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잘못 해석한 부분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주요일정]
11월 3일 ~ 28일 : 조별리그 진행 (5개팀씩 6개조, 풀리그)
12월 4일 ~ 5일 : 8강
12월 7일 : 4강
12월 9일 : 결승
-. 22-23 정규시즌 승패 기록 기준으로 무작위로 컨퍼런스 내에서 총 6개조 구성
-. 조별 예선은 11월 3일 ~ 28일 이내에 각 팀이 "토너먼트 나이트"에 지정된 4경기를 치름
-. 그룹 내에서 팀당 한번씩 상대하며, 홈 2경기 & 원정 2경기 진행
-. 타이브레이커 룰 : 맞대결 성적, 득실 마진, 총 득점, 22-23시즌 정규시즌 기록, 무작위 추첨
-. 총 8개팀이 녹아웃 라운드 진출, 각 조별 1위 6팀 + 와일드카드 (컨퍼런스 별 가장 성적이 좋은 2위팀) 2팀
-. 녹아웃 라운드는 12월 4일부터 9일까지 진행
-. 인-시즌 토너먼트의 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는 정규시즌 순위에 반영 & 개인기록도 4강까지만 정규시즌 기록에 반영되고, 결승은 반영되지 않음
(현재 각 팀의 정규시즌 일정은 인-시즌 토너먼트의 조별예선을 포함하여 80경기만 반영된 상태 + 8강/4강 2경기가 반영되고, 탈락한 22개 팀의 정규시즌 2경기 일정도 이때 추가 됨)
-. 녹아웃 라운드에 참여하지 못하는 팀은 토너먼트 경기가 없는 날에 정규시즌 2경기를 치름
-. 8강에서 탈락한 4팀은 탈락한 팀들끼리 정규시즌 한 경기를 치뤄서 82경기를 채움
-. 14개 그룹 플레이 경기 (각 토너먼트 밤에 2경기)와 녹아웃 라운드의 7경기는 전국 방송 중계
-. 상금은 각 선수 별로 우승팀 : 50만달러, 준우승팀 : 20만달러, 4강 : 10만달러, 8강 : 5만달러
-. 인-시즌 토너먼트 MVP와 All-Tournament Team 시상
[총 6개 조로 구성]
[조별 일정]
첫댓글 과연 흥하려나.. 선수들만 죽어나려나
선수들이 딱히 힘든 건 없습니다.
결승전 제외하고는 정규시즌 82경기 포함이라서 경기가 많아지는건 아니에요.
@Melo 음... 어렵네요... 올해에 실제로 봐야 이해를 할 것 같아요 ㅠ.ㅠ
@Melo 4일8강 7일준결승 9일결승이면 비행기타고 5일동안 3경기 인데 체력 죽어나죠.
@데미아니 정규시즌에는 백투백 포함 4일 3경기도 자주 있습니다. 인시즌 토너먼트 일정이 NBA 기준으로는 더 빡세게 추가되지는 않습니다.
처음 토너먼트를 한다고 했을 때 대부분 사람이 체력문제를 언급했기 때문에 정규시즌 일정에 최대한 녹인 것으로 보이고요.
아담실버가 참 창의력과 추진력이 좋은듯하네요. 기대됩니다.
변경사항 시리즈 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