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작어세(必作於細)
세상의 모든 큰일은 결국 사소한 것에서 부터 시작된다는 뜻으로, 큰 것만 보지 말고 조그만 것에도 관심을 갖고 세밀하게 살펴봐야 한다는 말이다.
必 : 반드시 필(心/1)
作 : 만들 작(亻/5)
於 : 어조사 어(方/4)
細 : 작을 세(糹/5)
출전 : 노자(老子) 63章
老子 / 六十三章
노자(老子) 63장은 이렇게 말한다.
為無為, 事無事, 味無味。
행함이 없음을 행하고, 일하지 않음을 일하고, 맛없음을 맛본다.
大小多少, 報怨以德。
큰 것과 작은 것이 있고 많은 것과 적은 것이 있으니, 원망 갚기를 덕으로써 한다.
圖難於其易, 為大於其細.
어려운 일은 그 쉬울 때 도모하고, 큰일은 그 작을 때 한다.
天下難事, 必作於易,
天下大事, 必作於細。
천하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일로부터 시작되고,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작은 일로부터 시작된다.
是以聖人終不為大, 故能成其大。
이런 까닭에 성인은 끝내 큰일을 하지 않기 때문에, 능히 큰일을 이루어 낸다.
夫輕諾必寡信, 多易必多難。
대저 가볍게 승낙하면 반드시 믿음이 적고, 너무 쉽게 여기면 반드시 어려움이 많다.
是以聖人猶難之, 故終無難矣。
이런 까닭에 성인은 오히려 어렵게 여기기 때문에, 어려움이 없는 것이다.
일부러 하지 않음을 가지고 일하는 것으로 삼고, 일하는 것이 없는 것으로서 일로 삼으며, 맛이 없는 것을 맛으로 삼는다.
작은 것을 크게 여기고 적은 것을 많게 여기며 원한을 덕으로 갚는다. 어려운 일은 그것이 쉬울 때에 처리하고 큰일은 그것이 미세할 때 해결한다.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쉬운 데서부터 일어나고,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미세한 데서부터 시작된다. 그런 까닭에 성인은 결코 큰 것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히 큰 것을 성취하는 것이다.
대체로 가볍게 승낙하는 것은 반드시 믿음성이 적고, 쉬운 것이 많으면 반드시 어려운 것이 많은 것이다. 그런 까닭에 성인도 그 쉬운 일을 오히려 어렵게 여긴다. 그러므로 성인은 마침내 어려운 것이 없는 것이다.
기원전 403~221년,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 법가(法家)를 대표하는 한비(韓非)의 논저 ‘한비자(韓非子) 유로편(喩老篇)’에 ‘必作於細’와 비슷한 말이 나온다.
천길 제방 둑은 땅강아지와 개미구멍에 의해 무너지고 백척의 높은 집이라도 자그마한 굴뚝 사이 불씨에 의해 타버린다(千丈之堤 以螻蟻之穴潰 百尺之室 以突隙之烟焚). = 제궤의혈堤潰蟻穴)
▶️ 必(반드시 필)은 ❶회의문자이나 형성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八(팔; 나눔, 필)과 주살익(弋; 줄 달린 화살)部의 합자(合字)이다. 땅을 나눌 때 말뚝을 세워 경계를 분명히 하여 나눈다는 데서 반드시의 뜻으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必자는 '반드시'나 '틀림없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必자는 心(마음 심)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심장'이나 '마음'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왜냐하면, 必자는 물을 퍼 담는 바가지를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갑골문에 나온 必자를 보면 바가지 주위로 물이 튄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그래서 必자는 바가지나 두레박을 뜻했었다. 하지만 후에 '반드시'나 '틀림없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면서 지금은 여기에 木(나무 목)자를 더한 柲(자루 비)자가 뜻을 대신하고 있다. 참고로 必자는 心자에서 유래한 글자가 아니므로 글자를 쓰는 획의 순서도 다르다. 그래서 必(필)은 ①반드시, 틀림없이, 꼭 ②오로지 ③가벼이, 소홀히 ④기필하다, 이루어 내다 ⑤오로지, 전일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없어서는 아니 됨을 필요(必要), 그리 되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음을 필연(必然), 반드시 없으면 안 됨을 필수(必需), 꼭 이김이나 반드시 이김을 필승(必勝), 필연이나 반드시를 필시(必是), 반드시 패함을 필패(必敗), 반드시 읽어야 함을 필독(必讀), 장차 반드시 이름이나 필연적으로 그렇게 됨을 필지(必至), 반드시 죽임 또는 그런 마음가짐을 필살(必殺), 꼭 얻음 또는 꼭 자기의 물건이 됨을 필득(必得), 필요하게 씀을 필용(必用), 반드시나 틀림없이 꼭을 필위(必爲), 꼭 그리 됨을 