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2년전에 연골연화증 진단을 받았고,그 후로는 틈틈이 무릎단련에 힘써오고 있습니다... 간혹가다
통증이 심할때는 운동을 푹 쉬곤해서 그런지 별로 근육이 많이 생긴것 같진 않네요...--;
현재는 주로 하루에 30분정도 걷기+야산 오르기를 하고 있으며 이틀에 한번씩 가벼운 웨이트 운동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하루는 레그 익스텐션과 햄스트링 컬을, 또 다른 하루는 레그 프레스와 힢 어덕트 운동을 하고 있는데....문제는 스쿼트 동작을 하면 통증과 불쾌감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운동들은 3세트 정도 반복해도 별다른 통증이 없는데, 스쿼트는 1세트(무중량으로 15회정도)만 해도 오른쪽 무릎이 조금 시큰한 느낌이 들고, 운동후에도 슬개골을 누르면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머신을 사용하는 운동들도 좋지만...스쿼트나 런지를 하지 못하니까 하체에 제대로 힘이 생기지를 않아 답답합니다. 런지는 불쾌감이 더 심해서 최근에는 시도하지 않고 있으며 레그 프레스 같은 경우도 각도를 조금 크게 하면(90도에 근접시키면) 역시 스쿼트 동작때와 비슷한 불쾌감이 느껴집니다...
제 상황에서 스쿼트 동작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약간의 통증 정도는 감수한채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운동후에는 반드시 무릎을 찬물로 식혀주는게 좋은건지도 알고 싶습니다... 평소에는 온습포로 찜질을 해주는게 좋다고 하던데...운동후 열이 날때는 다른건가요?
첫댓글런지는 개인적으로 추벽증후근이 심해서 저도 하지 않았습니다. 스쿼트는 각도를 작게 하시고 오랫동안 자세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해보시구요. 다시 일어나실때 몸에 반동이 없게 하세요. 운동 후에 얼음찜질하는 것은 염증을 제거해 준다고 합니다. 붓기가 없다면 평소에 따뜻한 것으로 찜찔하는 것이 좋다고 들었습니다.
첫댓글 런지는 개인적으로 추벽증후근이 심해서 저도 하지 않았습니다. 스쿼트는 각도를 작게 하시고 오랫동안 자세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해보시구요. 다시 일어나실때 몸에 반동이 없게 하세요. 운동 후에 얼음찜질하는 것은 염증을 제거해 준다고 합니다. 붓기가 없다면 평소에 따뜻한 것으로 찜찔하는 것이 좋다고 들었습니다.
다른 운동도 각도를 작게 하시고 천천히 길게 유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레그익스도 다리를 편상태에서 교차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레그 익스할때 다리를 편상태에서 교차시킨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