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Psychology of Spiritual Awakening
Steve Taylor
Wakefulness in Different Cultures
다양한 문화에서 말하는 깨어남
When the state of sleep originally developed — at the time of the Fall — most people accepted it as normal. They felt a sense of unease and frustration, but weren’t aware of its source, and did their best to alleviate or escape from their psychological suffering.
전락의 시기, 수면 상태가 도래했을 때 사람들은 대부분
그 상태를 정상으로 받아들였다.
뭔가 불편하고 답답했지만 그 이유를 알지 못했고,
그런 심리적 불안을 줄이거나 그것으로부터 도망치는 데에만
최선을 다했다.
However, a small number of people didn’t accept their sleep state. Among cultures that underwent the Fall, there were a small number of people who rebelled against sleep. These people had a strong sense that it was aberrational and that their vision of the world was unnaturally constricted. They sensed that it was possible to experience a more expansive and intense state of being in which the world became sacred and spiritual again. In other words, unlike the vast majority of people, they sensed that it was possible for them to wake up, both temporarily and permanently. They experienced accidental moments of awakening, and began to realize that there were certain activities or practices that were likely to generate awakening experiences, such as fasting, sleep deprivation, meditation, or ingesting psychedelic plants or substances.
그렇지만 다양한 문화권에서 극소수였지만 그런 수면 상태를
받아들이지 않고 잠들기를 거부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수면 상태가 오히려 일탈이며, 수면 상태의 세상에 대한
비전이 부자연스럽도록 제한적임을 직감했다.
그리고 세상이 다시 신성하고 영적이 되는, 좀 더 확장적이고
강렬한 존재 상태를 경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느꼈다.
다른 대다수 사람들과는 달리 이들은 일시적. 영구적으로 깨어나는 것이 가능하다고 느꼈던 것이다. 그리고 돌연한 깨어남의 순간들을 경험했고, 금식, 수면 박탈, 명상, 향정신성 물질 복용 등
깨어남을 야기하는 특정 활동이나 수행법들을 계발하기 시작했다.
These small groups of people also began to realize that wakefulness could be cultivated as a permanent state, and developed systems of self- development, featuring spiritual practices and lifestyle guidelines, to do this. They developed what we now know as spiritual traditions. Across Asia, they developed the traditions of Daoism, Buddhism, Vedanta, and many others. Across the Middle East and Europe, they developed the teachings of Sufism, Kabbalah, and mystical Christianity.
이 사람들은 깨어난 상태를 영원히 지속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수행법과 생활 양식 지침서 같은 자기계발 체계들을 하나씩 만들어 냈다.
바로 이렇게 만들어진 것들이 우리가 지금 영적 전통이라고 알고 있는 것들이다.
아시아 전역에서 도가, 불교, 베단타 등의 전통들이 만들어졌고, 중도와 유럽에서는 수피즘, 카발라, 기독교 신비주의가 만들어졌다.
In the same way that a landscape can be seen from different vantage points, and every onlooker may emphasize certain features over others, all of these groups conceived of the wakeful state in a slightly different way. Because of the varying traditions and worldviews of their cultures, they all developed slightly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what it means to be awake, and how to cultivate the state.
같은 풍경일지라도 전망대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보는 사람이 어떤 특성을 중점적으로 보느냐에 따라
또 다르게 보인다.
마찬가지로 깨어난 사람들도 각자 깨어남 상태를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보았다.
각자가 속한 전통과 그 세계관에 따라 깨어남의 의미와
그 계발 방법에 대한 조금씩 다른 해석들이 생겨난 것이다.
Wakefulness in Indian Traditions
인도 전통에서의 깨어남
Of all cultures in the post-Fall world, ancient India developed the deepest understanding of the state of wakefulness and the most sophisticated systems of self-development in order to attain the state. In the Hindu tradition (leaving aside Buddhism for the moment), this under- standing is expressed through texts such as the Upanishads and the Bhagavad Gita, and in traditions such as Yoga and Tantra.
‘전락 이후 세상’의 모든 문화들 중에서 인도는 깨어남 상태에
대해 가장 깊이 이해했고, 그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세련된 자기계발을 만들어 낸 나라이다.
(불교를 제외한) 힌두교 전통에서 보면 <우파니샤드>. <바가바드 기타> 같은 경전글과 요가, 탄트라 같은 전통들이 그들이 깨어남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었는지 말해준다.
In common with other traditions, Yoga philosophers mad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emporary experiences of awakening and wakefulness as a permanent state. In its temporary form, awakening could occur as savikalpa or nirvikalpa samadhi. Samadhi literally means “ecstasy,” and savikalpa
samadhi literally means “ecstasy tied to a particular form.” This means seeing the world as the manifestation of spirit, and realizing that we’re part of its oneness and therefore one with everything in the world.
요가 철학은 일시적인 깨어남 경험과 영구적 깨어남 상태를 명확히 구분했다.
일시적인 경우, 깨어남은 사비칼파 사마디 혹은 니르비칼파 사마디로 나타난다.
사마디는 직역하면 ‘엑스터시’이고 사비칼파 사마디는 직역하면 ‘특정 형태에 묶인 엑스터시’이다. 이 말은 세상을 영성의 현현으로 보며, 우리가 전체의 부분이고 따라서 세상 모든 것과 하나임을 깨달았다는 뜻이다.
However, in nirvikalpa samadhi the world of form disappears all together. It dissolves into an ocean of pure spirit, which one feels is the ultimate reality of the universe. (This is equivalent to the high-intensity awakening experiences I described in the previous chapter.) One has the same sense of oneness as savikalpa samadhi but without the concept of self. A person doesn’t just become one with the world, they actually be- come it.
그러나 니르비칼파 사마디에서는 형태의 세상 자체가 순수한
영성의 바닷속으로 사라져 버린다.
이때 우리는 그 순수한 영성의 바다가 우주의 궁극적 실체라고
느낀다. (이것은 앞서 설명했던 고강도 깨어남 경험과 동일하다)
사비칼파 사마디에서와 같은 하나임을 느끼지만, 자아 개념이 없다는 것이 다르다. 여기서는 세상과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세상 그 자체가 된다.
