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5670 아름다운 동행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또만나
    2. 하늘천사
    3. 연 두
    4. 청용
    5. 현 아
    1. 그네
    2. 스케일
    3. 지킴이
    4. 정하
    5. 오민수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라은화love
    2. 에이미,
    3. 비죠아
    4. 길성
    5. 수진d
    1. 싱싱
    2. 홍게김
    3. 시조명창
    4. 멋짱 박정순
    5. 달콤한푸우
 
카페 게시글
◐―― 삶의 이야기 방 우리 김여이 시래깃국 잘먹네
마초 추천 0 조회 273 24.11.08 07:31 댓글 1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4.11.08 07:45

    첫댓글
    우리 김여이 시래깃국 잘 먹네 인자하신
    어머님의 목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우리나라 사람으로서 언제 들어봐도
    정답고 가슴저리는 말 어머니자고로
    어머니 만큼 자식을 귀여워하는 사람
    없고 자식도 어머니를 제일 따른다 고 했습니다
    그 어머니께서-

    자식을 위해 된장국 시래깃국을 끓이고
    무우만 넣고 끓여도 맛있었던 음식들을 죽기
    전까지 어찌 잊겠습니까
    그것도 순전히 어머니의 손맛을
    자식이 맛있게 먹는 것만 봐도 흐뭇하고 배가
    부르다 는 어머님의 말씀 아직도 귀에 맴돕니다
    이제는 그 맛을 볼 수 없으니 눈물만 나는군요.
    어머니이이이
    단 결~!!

  • 24.11.08 08:08

    된장이 맛있으면
    뭘 끓여도 맛나지요.

    요즘은 집에서 담근된장이 아닌
    시판 된장을 먹으니
    소고기를 넣어도 맛이 안납니다.ㅠㅠ

  • 작성자 24.11.08 13:49

    댓글
    고맙습니다

  • 24.11.08 08:58

    우리 세대들 대부분의 몸 구성원 이 된장과 김치 일 걸요

    어머니 이이이 ~~
    꺼이 넘어오는 그 심정 알고 말구요

  • 작성자 24.11.08 13:50

    그것도 토종음식
    하루의 바이타민 같은 멘트
    감사합니다

  • 24.11.08 09:22

    의자를 좀 더 모니터 앞으로 당기고 돋보기를 걸칩니다
    글이 품은 맞손맛을 놓치기 싫어서이지요.
    작고하신 피천득 교수의 수필을 몇 편 읽고 그 오묘한
    표현력에 감탄하곤 했는데 바로 지근에
    그만 못지않은 글을 가끔 대할 수 있어 얼마나
    다행인지 모릅니다.
    말씀대로 그 시절엔 시래기 된장국이 누구에게나
    낮 익은 음식이었죠. 제경우도 이맘때쯤이면
    아랫목 베보자기 밑에서 실하게 자란 콩나물을 듬뿍 넣고 끓인 시래기 콩나물국에 막 짠지를 얹어
    게걸스럽게 먹던 시절이 어제일 같이 기억됩니다.
    님의 글을 읽고 나니 저역시도 20여 년 전에
    돌아가신 어머님의 모습이 불현듯 그리워집니다.
    마초님 유려한글 고맙습니다~^^*
    행복한날 되시고요

  • 작성자 24.11.08 13:52

    이런글은 게시글에 올렸으면
    하는 저 개인적인 바람입니다
    귀티나는 글마중 고마움을
    표합니다

  • 24.11.09 07:58

    어린 시절 멸치 젖갈 담을 때 젖갈 담을 멸치로
    시래기 국을 꿇여 주시던 어머님의 맛이 선배님의 글을 읽으면서
    그리움에 젖게 만듭니다.
    남도 잡기와 함께 식품에 의한 가정을 말씀 하시는 글에
    감탄을 자아내게 합니다
    늘 좋은 글 감사한 마음입니다^^

  • 작성자 24.11.09 10:45

    그 시대 어머니의 손맛과 눈물맛은 우리모두
    잊을수는 없을 것입니다
    늘 고운 흔적 많이 고맙고 감사혀
    건강하시고

  • 24.11.09 11:40

    그때는 먹는것도 귀했지만 자연의 맛이 었지요
    지금의 아이들은 맛볼수도 없는 ...

  • 작성자 24.11.10 07:21

    어쿠~!
    늦은 덧글 그만 식은 곰국맛이 되었네요 ㅎㅎ
    흔적에 고마움을 표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