 스스로가 시에 반역하는 삶을 사는 것을 두려워했고, 때문에 좌절하기도 했다. 그가 꿈꾸는 시인의 이상향에 미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어서, 그것은 정말 불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는 심지어 그가 생각하는 시인의 잣대에 미치지 못하는 시인이라면 자신뿐 아니라 동료 시인들에게도 거침없이 비판의 화살을 퍼부었다. 우리에게 《목마와 숙녀》로 유명한 박인환 또한 김수영과 꽤 가까운 사이였음에도 내내 김수영으로부터 알맹이는 없고 겉멋만 잔뜩 든 시를 쓴다는 비아냥을 들어야 했다. 이는 김수영이 오만하고 건방져서 그랬던 것이 아니다. 어디까지나 김수영은 그 자신 또한 자신이 꿈꾸는 시인의 모습에 이르지 못했다고 생각했으니 말이다. 김수영이 생각하는 시인은 ‘온몸으로 시를 쓰는’ 시인이었다. 온몸으로 밀고 나가는 시를 쓰는 것이었다. 김수영에게 있어 시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이러한 이상에 도달하기 위해 우직하게 한 걸음씩 전진하는 것에 다름 아니었다.---27~28쪽
평생을 어머니와 반목했던 빈센트가 어머니를 용서했던 것도 이 시점에서였다. 서글프게도, 그것은 성공한 빈센트가 어머니를 이해했기 때문에 용서한 것이 아니었다. 과거 자신을 정신병원에 보내려 한 어머니와 결정적으로 틀어졌던 빈센트는, 자신에게 정말로 정신적 문제가 있다고 깨닫게 되자 어머니를 용서한 것이다.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빈센트 인생에 단 한 번도 그에게 생계 수단이 되어주지 못했다. 그러나 빈센트에게 있어 그림은, 생존을 위한 수단이었다. 빈센트가 정신병원에 자기 발로 찾아 들어간 이유는 오로지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그의 상태가 회복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그래왔지만 이제 정말로 그에게 남은 것은 그림 그리는 것밖에는 없었다. 그가 살아야 할 이유 또한 그것 말고는 없었을 것이다. 빈센트는 그때부터 자기 자신과의 지난한 싸움을 이어 나간다. 그가 숨을 거둘 때까지.---49~50쪽
중섭의 곁에서 그를 돕고자 했던 사람들이 있는 딱 그만큼, 한편으로는 그에게 조금이라도 이롭기는커녕 해롭기가 독과 같은 사람들이 끊이지 않았다. 그것은 딱히 이중섭에게만 해당되었던 일이 아닐 것이다. 전쟁이란 본래 인간성의 바닥을 드러내기 가장 쉬운 환경이니까. 전쟁이 끝난 후의 폐허에서 타인을 대할 때 온전한 선의만을 갖고 대하는 사람은 극히 드문 법이다. 이중섭 개인에게 있어 불행은, 자신에게 이로운 사람은 곁에 두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내칠 수 있을 만큼 그가 약지도 모질지도 세상 물정에 밝지도 않다는 것이다. 그는 어린아이 같은 사람이다. 아이들이 자신에게 접근하는 사람들을 좀처럼 내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80쪽
커다란 덩치에 폭력을 즐기고, 위험에 매혹되어 끊임없이 자신의 육체를 시험했던 헤밍웨이는 내적으로는 매우 여리고 섬세한 감수성을 가진 인물이었다. 이것은 그를 알고 지낸 몇몇 사람들의 증언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거트루드 스타인과 스콧 피츠제럴드의 부인 젤더는 헤밍웨이가 실은 겁쟁이였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들이 헤밍웨이에게 적의를 품고 있긴 했으나 헤밍웨이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 또한 사실이므로 허무맹랑한 낭설로 치부하기도 어려운 면이 있다. 뿐만 아니라 헤밍웨이의 평전에 등장하는 한 인물은 그를 일컬어 ‘떨리는 감수성과 폭력에 대한 몰두가 이처럼 불가사의하게 결합된 존재가 이 지상에 걸어 다닌 적이 없다’고 말했으며 그 밖에도 헤밍웨이를 알고 지낸 여러 사람들, 그의 가족 등의 진술을 종합해 볼 때, 그에게 겉으로 보이는 강인한 이미지와는 상반된 다른 면이 공존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헤밍웨이는 버림받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상대가 자신을 떠나기 전에 다른 여자와 사랑에 빠졌다. 그는 혼자 남고 상처받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결혼 생활마다 간통을 저질러 아내들을 버림으로써 자신을 방어했다.---239~2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