However, it’s also possible to live in a permanent, ongoing state of samadhi, called sahaja samadhi. In this state, samadhi becomes inte- grated into everyday life. You can live a completely normal human existence — working, eating, and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even thinking when necessary — and may appear to be a completely ordinary per- son. But inside, you have no sense of separateness, and are free of fear and desire. There’s a continual sense of inner stillness, peace, and and wholeness.
As the Upanishads express it, the individual self – atman – becomes one with the spirit-force that pervades the universe, brahman.
You become aware that your essential nature – and the essential nature of all reality – is satchitananda (being-consciouness-bliss).
Bliss or joy is the nature of brahman, so union with brahman means experiencing this bliss.
그런데 지속적인 사마디 상태에서 영원히 머무는 것도 가능한데,
이것은 사하자 사마디라고 부른다.
이 상태라면 엑스터시가 일상 속에 통합된다.
이때 우리는 온전히 정상적인 인간처럼 일하고, 먹고,
사람들을 만나고, 필요할 때 생각도 하며 살 수 있는데,
다른 사람에게도 완전히 정상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면으로 들어가 보면 두려움도, 욕망도, 단절의 느낌도 없다.
내면의 고요와 평화가 지속되고 온전하다고 느낀다.
<우파니샤드> 철학이 말하듯 아트만이라는 개인적인 자아가 우주에 퍼져 있는 영적인 힘인 브라흐만과 하나가 된 것이다.
이때 자신과 세상의 진정한 본성이 사치타난다(존재-의식-지복)임을 알아차린다.
지복(기쁨)은 브라흐만의 본성이고, 따라서 브라흐만과의 합일은 그 지복의 경험을 뜻한다.
The main focus of Hindu spirituality, therefore, is union, which is one possible translation of the term yoga.
Wakefulness in this tradition is about transcending the duality between subject and object,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world. It’s about realizing that, at the essence of your being, you are on with the whole universe.
At the essence of your being is a blissful spiritual energy, a pure radiant consciousness, that is indestructible and eternal.
This energy is also the essence of everything else that exists, and of the whole universe itself.
When you experience this, you move beyond sorrow and beyond death.
그러므로 힌두교 영성은 합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하겠다.
요가라는 어휘 자체도 합일로 번역될 수 있다.
이 전통에서 깨어남이란 주체와 객체, 개인과 세상이라는 이원성을 초월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 존재가 원래는 우주와 하나임을 깨닫는 것이다.
우리 존재가 원래는 파괴될 수 없이 영원한, 지복이 넘치는 영적 에너지이고 광채가 넘치는 순수 의식임을 깨닫는 것이다.
이 에너지가 바로 존재하는 다른 모든 것들, 나아가 우주 그 자체의 본질이기도 하다. 이것을 경험할 때 우리는 슬픔과 죽음 너머로 나아간다.
Buddhist Concepts of Wakefulness
불교에서 말하는 깨어남
Buddhism grew out of Hindu spirituality but doesn’t have the same emphasis on union. Rather, Buddhism emphasizes cultivating selflessness and equanimity.
In Theravada Buddhism, the earliest Buddhist tradition, it’s difficult to define wakefulness accurately because of the Buddha’s reluctance to discuss metaphysical or philosophical issues.
(In one text, the Buddha uses the analogy of a man who has been wounded with a poisoned arrow but refuses to let anyone remove it until he finds out where the arrow came from, who shot it, what caste he is a member of,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paramount thing is to pull out the arrow, that is, to relieve human suffering; the philosophical or metaphysical issues are a distraction.)
불교는 힌두교 영성에 뿌리를 두지만 합일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그 보다는 무아와 평정심의 계발을 강조한다.
붓다가 형이상학적 혹은 철학적 주제들에 대한 논의를 꺼렸기 때문에 초기 불교(소승 불교)가 말하는 깨어남을 정확하게 정의하기가 쉽지는 않다.
(한 경전에서 붓다는 독이 든 화살을 맞고도 화살을 뽑을 생각은 않고 그 화살이 어디서 왔는지, 누가 쏘았는지, 어떤 계급에 속한 사람이 쏘았는지 만 고심하는 사람을 예로 든다. 다시 말해, 중요한 것은 화살을 뽑는 것, 즉 인간의 고통을 없애는 것인데, 철학적이고 형이상학적 문제는 그것을 방해 한다는 뜻이다.)
Nirvana literally means a “blowing out” of the flame of life, a state in which you no longer exist as an individual and are free from the craving that keeps you tied to the wheel of rebirth.
Nirvana can be interpreted as a simple state of extinction, in which you become free of suffering in the simple sense that you no longer have to be reborn into a world where suffering is the nature of things.
Or it can be interpreted in more mystical terms, as a state in which you don’t literally cease to exist but only cease to exist as a separate entity; the separate self becomes extinct as you become one with the whole cosmos.
니르바나는 직역하면 삶의 불을 ‘끈다’라는 뜻으로, 개인으로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윤회의 굴레에 빠지게 하는 모든 갈망에서 벗어났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는 세상으로 다시 태어나지 않으므로 고통에서 자유로운, 이른바 꺼진 상태다. 아니면 존재하기를 멈춘 것이 아니라 분리된 개체로서 존재하기를 멈춘 것뿐이라고 좀 더 신비주의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전체 우주와 하나가 되면 분리된 자아는 꺼지게 된다.
However, in one text, the “Snake-Simile Discourse,” the Buddha goes into detail about the process of awakening.
He describes fur different levels of wakefulness, which involve decreasing self-centeredness and desire and increasing detachment and equanimity.
You become increasingly free from desire and aversion, until at the highest level of wakefulness – that of the arahant, or fully realized being” – you reach a state of complete mental ease and equanimity, and lose any trace of ego.
You live in a state of pure being, without the past or the future, and don’t generate any new karma so that you will not be reborn.
At this point, you are incapable of behaving improperly.