필정(必定), 반드시 명중함을 필중(必中), 반드시 앎을 필지(必知), 우편물 따위가 정해진 기일까지 틀림없이 도착함을 필착(必着), 꼭 이루기를 기약함을 기필(期必), 다른 방도를 취하지 아니하고 어찌 꼭 또는 어찌하여 반드시를 하필(何必), 필요가 없음을 불필(不必), 생각하건대 반드시를 상필(想必), 다른 방도를 취하지 아니하고 어찌 꼭을 해필(奚必), 죽기를 각오하면 살 것이다는 뜻으로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 임전훈을 일컫는 말을 필사즉생(必死則生), 살고자 하면 죽는다는 뜻으로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 임전훈을 일컫는 말을 필생즉사(必生則死),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필유사단(必有事端), 틀림 없이 꼭 망하고야 맒이나 패멸을 면할 길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필망내이(必亡乃已), 반드시 무슨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을 필유곡절(必有曲折), 품은 원망을 반드시 풀어 없애고자 애씀을 일컫는 말을 필욕감심(必欲甘心), 결코 이러할 이치가 없음을 일컫는 말을 필무시리(必無是理), 아내는 반드시 남편의 뜻을 좇아야 한다는 말을 여필종부(女必從夫), 생명이 있는 것은 반드시 죽게 마련이라는 뜻으로 불교에서 세상만사가 덧없음을 이르는 말을 생자필멸(生者必滅), 처음에는 시비 곡직을 가리지 못하여 그릇되더라도 모든 일은 결국에 가서는 반드시 정리로 돌아감을 일컫는 말을 사필귀정(事必歸正), 헤어진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돌아오게 된다는 말을 거자필반(去者必返), 덕이 있으면 따르는 사람이 있어 외롭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덕필유린(德必有隣), 누구나 허물이 있는 것이니 허물을 알면 즉시 고쳐야 함을 이르는 말을 지과필개(知過必改), 세상일은 무상하여 한번 성한 것은 반드시 쇠하게 마련이라는 말을 성자필쇠(盛者必衰), 어찌 꼭 이익만을 말하는가 라는 뜻으로 오직 인의에 입각해서 일을 하면 이익을 추구하지 않더라도 이익이 돌아온다는 말을 하필왈이(何必曰利), 황하가 수없이 꺾여 흘러가도 결국은 동쪽으로 흘러간다는 뜻으로 결국은 본뜻대로 됨을 이르는 말 또는 충신의 절개는 꺾을 수 없다는 말을 만절필동(萬折必東) 등에 쓰인다.
▶️ 作(지을 작, 저주 저, 만들 주)은 ❶형성문자이나 회의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 㑅(작)의 본자(本字), 做(주)는 통자(通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亻=人; 사람)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乍(사, 작)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❷회의문자로 作자는 ‘짓다’나 ‘만들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作자는 人(사람 인)자와 乍(잠깐 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乍자는 옷깃에 바느질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짓다’나 ‘만들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옷깃에 바느질하는 것은 다른 어떤 부분보다도 작업하기가 쉬웠었는지 乍자는 후에 ‘잠깐’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었다. 그래서 소전에서는 여기에 人자를 더한 作자가 ‘만들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作(작)은 (1)작품(作品) 제작(製作), 저작(著作)의 뜻을 나타내는 말 (2)작황(作況)이나 또는 농사(農事)의 뜻으로 나타내는 말 (3)작전(作戰) 등의 뜻으로 ①짓다, 만들다 ②창작(創作)하다 ③일하다, 노동(勞動)하다 ④행하다, 행동하다 ⑤부리다, ~하게 하다 ⑥일어나다 ⑦일으키다 ⑧이르다(어떤 정도나 범위에 미치다),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⑨비롯하다 ⑩삼다, 임명하다 ⑪닮다 ⑫농사(農事) ⑬일, 사업(事業), 공사(工事) ⑭저작(著作), 작품(作品) 그리고 저주 저의 경우는 ⓐ저주(詛呪)(저) ⓑ저주하다(저) 그리고 만들 주의 경우는 ㉠만들다(=做)(주)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지을 찬(撰), 지을 조(造), 지을 제(製)이다. 