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증시 동향]
-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오미크론 공포가 진정되면서 이틀 연속 강하게 반등, 다우지수는 1.40%, S&P500지수는 2.07%, 나스닥지수는 3.03% 각 각 상승
- 오미크론 우려 완화,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백악관 기자 회견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전염력은 더 강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입원율이 더 낮고 환자들에 산소가 덜 필요하다는 점으로 미뤄 덜 심각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투자심리 안도
- 다음 주 FOMC 주목, 연준이 다음 주 FOMC 정례회의에서 테이퍼링 규모를 기존의 매달 150억 달러에서 300억 달러로 늘릴 것으로 예상, 이 경우 테이퍼링이 당초 예상된 내년 6월이 아닌 3월에 끝나게 되면서 연준의 긴축 속도 주목
- 경기지표는 양호, 10월 무역적자는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월 대비 143억 달러(17.6%) 줄어든 671억 달러로 집계, 전달 무역적자는 814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 기록
- 섹터별로는 전 업종 상승한 가운데 IT 업종 강세, 종목별로는 애플(AAPL)이 모건스탠리가 목표가를 기존 164달러에서 200달러로 상향했다는 소식 등에 3% 이상 상승, 인텔(INTC)은 자율주행 자회사인 모빌아이가 내년 중순경 기업공개(IPO)를 통해 상장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3% 이상 상승, 데번에너지(DVN)와 옥시덴털 페트롤리움(OXY)도 유가상승에 힙입어 각 각 6%, 4%가량 상승
- WTI는 3.7% 상승, 오미크론 우려 완화에 힘입어 수요증가 기대감이 상승 요인
_
* 주요 지수
다우존스: 35719.43 (1.40%)
S&P500: 4686.75 (2.07%)
나스닥: 15686.92 (3.03%)
유로Stoxx: 4276.2 (3.36%)
FTSE100: 7339.9 (1.49%)
CAC40: 7065.39 (2.91%)
DAX30: 15813.94 (2.82%)
닛케이225: 28455.6 (1.89%)
상해종합: 3595.088 (0.16%)
항셍: 23983.66 (2.72%)
VIX: 21.89 (-19.46%)
_
S&P 500 은행 인덱스: 428.35 (1.57%)
유로Stoxx 은행 인덱스: 98.34 (1.59%)
닛케이 은행 인덱스: 145.11 (1.97%)
LIBOR-OIS 스프레드: 0.104 (-2.80%)
_
* 주요 지표 (서베이, 발표치 or 발표시간, 이전치)
금일 ( 7일 )
독일 10월 산업생산 SA MoM ( 1.0%, 2.8%, -1.1% )
독일 12월 ZEW 서베이 예상 ( 25.4, 29.9, 31.7 )
유로 3Q GDP SA YoY ( 3.7%, 3.9%, 3.7% )
미국 10월 무역수지 ( -$66.8b, -$67.1b, -$80.9b )
금일 ( 8일 )
일본 3Q GDP 연간화 SA QoQ ( -0.6%, 08:50, -0.6% )
미국 12월 MBA 주택융자 신청지수 ( --, 21:00, -7.2% )
_
* 환율
파운드달러: 1.32 (-0.15%)
아시아통화 인덱스: 107.82 (0.19%)
달러인덱스: 96.28 (-0.05%)
원달러: 1181.2 (-0.21%)
원엔: 10.37 (0.33%)
원위안: 185.1 (0.13%)
엔달러: 113.55 (-0.06%)
달러유로: 1.13 (-0.14%)
위안달러: 6.37 (0.16%)
_
* 상품
WTI: 71.71 (3.19%)
현물 금: 1784.34 (0.32%)
LME 3개월 구리: 9505 (0.92%)
BDI: 3235 (2.02%)
_
* 채권
미국10y: 1.475 (4.085bp)
미국2y: 0.689 (5.803bp)
독일10y: -0.38 (1.41bp)
그리스10y: 1.22 (0.41bp)
스페인10y: 0.33 (-0.07bp)