Whereas the unawakened person has to make a conscious effort to be moral and virtuous (through the practice f sila), the fully awakened person is in a state of effortless morality.
그런데 붓다는 ‘뱀의 비유’에서 깨어남의 과정에 대해 자세히 들어간다.
자기중심성과 욕망이 줄어들고 초탈과 평정심이 늘어가는 서로 다른 네 단계의 깨어남 상태를 설명한다. 우리는 가장 높은 수준의 깨어남(아라한, 왼전히 깨달은 존재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즉 완전한 평정심을 얻고 에고를 온전히 버릴 때까지 계속 욕망과 혐오를 버려 나가야 한다.
그 수준에 도달하면 우리는 과거도, 미래도 없는 순수한 존재 상태에서 살고 새 카르마를 전혀 만들지 않기에 다시 태어날 일도 없다.
부적절한 행동도 하지 않는다. 깨어나지 못한 사람은 도덕을 지키고 덕을 베풀기 위해 (계율을 지키며) 의식적인 노력을 해야 하지만, 완전히 깨어난 사람은 노력하지 않아도 도덕적으로 행동하게 된다.
In other forms of Buddhism, wakefulness is described more directly.
In the later Mahayana tradition, it’s described in terms similar to Samadhi, as a recognition of the “suchness” (or basic reality) of things and an awareness of their underlying oneness. Suchness is sometime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the dharmakaya, which has similarities with brahman.
As with brahman, the whole world emerges from the dhrmakaya and all things are one in it.
According to the famous Japanese Buddhist teacher D. T. Suzuki, enlightenment means the realization of the dharmakaya within oneself and the experience of it’s “all-embracing love and all-knowing intelligenc.”
초기불교에서 벗어나면 깨어남에 대한 좀 더 직접적인 설명이 가능해진다.
대승불교 전통에서 깨어남은 모든 것의 ‘근본 실체’를 인식하는 것이고, 모든 것이 기본적으로 하나임을 알아차리는 것으로, 사마디와 비슷한 느낌이다.
이 근본 실체는 브라흐만과 유사한 다르마카야(法身법신) 개념으로 이어진다.
대승불교에서는 브라흐만의 경우처럼 세상은 다르마카야에서 나오고, 모든 것이 이 다르마카야 안에서 하나로 존재한다.
일본의 저명한 불교학자 D.T. 스즈키에 따르면 깨달음은 우리 안에서 다르마카야를 깨닫는 것이고 그 “모든 것을 포용하는 사랑과 모든 것을 아는 지성”을 경험하는 것이다.
The Mahayana tradition (and Zen, which is the form Mahayana Buddhism tool in China and Japan) views wakefulness as a natural state that is always present, like gold within ore.
In other words, awakening is a process of ucoering our true nature. Buddha nature is latent in all beings.
It’s an active principle with a transformative power so that awakening is at least partly a process of allowing this transformative power to manifest itself.
중국과 일본의 선불교를 포함한 모든 대승불교 전통에서는 깨어남을 광석 안의 금처럼 우리 안에 이미 항상 존재하는 자연적인 상태로 본다.
다시 말해 깨어남은 우리의 진정한 본성을 폭로하는 과정이다.
모든 존재 안에는 불성이 있으니까 말이다.
불성은 변형의 힘을 갖고 있으며 능동적이다. 그러므로 깨어나기란,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이 변형의 힘이 스스로 드러나도록 허락하는 과정이다.
Wakefulness in Daoism
도가(道家)에서의 깨어남
It’s one the strange synchronicities of history that many the world’s earliest (and still most profound, even today) spiritual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emerged at roughly the same time, apparently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t roughly the same time, as Indian figures such as the Buddha and Patanjali (who wrote or complied the basic teachings of Yoga in the Yoga Sutras) developed their teachings, further west, in ancient Greece, figures such as Heraclitus and Plato were developing the foundations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And during the same period, to the east of India, Chinese sages were developing similarly profound teachings, making their own attempts to conceptualize the wakeful state and develop practices to cultivate it.
현대에도 그 심오함을 잃지 않는 고대의 영적, 철학적 전통들이 동시 발생적으로 거의 같은 시기에 서로 독립적으로 생겨 났음은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붓다와 파탄잘리 같은 인물들이 인도에서 그 가르침을 펼치던 때와 거의 같은 시기에 먼 서양의 고대 그리스에서는 헤라클레이토스, 플라톤 같은 인물들이 서양철학의 근간을 수립했다.
그와 거의 같은 시기에 인도의 북동쪽, 중국의 성인들도 깨어남
상태를 개념화하여 그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수행법을 계발했고,
그 심오한 가르침을 펼쳐나갔다.
In ancient China, the concept of an all-pervading spiritual principle was called the Dao. The Dao (sometimes spelled with a T, as the Tao) is usually translated as “the way” or “the principle.” It’s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 universe, a spiritual force that gives rise to all things and that flows through all things; it maintains the balance and order of the universe. As such, it clearly has similarities with brahman and the dharmakaya.
고대 중국에서는 편재하는 영적인 법칙을 도(道)라고 불렀다.
도는 보통 ‘길’ 혹은 ‘법칙’으로 번역되는데, 우주의 근본정수 혹은 우주의 모든 것을 만든 것이고, 동시에 그 우주 안에서 흐르는
영적인 힘을 뜻하기도 한다.
이 도가 우주의 균형과 질서를 유지한다. 그렇다면 분명 도는
브라흐만, 다르마카야와 비슷한 개념이다.
In Daoism, the spiritual-philosophical tradition that developed around the concept of the Dao, the term ming is closest wakefulness. The ancient Daoist sage Chuang-tzu uses this term to describe a state in which you no longer experience duality and separation, and realize your true nature as the Dad and so become one with it.
You “empty yourself out” until you are no longer an individual; you experience oneness.
(Again, there are clear parallels with Hinduism here, with its emphasis on union and the transcendence of apparent separation from the world.)
As Chuang-tzu advocates, “Be empty: that is all. The perfect man’s use of his mind is like a mirror.”