용례로는 기계의 운동 부분의 움직임을 작동(作動), 사물 또는 사람의 이름을 지음을 작명(作名), 서로 헤어짐을 작별(作別), 만든 물품을 작품(作品), 문학이나 예술의 창작 활동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을 작가(作家), 일을 결정함을 작정(作定), 마음을 단단히 먹음을 작심(作心), 싸움을 진행하는 방법을 세움을 작전(作戰), 악곡을 창작함을 작곡(作曲), 글을 지음 또는 그 글을 작문(作文), 일터에서 연장이나 기계를 가지고 일을 함을 작업(作業), 농작의 잘 되고 잘못된 상황을 작황(作況), 움직이게 되는 힘을 작용(作用), 무리를 이룸을 작당(作黨), 처음으로 함을 시작(始作), 재료를 가지고 물건을 만듦을 제작(製作), 물건을 지어서 만듦이나 일부러 무엇과 비슷하게 만듦을 조작(造作), 기계 등을 움직이어 작업함을 조작(操作), 떨쳐서 일으킴 또는 일어남을 진작(振作), 어떤 일을 하기 위해서 몸을 움직이는 일 또는 그 움직임을 동작(動作), 토지를 갈아서 농작물을 심음을 경작(耕作), 썩 잘된 글이나 작품을 걸작(傑作), 처음으로 만듦을 창작(創作), 사람은 마음을 먹기에 따라 광인도 될 수 있고 성인도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을 작광작성(作狂作聖), 의견이 서로 달라서 일을 결정하지 못함을 일컫는 말을 작사도방(作舍道傍), 의리로써 형제 관계를 맺음 또는 그 형제를 일컫는 말을 작의형제(作義兄弟), 마음 먹은 지 삼일이 못간다는 뜻으로 결심이 얼마 되지 않아 흐지부지 된다는 말을 작심삼일(作心三日), 끊임없이 힘써 함을 이르는 말을 작지불이(作之不已),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하면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을 마부작침(磨斧作針),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를 자기가 받음을 일컫는 말을 자작자수(自作自受), 낡은 것을 바꾸어 새 것으로 만듦을 일컫는 말을 환부작신(換腐作新),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게 뒤에서 일을 꾸밈을 일컫는 말을 이면공작(裏面工作), 옛일에 구애됨이 없이 모범이 될 만한 일을 자기부터 처음으로 만들어 냄을 이르는 말을 자아작고(自我作古), 남의 의견이나 주장을 제쳐놓고 제 마음대로 처리하거나 방자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을 회빈작주(回賓作主) 등에 쓰인다.
▶️ 於(어조사 어, 탄식할 오)는 ❶상형문자로 扵(어)의 본자(本字), 于(어)는 간자(簡字)이고, 烏(까마귀 오)의 옛 글자의 약자이다. 까마귀의 모양을 본떠, 음을 빌어 감탄사, 관계, 비교를 나타내는 어조사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於자는 '~에'나 '~에서'와 같은 어조사로 쓰이는 글자이다. 於자는 方(모 방)자와 仒(구결자 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仒자는 한문 문장에 구두점을 찍는 용도로 쓰이는 글자로 아무 의미도 지니지 않았다. 게다가 於자는 方자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於자의 금문을 보면 烏(까마귀 오)자에 仒자가 결합하여 있었기 때문이다. 於자는 본래 까마귀가 내는 소리에 빗대어 '아아'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글자였다. 그러나 본래의 의미는 얼마 쓰이지 않은 채 지금은 다양한 '어조사'로만 쓰이고 있다. 烏자는 해서에서부터 方자로 바뀌었다. 그래서 於(어)는 (1)한문 투의 문장에서 장소를 표시하는 말이 얹히어에서의 뜻을 나타내는 말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어조사(~에, ~에서) ②기대다, 의지하다 ③따르다 ④가다 ⑤있다, 존재하다 그리고 ⓐ탄식하다(오) ⓑ아아(감탄사)(오) ⓒ까마귀(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까마귀 오(烏)이다. 용례로는 이제야 또는 여기에 있어라는 어시호(於是乎), 마음속 또는 주로 ∼에 꼴로 쓰이는 어심(於心), 벌써나 어느새는 어언(於焉), 가운데가 되는 정도라는 어중(於中), 바둑판에서 배꼽점을 중심으로 한 부분을 어복(於腹), 거의 중간쯤 되는 데를 일컫는 말을 어중간(於中間), 부인이 예장할 때 머리에 얹는 다리로 만든 커다란 머리를 일컫는 말을 어유미(於由味),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뜻으로 같은 내용의 말이라도 말하기에 따라 사뭇 달라짐을 일컫는 말을 어이아이(於異阿異), 이렇게 하거나 저렇게 하거나 어쨌든을 일컫는 말을 어차어피(於此於彼), 어느 사이인지도 모르는 동안에를 일컫는 말을 어사지간(於斯之間), 썩 흡족함을 일컫는 말을 어량족의(於良足矣), 자기 분수에 만족함을 일컫는 말을 어분족의(於分足矣), 온갖 일을 일컫는 말을 어천만사(於千萬事), 그때를 한창으로 함을 이르는 말을 어사위성(於斯爲盛), 그것으로 만족함을 일컫는 말을 어사족의(於斯足矣), 알지 못하는 동안에 어느덧을 일컫는 말을 어언지간(於焉之間), 푸른 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하는 