이탈리아10y: 0.92 (4.37bp)
포르투갈10y: 0.26 (0.55bp)
SHIBOR 1w: 2.16 (0.030)
중국 CDS 5y: 48.99 (-2.681)
한국 CDS 5y: 20.81 (-0.532)
브라질 CDS 5y: 222.16 (-12.306)
_
* S&P500 섹터별
커뮤니케이션: (1.30%)
IT: (3.51%)
자유소비재: (2.36%)
필수소비재: (0.23%)
에너지: (2.28%)
헬스케어: (1.25%)
산업재: (1.03%)
소재: (1.51%)
유틸리티: (0.75%)
금융: (1.80%)
부동산: (1.75%)
_
* S&P500 Winners & Losers
UP
포티넷 (8.63%)
엔비디아 (7.96%)
오토존 (7.64%)
서비스나우 (7.60%)
다이아몬드백 에너지 (6.80%)
DOWN
컴캐스트 (-5.29%)
차터 커뮤니케이션스 (-3.32%)
웨스턴유니온 (-2.91%)
맥코믹/매릴랜드 (-2.53%)
제네락 홀딩스 (-2.25%)
$$$ S&P 500 섹터별 주요종목 등락
[주요종목]: 페이스북 (1.55%), 아마존 (2.80%), 애플 (3.54%), 넷플릭스 (2.10%), 구글 (2.95%), 엔비디아 (7.96%), AMD (4.16%), 마이크론 (4.10%), 테슬라 (4.24%)
[IT]: 인텔 (3.10%), 시스코 (1.97%), 어도비 (4.49%), 페이팔 (3.33%), 오라클 (1.25%), 세일즈포스 (3.18%), 브로드컴 (4.50%), IBM (1.39%), 텍사스인스트루먼트 (2.27%), 퀄컴 (4.71%),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6.45%), 램리서치 (5.78%), 마이크로칩 (5.88%)
[커뮤니케이션]: 버라이존 (-0.55%), 디즈니 (0.29%), AT&T (-0.86%), 컴캐스트 (-5.29%), 액티비전 블리자드 (1.17%), EA (-0.13%), 트위터 (-0.02%)
[자유소비재]: 홈디포 (0.12%), 나이키 (1.41%), 스타벅스 (2.56%), 로우스 (2.28%), 부킹홀딩스 (0.80%), 타겟 (1.09%), 샌즈 (0.90%), GM (2.82%), 이베이 (1.76%), 메리어트 (-0.11%), 베스트바이 (1.93%), 포드 (3.85%), 익스피디아 (0.30%)
[필수소비재]: 월마트 (-0.32%), P&G (-0.26%), 코카콜라 (0.55%), 코스트코 (1.65%), 필립모리스 (-1.07%), 에스티로더 (3.54%), 크래프트 하인즈 (0.70%), 월그린스 (-0.14%)
[에너지]: 엑슨모빌 (1.12%), 쉐브론 (1.48%), EOG 리소시스 (3.41%), 파이어니어 (3.46%)
[금융]: JP 모건 체이스 (1.50%), BofA (1.27%), 웰스파고 (2.95%), 씨티그룹 (0.61%), 골드만삭스 (2.78%), 모건 스탠리 (3.25%)
[헬스케어]: 존슨앤드존슨 (0.26%), 유나이티드헬스 (1.00%), 화이자 (0.47%), 머크 (-1.55%), 애브비 (0.13%), 일라이 릴리 (-0.50%), 길리어드 (0.22%), CVS 헬스 (0.30%), 암젠 (1.21%), 바이오젠 (1.21%)
[산업재]: 유니온 퍼시픽 (0.57%), 록히드 마틴 (-0.23%), UPS (1.65%), 보잉 (1.43%), 캐터필러 (1.59%)
[리츠]: 아메리칸 타워 (2.69%), 이퀴닉스 (2.06%), 프로로지스 (1.76%), 엑스트라 스페이스 스토리지 (1.71%), 에쿼티 레지덴셜 (-0.01%)
# 주요종목신고가신저가
기간별 거래소 신고가 종목
-60일 : SK하이닉스
-52주 : 일동제약
-역사적 : 없음
기간별 거래소 신저가 종목
-60일 : 없음
-52주 : 없음
-역사적 : 없음
기간별 코스닥 신고가 종목
-60일 : 네패스, 월덱스, 원익머트리얼즈, KG이니시스, 시너지이노베이션, 덕산하이메탈
-52주 : 주성엔지니어링
-역사적 : LX세미콘, 나노신소재, 디와이피엔에프, GST기간별 코스닥 신저가 종목
-60일 : 없음
-52주 :
-역사적 : 없음
# 국제뉴스
- 허츠, 테슬라와 계약이 '신의 한수' :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2071307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