In the state of ming, your mind is completely still as well as empty.
And in this state, your life becomes the spontaneous expression of the Dao. You give up your own will and live in a state of “actionless activity” (we wei). You still live an active life but don’t act deliberately or with conscious intent. You simply allow the Dao to act through you.
도(道) 개념을 둘러싸고 발전한 영적. 철학적 전통인 도가(道家)에서는 명(明) 개념이 깨어남 개념에 가장 가깝다.
도가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 장자는 명(明) 개념을 이용해,
이원성과 분리가 없는 도의 진정한 본성을 깨닫고
그와 하나가 되는 상태를 설명했다.
개인으로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자신을 비울 때’
하나임을 경험한다.
(여기서도 세상과의 극명한 분리를 초월할 것을 말하고 하나임을 말한다는 점에서, 힌두교와 그 궤를 같이 한다.)
장자는 “비우라. 그럼 된다. 거울 같은 마음으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비출 때 성인이 된다.”고 주장했다.
명(明) 상태일 때 마음은 텅 비고 그만큼 절대 고요를 경험한다.
그리고 이 상태가 되면 도의 즉흥적인 표현이 곧 삶이 된다.
우리는 의지는 버리고 ‘무위(無爲)’ 상태에서 살게 된다.
As in Buddhism, the Daoist concept of wakefulness emphasizes equanimity. When you attain union with Dao,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events affect you. You have a peaceful, stable self-sufficiency inside you that nothing can disturb.
You also lose the fear of death,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life and death no longer has any meaning, as with other distinctions such as “I” and “you,” and “the world.”
불교에서처럼 도가의 깨어남 개념도 평정심을 강조한다.
도와 합일할 때 긍정적인 사건도, 부정적인 사건도 우리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우리는 방해 없는 평화롭고 안정적인 자족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사라진다.
‘나’와 ‘너’, ‘나’와 ‘세상 같은 구분은 물론 삶과 죽음 사이의 구분도 더 이상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In a more general sense, the great Daoist text, the Dao De Jing (or Tao Te Ching) – my own personal favorite of all spiritual texts, along with the Upanishads – describes wakefulness in terms of recapturing the spontaneity, openness, and unself-consciousness of childhood. In a strikingly similar way to Jesus advising us to “become like little children,” the Dao De Jing advise us to “return to the state of the infant,” and says that the person who “has in himself abundantly the attributes (of the Dao) is like an infant.”
도가 철학 최고 경전인 <도덕경>은 깨어남이 즉흥성, 열린 마음, 유년기의 사심 없는 의식을 되찾게 되는 것이라며 좀 더 일반적인 의미로 설명한다.
이것은 “어린아이처럼 되어야”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는 예수의 충고와 놀랍도록 유사하다.
<도덕경>도 “아이의 상태로 돌아가라.”고 충고하고 “내면에서 도의 특성을 풍부하게 갖고 있는” 사람은 “아이와 같다.”라고도 말한다.
Wakefulness in Monotheistic Religions
유일신 종교에서의 깨어남
The concept of wakefulness is central to Daoist, Buddhst, and Hindu spirituality but it’s less overt in the Abrahamic religions –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도가, 불교, 힌두교 전통에서는 깨어남 개념이 그 중심을 차지하지만,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로 대표되는 아브라함 종교들은 좀 다르다.
In The Fall I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monotheistic religions represented a movement into further ego-separateness.
When I began to read anthropological text as part of my research for The Fall, I was surprised to learn that most of the world’s primal or indigenous peoples aren’t theistic in the sense we understand i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social anthropologist Gerhard Lenski, for example, only 4 percent of contemporary hunter-gatherer groups have a concept of a “creator god contemporary hunter-gatherer groups have a “creator god concerned with the moral conduct of humans.”)
“Unfallen” peoples doesn’t believe in gods who oversee the world and control its events. Instead, they have concepts of a spirit-force or energy that pervades the world, and of individual spirits that interact with natural phenomena. Like gods, spirits can control natural events – they can cause illness, make rai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wind. However, they aren’t conceived as anthropomorphic entities like gods but rather as abstract forces or powers, almost like vapors.
<자아폭발-타락>에서 나는 유일한 종교의 발전이 에고-분리체계로의 적극적인 이동을 시사한다고 말한 바 있다.
그 책의 집필을 위한 연구 차원에서 인류학 서적들을 읽기 시작했는데,
그때 초기 인류 혹은 원주민들 대부분이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신에 대한 개념을 거의 갖고 있지 않았음을 알고 적잖이 놀랐다.
(예를 들어 사회 인류학자 게르하르트 렌스키의 통계에 따르면,
사냥과 채집으로 살아가는 현대의 집단들 중 오직 4퍼센트만이
인간의 도덕성과 관련 있는, 창조자 ‘신’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다고 한다.)
‘전락하지 않은’ 사람들은 세상을 내려다보며 통제하는 신을 믿지 않는다.
대신에 세상 모든 것에 스며 있는 영적인 힘이나 에너지를 믿으려 자연 현상과 상호 작용하는 개별적 영혼들의 존재를 믿는다.
신처럼 이 영혼들도 자연 현상을 바꿀 수 있다. 즉 병을 야기하고 비를 내리고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혼들이 신 같은 의인화된 개체로 받아들여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거의 안개와도 같은 추상적인 힘이나 권력 같은 것이다.
The concept of gods as personal, anthropomorphic beings was a result of the intensified sense of ego.
On the one hand, it was a clear sign of how despiritualized the world had become. The natural world was no longer sacred, as it had been to primal peoples. Now sacredness was confined to specific places such as churches or temples, and to specific people such as priests. Now the “divine” was otherworldly, apart from the world rather than within it.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gods was a reaction to the aloneness and unease that human beings now experienced. The belief in gods who oversaw the world and controlled all its events was a psychological response to insecurity and separation. It made the world seem a more benign and orderly place, and gave people a sense of protection and security. In addition, believing that gods were always present, watching over them, helped to alleviate people’s sense of ego-isolation or aloneness.