말을 청출어람(靑出於藍),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라는 뜻으로 약한 자가 강한 자들 사이에 끼여 괴로움을 받음을 이르는 말을 간어제초(間於齊楚), 가마솥 속에서 논다는 뜻으로 생명이 매우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음을 이르는 말을 유어부중(游於釜中), 지극히 선한 경지에 이르러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람은 최고의 선에 도달하여 그 상태를 유지함을 이상으로 해야 함을 이르는 말을 지어지선(止於至善), 즐거움은 언제나 걱정하는데서 나온다는 말을 낙생어우(樂生於憂), 뭍에서 배를 민다는 뜻으로 고집으로 무리하게 밀고 나가려고 함을 이르는 말을 추주어륙(推舟於陸), 혀가 칼보다 날카롭다는 뜻으로 논봉의 날카로움을 이르는 말을 설망어검(舌芒於劍), 백성은 신의가 있을 때에 안정된다는 뜻으로 백성은 신의에 의해서만 잘 다스려진다는 말을 민보어신(民保於信), 먼저 곽외부터 시작하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사람이나 말한 사람부터 시작하라는 말을 선시어외(先始於隗), 스스로 목매어 도랑에 익사한다는 뜻으로 개죽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경어구독(經於溝瀆) 등에 쓰인다.
▶️ 細(가늘 세)는 ❶형성문자로 细(세)는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田(전, 세)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돼지해머리(亠; 머리 부분, 위)部+凶은 아직 잘 굳어지지 않은 아기의 머리뼈 모양으로, 나누어져 있다, 자잘하다가 田(전)자가 되고, 실 사(糸; 실타래)部, 絲(사)는 실, 실이 가느다랗다, 잘다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細자는 ‘가늘다’나 ‘작다’, ‘드물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細자는 糸(가는 실 사)자와 田(밭 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細자의 소전을 보면 田자가 아닌 囟(정수리 신)자가 쓰여 있었다. 囟자는 아이의 정수리에 있는 혈 구멍을 표현한 것이다. 옛사람들은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사람의 머리에는 미세한 기가 흘러나온다고 믿었다. 囟자가 쓰인 腦(뇌 뇌)자가 만들어진 형태만 봐도 그러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이렇게 미세한 기의 흐름을 연상케 하는 囟자에 糸자가 결합한 細자는 본래 ‘가는 실’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이러한 뜻이 확대되면서 지금은 ‘작다’나 ‘드물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細(세)는 ①가늘다 ②자세(仔細)하다, 잘다 ③미미(微微)하다 ④작다 ⑤적다 ⑥드물다 ⑦장황(張皇)하다, 번거롭다 ⑧천(賤)하다 ⑨가는 실 ⑩소인(小人) ⑪자세(仔細)히,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작을 소(小), 작을 미(微), 가늘 섬(纖),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클 대(大), 클 거(巨)이다. 용례로는 생물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세포(細胞), 마음을 쓰는 것이 꼼꼼하고 자세함을 세심(細心), 자세한 부분을 세부(細部), 자세하고 빈틈없이 꼼꼼함을 세밀(細密), 글에 맛을 들여 자세히 읽음을 세독(細讀), 작은 얼음의 결정이 공중에 떠 있는 현상을 세빙(細氷), 세밀하고 자세하게 가름을 세분(細分), 가느다란 허리를 세요(細腰), 가지가 가는 버드나무를 세류(細柳), 잔손이 많이 가는 수공 또는 그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으로 작은 물건을 만드는 일을 세공(細工), 가랑비로 가늘게 내리는 비를 세우(細雨), 잔물결로 자잘하게 이는 물결을 세파(細波), 아주 작고 하찮은 부분까지 구체적이고 분명함을 자세(仔細), 작고 가늘어 변변하지 못함 또는 살림이 보잘것없고 몹시 가난함을 영세(零細), 자세하고 세밀함을 상세(詳細), 가냘프고 가늚을 섬세(纖細), 분간하기 어려울 만큼 매우 작음을 미세(微細), 분명하고 자세한 내용을 명세(明細), 자지레하고 대수롭지 않은 일을 세미지사(細微之事), 매우 꼼꼼하고 자세한 일의 형편이나 곡절을 세세사정(細細事情), 세력이 서로 엇비슷하며 힘이 서로 비슷함을 세균역적(細菌力適), 농사를 적게 지어 겨우 살아가는 가난한 농민을 영세농민(零細農民), 바람 앞에 나부끼는 세버들의 뜻으로 부드럽고 영리한 사람이 성격을 평한 말을 풍전세류(風前細柳)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