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고담시 대구가 아니라 반독재의 효시라는 자랑스러운 민주의거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위키펌]
2·28 대구 학생의거는 이승만 정권 시절인 1960년 2월 28일 3.15 대선을 앞두고 자유당 독재에 항거, 대구에서 일어난 학생의거는 이후 마산의 3.15 부정선거 항의시위로 이어졌고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민주당 정.부통령 후보인 장면 박사의 유세일이자 일요일인 이날 당국이 학생들이 민주당 유세장에 못나가도록 등교 지시를 내린 것이 2·28 대구 학생의거의 발단이 되었다.
사건 개요 경북고는 일요일인 이날 등교지시를 내린다. 사유는 3월에 있을 중간고사를 앞당겨 친다는 사유였다. 대구시내 다른 국공립 고등학교 7개 역시 일요등교를 지시 한다. 사유는 토끼사냥, 영화관람과 같은 황당한 이유도 있었다. 1960년 2월 27일 오후 대구 동인동 이대우 경북고 학생부 위원장 집에 경북고, 대구고, 경북대부속고 학생 8명은 부당한 일요등교 지시에 항의를 하기 위해 시위를 조직했고,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해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는 결의문도 작성했다. 2월 28일 오후 1시 학생 800여 명이 대구 반월당을 거쳐 도청으로 가는 과정에서 다른 학교 학생들이 합류하며 시위대는 커졌고 도중에 유세장으로 가던 장면 박사를 만났을 땐 '만세'를 부르기도 했다.
당시 도지사는 학생들에게 "이놈들 전부 공산당"이라고 한 반면, 시민들은 구타당하는 학생을 경찰에게 달려들어 말리고 박수를 쳤고, 치맛자락에 모자를 감춰 학생을 숨겨주는 부인이 대부분이었다.
1200여명의 학생이 시위에 참여를 했고 그 중 120여명이 경찰에 체포된다. 하지만 경찰은 시위가 번질 것을 우려해 주동자 일부를 제외 하고 대부분 학생을 석방하게 된다.
결의문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하여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 학도들의 붉은 피가 지금 이 순간에도 뛰놀고 있으며, 정의에 배반되는 불의를 쳐부수기 위해 이 목숨 다할 때까지 투쟁하는 것이 우리의 기백이며, 정의감에 입각한 이성의 호소인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낮 12시 55분, 경북고 학생부 위원장 이대우 등이 조회단에 올라 격앙된 목소리로 결의문을 읽자 흥분이 고조된 학생들은 함성을 지르고 박수를 쳤다. 반독재의 횃불은 이처럼 대구에서 처음 불타올랐다.
운동 주체 2.28 운동은 고교생들이 주체이고, 계획적 조직 시위의 민족운동 요건을 갖춘 학생운동이었다. 우리 역사상 6.10 만세 사건, 광주 학생운동에 이은 의거로 전후 학생운동의 효시가 되기도 했다. 특히 4·19 혁명의 도화선으로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는 결정적인 계기를 만들었으며, 한일 수교 반대와 그 이후 민주화 운동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피에쑤. 이때 의거를 주도했던 이대우교수(부산대 사회학과)는 2009년 9월 13일 혈액암으로 타계하셨습니다. 우리 언소주의 고문이시며 언론운동 원로인 성유보선생님도 이때 함께 하셨던 분입니다.
첫댓글 반독재의 효시 대구역사를 칭찬합시다. 칭찬은 대구시민의 가슴속에 숨겨진 반독재의 민주의거 정신을 일깨울 것입니다. 2.28 대구민주의거를 널리 알리고 칭찬합시다. 욕은 벽을 쌓고 칭찬은 벽을 허뭅니다.
반독재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간직한 도시는 여럿되지요..
역사에 대한 자긍심은 현재까지 그 정신이 이어져 올때 존경받는 법인데..
현재의 대구를 포함한 TK는 칭찬을 받기엔 너무나도 고담시화 된것은 사실입니다.
그래도 믿어보지요..믿습니다..!
그런데 어쩌다.....ㅠㅠ;;
하지만 희망을 버리지는 않겠습니다.^^
내 고향 대구..ㅜ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