의인화한 개인적인 존재로서의 신에 대한 개념은 강화된 에고 의식의 결과이다.
그리고 세상이 얼마나 비영성화 했는지를 보여주는 분명한 지표이다.
자연 세상은 이제 초기 인간들에게 그랬던 것처럼 신성하지 않다.
이제 교회나 사원 같은 구체적인 장소와 사제 같은 구체적인 인물들만 성스럽다.
이제 ‘신성함’은 이 세상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세상과 동떨어진 저 세상의 것이 되었다. 이러한 신에 대한 개념은 전락 후 인간 존재가 느끼게 된 고독과 불편함에 대한 반응 혹은 대답이었다.
세상을 내려다보며 그 속의 사건들을 통제하는 신을 믿는 것은
분리와 불안에 대한 심리적 보상 효과를 노린 것이었다.
그런 신을 믿을 때 세상은 정돈되어 보이고 좀 더 호의적이 되었다.
그리고 신이 우리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것 같았다. 게다가 신이 항상 서기서 우리를 내려다보고 있다고 믿자 에고의 단절감 혹은 외로움이 줄어들었다.
The concept an afterlife associated with these theistic belief also performed an important psychological function.
Particularly in monotheistic religions (not so much in polytheistic religions such as those of ancient Greece or Rome), the afterlife is conceived as an idyllic place, an eternal paradise in which we can satisfy all our desires and live in perfect bliss and peace, free from the suffering that blights our lives on earth.
This concept of the afterlife acted as a consolation for the suffering that filled human life after the Fall – not only psychological suffering but also the social suffering of constant warfare, oppression, and brutality.
이런 믿음과 함께 사후 세계 개념도 심리적으로 중요했다.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다신교와 달리) 특히 유일신 종교의 경우 인간은 죽고 나면 삶을 힘들게 했던 그 모든 도통에서 벗어나 완벽한 축복과 평화 속에서 살게 될 거라고 말한다. 이런 사후 개념이 전락 후 인간의 삶을 가득 메웠던 고통(심리적 고통만이 아니라 끝없는 전쟁, 억압, 잔인함의 분출로 인한 사회적 고통까지 포함)에 대한 일종의 위로로 작용했다.
In this sense, there was nothing transcendent about monotheistic religions. They were a defensive reaction against the intensified sense of ego and its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s.
And this is still true.
Conventional Christianity, Islam, and Judaism are conceptual rather than transformative; that is, they are based on belief and conventions of behavior rather than self-transformation.
이런 이유로 유일신 종교들에서는 초월적인 요소들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 종교들은 강화된 에고와 그것의 심리적. 사회적 파장에 대한 방어기제였다.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그렇다. 현대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는 변형이라기보다 관념적인 쪽에 가깝다. 즉 자아의 변형보다는 믿음과 계율을 주로 설파한다.
However, within these cultures there were people who sensed the possibility of transcending their sleep state.
These people – known as mystics – radically reinterpreted some of their religions’ teachings in light of their experiences of wakefulness. They took religions based on consolation and radically reenvisioned them as transformational systems.
그런데 이 문화들 안에서도 수면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감지한 사람들이 있었다. 신비주의자들이라고 불린 이들은 개인적인 깨어남 경험에 비추어 유일신 종교들의 가르침을 일부 급진적으로 재해석했다. 위로의 종교에서 변형의 영적 체계를 구현해 낸 사람들이 바로 이 신비주의자들이다.
In this sense, wakefulness as it’s expressed in monotheistic religions like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takes people beyond those religions. When people wake up, they lose the sense of being identified with – and the need to belong to – a particular religious tradition. They begin to feel an all-embracing empathy and compassion that takes them beyond the divisions of religious or ethnic groups. As a result, such awakened individuals, even when they are affiliated with one particular religion, are usually ecumenical and open to other faiths.
They see all religious and spiritual traditions simply as different paths to the same destination, or different views of the same landscape. Unlike conventionally religious people, they don’t see their tradition’s beliefs as “the truth” and try to defend them against opposing views.
그렇다면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 같은 유일신 종교에서 말하는 깨어남도 사람들은 그 종교 너머로 데리고 갔다고 말할 수 있겠다.
깨어나면 특정 종교 전통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거나 그곳에 속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 그보다는 종교나 민족을 넘어서 모든 존재에게 연민과 자비를 느끼기 시작한다. 그 결과 특정 종교에 속에 있다고 해도 보통 초교파적이 되어 모든 신념 체계에 열린 자세를 유지한다. 그리고 모든 종교와 영적 전통들을 같은 목적지로 이어지는 다른 길 혹은 같은 풍경을 다른 지점에서 보는 것으로 여긴다.
이른바 종교적이라는 보통의 사람들과 달리 이들은 자신이 속한 전통이 믿는 것만 것 ‘진리’로 간주하지 않고, 다른 관점에 대항해 자신의 믿음을 방어하려 하지도 않는다.
Partly because of this, awakened individuals throughout history have had an uneasy relationship with the religious traditions they were affiliated with.
Conventional religious leaders struggled to make sense of mystics’ awakened interpretations of religious teachings and often viewed them as blasphemous.
Whereas conventionally religious people conceive of God as a personal being who oversees the world from another dimension of reality religious mystics see God as an immensely powerful and radiant energy that pervades the whole world.
And most radically, religious mystics don’t see this God as separate from themselves. God is essence of their own being so that, in a sense, they are also God.
역사적으로 깨어난 사람들이 자신이 속했던 기존 종교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은 부분적으로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기존 종교 지도자들은 그 종교의 가르침에 대해 신비주의자들이 내리는 빼어난 해석들을 잘 이해할 수 없었고, 따라서 신성 모독을 논하곤 했다.
기존 종교 지도자들은 신을 다른 차원에서 세상을 내려다보는 개인적 존재라고 보는 반면, 신비주의자들은 신을 세상에 편재하는, 더할 수 없이 강력하고 밝은 에너지로 보았다. 게다가 신이 자신들과 분리되러 있지 않다고까지 했다.
신이 그들 존재의 본질이고, 그 결과 어떻게 보면 그들 자신도 신이 되는 것이다.
Such insights as these inevitably led to conflict with religious authorities and accusations of heresy.
For example, the ninth-century Sufi mystic Mansur Al-Hallaj was prone to falling into a trance in which he would declare “I am the truth,” He also wrote spiritual poetry describing his oneness with God, including lines such as:
이런 통찰이 종교 권력과 마찰을 일으켰고, 이단으로 고발되었다.
예를 들어 9세기 수피 신비주의자 만수르 알-할라즈는 곧잘 무아지경에 들어 “내가 진리다.”라고 선언하곤 했다. 알-할라즈는 신과 합일 상태를 묘사하는 영적인 시를 쓰기도 했다. 다음이 그 일부다.
Thy Spirit s mingled in my spirit,
even as wine is mingled with pure water.
When anything touches Thee, it touches me to,
in every case Thou art I.
포도주가 순수한 물에 섞이듯
당신의 영혼이 내 영혼에 섞입니다.
당신을 만지는 것이 무엇이든 나도 만집니다.
모든 곳에서 당신이 바로 나입니다.
As a result, he was imprisoned for eleven years and finally execut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 great fourteenth-century mystic Meister Eckhart may well have also been imprisoned and executed, if hadn’t died of natural causes before his trial for heresy began.
그 결과 알-할라즈는 11년 감옥살이 끝에 처형당했다.
14세기 위대한 기독교 신비주의자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도 이단 재판이 시작되기 전 자연사하지 않았다면 처형되었을 것이다.
Wakefulness in the Jewish Tradition
유대교에서 보는 깨어남
In Judaism, the main mystical tradition is Kabbalah.
As with Hindu and Daoist spirituality, the ultimate aim of Kabbalah is union with the divine, or En Sof (literally, “without end”).
In the Zohar, the major work of Kabbalah, this state of union is called devekut – literally translated as “cleaving to the divine” – and described as a state of mental stillness and emptiness, ecstasy and awe. It’s a place of no thought, in which we transcend our normal sense of ego and become aware of the harmony and unity of cosmos, and also our own unity with it.
유대교에는 ‘카발라’라는 신비주의 전통이 있다.
힌두교와 도가의 주장처럼 카발라도 신성 혹은 아인 소프(무한. 끝없음)와의 합일이 그 궁극적인 목적이다. 카발라의 주요 경전 <조하르>는 그런 합일을 데베쿠트(신성과 친밀한 소통에 이르렀다.)라고 하며, 그것이 정신적 텅 빔, 고요, 엑스터시와 경외감을 지배하는 상태라고 설명한다. 그것은 바로 에고를 초월해 사고가 정지되고, 조화를 알아차리고, 우주의 하나임과 그 우주와 우리가 합일됨을 알아차리는 상태이다.
According to the Zohar, the universe and everything in it is pervaded with translucent light (in fact, the term Zohar literally means “splendor” or “brilliance”).
This radiance is the fundamental reality of the world, but our normal, limited awareness – that is, our sleep state – denies us access to it.
In order to experience it, we have to expend and intensify our awareness; we need to wake up.
Kabbalistic texts recommend a variety of meditative exercises to do this, including prayer, chanting, visualizing symbols, contemplating the letters of the Hebrew alphabet, and contemplating and visualizing the wonders of the universe.
They also recommend cultivating an attitude of indiscriminate joy, which creates an opening for the divine to flow through us (as opposed to sadness and depression, which close us off to the divine).
<조하르>에 따르면 우주와 그 안의 모든 것에는 반투명의 빛이 스며들어 있다.
(‘조하르’를 직역하면 ‘화려함’, ‘광명’) 이 광명이 세상의 기본 실체이지만 우리의 일반적이고 제한적인 의식 상태(즉 수면 상태)가 그 실체와의 만남을 부인하고 있다.
그 실체를 경험하려면 우리 의식을 확장하고 강화해야 한다.
다시 말해 깨어나야 한다. 카발라 경전들은 그렇게 깨어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명상 수행법들을 추천한다. 기도, 주문, 상징 시각화, 히브리 알파벳 문자 사색, 우주 불가사의 시각화. 숙고하기 등이 그것들이다. 그리고 무차별적인 기쁨을 느끼는 자세를 계발하라고 권하는데, 그때 신성이 우리를 통해 흐를 수 있다고 한다.
(반대로 슬픔과 우울감 등은 신성과의 연결을 차단한다.)
The depiction of wakefulness in kabbalah includes a strong altruistic element that isn’t so much a part of Hindu, Daoist, or Christian traditions (although it occurs in Buddhism in the conept of the Bodhisattva – the enlightened being who decides to return to the world rather than step off the wheel of samsara, in order to help other people become enlightened).
The ultimate aim of kabbalah isn’t so much individual but collective transformation.
When a person becomes awakened, their experience effects the whole of humanity, in the same way that when a light is turned on it illuminates the space all around it.
In the Zohar, the aim of prayer isn’t merely to bring the adept closer to union with God but also to generate joy and peace in the world, which are “brought down” to the world and spread to all those who are open to it.
카발라에 따르면 깨어날 때 강한 이타주의도 생겨난다.
이것은 힌두교, 도가 혹은 기독교 전통들이 그리 강조하는 점은 아니다.
(물론 불교에서는 해탈 후 윤회의 고리를 떠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의 깨달음을 돕기 위해 다시 이 세상으로 돌아오는 보살의 개념이 있기는 하다.)
카발라의 궁극적 목적은 개인적이기보다는 집단적인 변형 쪽에 가깝다.
개인이 깨어나면 주변 전체를 밝히는 것처럼 인류 전체에도 영향을 준다.
다시 말해 한 사람 한 사람의 깨어남이 ‘티쿤 올람’, 즉 ‘세상의 치유’를 촉진한다.
<조하르>에서 기도의 목적은 신과의 합일에 다가가는 것만이 아니라 이 세상에 기쁨과 평화를 부르는 것이기도 하다. 이 기쁨과 평화가 세상에 ‘내려가’ 그것에 열려 있는 모든 존재에게 퍼져 나간다.
A different form of Jewish mysticism emerged in the Hasidic tradition, which originated in sixteenth-century Poland.
According to Hasidism, God is present in everything, including the human soul (where God is “the soul of the soul”).
In our normal sleep state, we’re alienated from the divinity inside us; we live in a state of forgetfulness and separation.
However, we can awaken to this divine presence through intense devotion, prayer, and meditation. These spiritual practices can enable us to transcend time and space and become absorbed into God so that we become one with the universe.
유대교 신비주의의 한 형태가 16세기 폴란드에서 하시디 전통으로 정착되기도 했다.
하시디즘에 따르면 신은 인간 영혼을 포함한 모든 곳에 존재한다. (여기서 신은 ‘영혼 중의 영혼’이다.)
수면 상태에 있는 우리는 내면의 그 신과 소원해져 있다. 즉 단절과 망각 상태에서 산다. 하지만 강력한 기도, 명상, 몰두 같은 수련을 통해 그 신성의 존재를 깨울 수 있다. 이런 수련을 통해 우리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신 안으로 흡수되고 나아가 우주와 하나가 된다.
Wakefulness in the Christian
기독교 전통에서의 깨어남
Evelyn Underhill, the great scholar of mysticism, identified five stage of awakening in the teachings of Christian mystics.
The first stage is awakening in the teachings of Christian mystics.
The first stage is awakening of the self, when the mystic experiences heightened awareness and is aware of a divine energy pervading the world. These glimpses of wakefulness make the mystic painfully aware of the limits of their normal consciousness and encourage them to go through a second stage, purgation, where they try to transcend these limits by purifying themselves, living a life of renunciation and self-denial. This leads to the third stage, illumination, where heightened awarenss returns but is more stable and intense, with a vision of all-pervading divine presence and an inner joy or ecstasy.
위대한 영성가 이블린 언더힐은 기독교 신비주의를 설하며 깨어남의 다섯 단계를 규정했다.
그 첫 단계는 자아가 깨어나는 단계이고, 이 신비한 경험이 의식을 고양하면 세상에 스며들어 있는 신성한 에너지를 알아차리게 된다.
이렇게 한번 깨어남을 맛보게 되면 일반적인 의식 상태가 얼마나 제한적인지 통렬하게 깨닫게 되므로, 두 번째 단계인 정화 단계로 나가게 된다.
정화 단계란 자아를 거부하고 신성과 재결합하는 삶을 추구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의식 상태의 한계를 초월하려고 노력하는 단계이다.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세 번째 단계, 즉 광명의 단계에 이른다.
이 단계에서는 다시 의식이 고양되는데 이번에는 의식 상태가 더 강렬해지고 더 안정적이다. 그리고 모든 곳에 편재하는 신성의 존재를 알게 되고 내면으로부터 기쁨 혹은 엑스터시를 느끼게 된다.
For some mystics this is the end point of their development, but for others, according to Underhill, illumination is followed by a fourth stage, the “dark night of the soul.”
In this of desolation and despair the mystic feels abandoned by the divine, as if, in Meister Eckhart’s words, “there were a wall erected between Him and us.” They feel spiritually arid and full of self-loathing. However, this dark night is actually a phase of further purgation, in which the soul empties itself out completely so that it can experience union with the divine.
이 단계에서 마감하는 신비주의자들도 있지만, 언더힐에 따르면 네 번째 단계인 ‘영혼의 어두운 밤’ 단계로 당사자는 신성으로부터 버림받아,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말을 빌리자면 마치 “그와 나 사이에 벽이 세워진 것 같다.”고 한다.
이때 우리는 영성이 메마르고 자기 혐오감에 시달린다. 하지만 이 어두운 밤은 사실 고급 정화 단계로 영혼이 신성과의 합일을 경험하기 위해 그 자신을 온전히 비우려 애쓰는 과정이다.
If the mystic emerges from the dark night, they reach the final stage of the mystical path, that of union or deification.
Here the mystic doesn’t just see God in the world – as in the awakening or illumination stages – but becomes one with God.
The soul becomes one with the ground o reality or the “Godhead.” as Meister Eckhart calls it) and with the entire cosmos.
There’s no longer a separate “I.”
The mystic’s identity now includes the whole world.
이 어두운 밤의 나날에서 벗어난다면 이 수행자는 신비주의자를 위한 길 그 마지막 단계, 즉 신과의 합일 혹은 신성화 단계에 도달한다.
이때 이 사람은 (앞의 단계에서처럼) 세상 속에 있는 신을 단지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와 하나가 된다.
영혼이 실체의 근본(혹은 에크하르트가 말한 삼위일체 신을 넘어선 그 배후의 신성)과 하나가 되고 온 우주와 하나가 된다. 그곳에는 ‘나’로 나타나는 분리가 사라지고 온 세상이 곧 이 신비주의자가 된다.
The concept of union with God is as central to Christian mystical tradition as it is to Kabbalah and Hasidism.
A thirteen-century Christian mystical text called On Cleaving to God even uses the same terminology as the Zohar.
According to this text, we, through loving God, can “pour ourselves” into his being and become absorbed into it.
In order words, our love of God can transform us into God.
Meister Eckhart also describes how love allows us to “enter into” God and then enables us to “know Him as He is.”
The sixteenth-century Spanish mystic John of the Cross writes similarly of a state of “spiritual marriage” with God in which we live in a “dark silence” that is at the same time “filled with light and heavenly music.”
신과의 합일은 카발라와 하시디즘뿐만 아니라 기독교 신비주의 전통에도 중요한 개념이다. 13세기 기독교 신비주의 경전 <신과의 합일>을 보면 심지어 용어들도 <조하르>와 같은 용어를 쓴다. <신과의 합일>에 따르면 우리는 신을 사랑하는 것을 통해 “우리 자신을” 그에게로 “부어서” 그 속에 섞일 수 있다. 신에 대한 우리의 사랑이 우리를 신으로 바꿔준다는 뜻이다.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도 사랑으로 우리가 어떻게 “신 속으로 들어가고” “신을 있는 그대로 알게” 되는지 설명했다. 16세기 스페인 신비주의자 십자가의 요한도 비슷한 의미로 신과의 “영적 혼인” 상태라는 말을 썼는데 이때 우리는 “빛과 천국의 음악으로 가득한 어두운 침묵” 속에서 산다.
It’s worth emphasizing that these Christian (and Jewish) mystics aren’t describing temporary experiences of oneness (although, of course, they describe these, too).
Here they are talking about wakefulness as an ongoing, stale state of being. Again, they are describing a state akin to the Hindu concept of sahaja Samadhi, in which a person lives in constant union with the divine throughout their everyday life.
이 기독교(그리고 유대교) 신비주의자들의 경우 하나임을 감지하는 일시적 경험에 대해서는 (물론 설명은 하지만) 그렇게 강조하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지속적이고 안정된 존재 상태로서의 깨어남을 더 강조한다. 다시 말해 힌두교의 사하자 사마디와 유사한 상태를 말하고 있는 것인데, 이 상태에서는 신성과 지속적으로 합일된 채 일상을 살아간다.
Evelyn Underhill gives the examples of fifteenth-century Catherine of Genoa and sixteenth-century Teresa of Avila, both of whom lived in “unbroken consciousness” of the divine at the same time as living highly active and productive lives in everyday society.
The seventeenth-century French mystic Marie de l’Incarnation gives an excellent description of this state of permanent contemplation (or sahaja Samadhi):
“My soul has dwelt in her centre, which is God…
One can read, write, work, do what one will, and nevertheless this fundamental occupation always abides and the soul never ceases to be united with God.”
이블린 언더힐은 15세기의 성녀 제노아의 캐더린과 16세기의 성녀 아빌라의 테레사를 그 예로 드는데, 이 둘 모두 신성과 “결코 단절되지 않은 의식” 속에서 자신이 속한 사회의 일상생활도 더할 수 없이 활발하고 생산적으로 해냈다. 17세기 프랑스 신비주의자 복녀 강생의 마리아는 이런 영원한 명상 상태에 대해 다음과 같은 훌륭한 설명을 남겼다.
“내 영혼이 그 중심, 즉 신의 중심에서 살았다.
… 읽고 쓰고 일하는 등 원하는 것은 다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은 기본적으로 항상 그곳에 있고 내 영원은 신과의 합일을 절대 끊어 내지 않는다.”
Wakefulness in Sufism
수피즘에서 보는 깨어남
The goal of Sufism, the mystical tradition of Islam, is also union with God, not just as a temporary experience but as a permanent state. Fana, usually translated as “passing away,” is the Sufi term for a temporary awakening experience in which a person’s identity fades away and dissolves into union with the world, and nothing remains except divine radiance and oneness.
In this way, fana is similar to the Hindu concept of nirvikalpa Samadhi. And in the same sense that sahaja Samadhi is seen as a permanent, ongoing state of Samadhi, in Sufism baqa (or “abiding in God”) is a more stable and ongoing variant of fana.
The person doesn’t cease to exist but their individuality is absorbed into God, giving them a permanent sense of his being pervading both the world and their own being.
이슬람 신비주의 전통인 수피즘도 신과의 일시적 합일, 나아가 영원한 합일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통 ‘소멸’로 번역되는 파나가 일시적 깨어남을 뜻하는 수피 용어인데, 이 상태에서는 기존 정체성이 사라지고 세상과 하나가 되며 신성한 광채와 그 하나임 외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 그렇다면 파나는 힌두교의 니르비칼파 사마디와 유사한 개념이다. 그리고 힌두교에 ‘지속되는 깨어남’ 상태의 사하자 사마디가 있다면, 수피즘에서는 파나의 변형인 ‘신’ 안에 거주한다.’는 뜻의 바까가 있다.
이 상태에 이른 사람은 계속 일상을 살아가지만,
개인성이 신 안에 흡수되기 때문에 자신과 세상 속에서 늘 그 신의 존재를 감시한다.
In baqa the mystic no longer has a will of their own but lives in and through God in a state of ecstasy.
The person no longer has a sense of planning their own life or making things happen.
In this way, there’s a strong similarity with the state of activity (we wei) that arises when we live in harmony with the Dao.
Life unfolds naturally and spontaneously by virtue of divine power.
As in Buddhism, there’s a complete lack of desire and ambition, and a complete indifference to praise r disrespect.
바까 상태에 도달한 신비주의자는 더 이상 자신만의 의지를 갖지 않게 되지만,
그 대신 신 안에서 신을 통해 엑스터시 상태에 살게 된다.
더 이상 자신의 삶을 계획하거나 도모하지 않는다.
이는 도를 알며 살 때 자연스럽게 영위하게 되는 무위의 상태와 매우 유사하다.
삶이 신성의 힘에 의해 자연스럽고 즉흥적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불교에서처럼 욕망과 야망이 절대적으로 부재하고 찬사든 무례함이든 타인의 행동에 조금도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Sufism emphasizes altruism and collective awakening, as do the Jewish mystical traditions. This differs from Theravada Buddhism, in which awakening effectively means leaving the world behind – becoming free of karma so you don’t have to be born again.
In Sufism, as in Kabbalah, the awakened person has a responsibility to share their wakefulness with others, to manifest it in the world of time and space.
Their awakening contributes to the awakening of the whole human race.
수피즘도 이타주의와 집단 깨어남을 유대교 신비주의만큼 강조한다.
이것은 깨어나기 위해서는 세상을 등져 카르마를 더 이상 만들지 말아야 하고, 다시 태어나지 않아도 되면 좋다고 말하는 소승불교와 다른 점이다.
수피즘은 카발라처럼 깨어난 사람이라면 자신이 아는 것을 남과 공유할 책임이 있고, 세상의 시공간에 나타날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이들의 깨어남이 인류 전체의 깨어남에 공헌하기 때문이다.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