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역사동호회
 
 
 
 
 
카페 게시글
한 국 중 세 사 스크랩 문화 사상 정기안鄭基安과 ≪만모유고晩慕遺稿≫
고리아이 추천 0 조회 58 08.01.07 16:25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1695년(숙종 21)∼1767년(영조 43).

조선 후기의 문관으로 본관은 온양溫陽이며, 초명은 사안思安이다. 자는 안세安世, 호는 만모晩慕. 좌의정을 지낸 순붕順朋의 후손이며, 휘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하경夏卿, 아버지는 유신維新, 어머니는 변석징邊錫徵의 딸이다.

1728년(영조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738년 지평持平, 1741년 정언正言이 된 뒤 계속 이 두 직을 번갈아 역임하다가 1750년 헌납獻納이 되었고, 이듬해 사간ㆍ집의를 지냈다.

1752년 동지사 겸 사은사冬至使兼謝恩使의 서장관으로 청에 다녀온 뒤 보덕과 승지를 거쳐 대사간이 되었다. 이어 1766년 한성부우윤ㆍ지중추부사를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저서로 ≪만모유고≫가 있다. 시호는 효헌孝憲이다. 그의 묘가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리 41에 있어 김재찬 金載瓚이 짓고, 이익회李翊會가 쓴 비와 함께 향토유적 제11호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호보號譜.


≪만모유고≫는 조선 후기의 문관이자 학자인 정기안鄭基安의 문집으로 6권 3책이며, 고활자본이다. 1834년(순조 34) 그의 아들 만석晩錫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남공철南公轍의 서문과 권말에 만석의 발문이 있다.

권1∼3에 부賦 1편, 시 350수, 권4에 소疏 6편, 서書 3편, 계啓 2편, 의議 1편, 서연강의書筵講義 1편, 간독簡牘 15편, 권5에 기발記跋 6편, 행장 2편, 고문(告文) 6편, 제문 9편, 잡저 4편, 권6에 잡저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 1편은 <육환주부戮丸蛛賦>로 거미가 그물을 쳐서 잠자리를 잡아먹는 현상을 보고 당시의 시사時事에 은유隱喩해 문학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시에는 명승ㆍ고적ㆍ산사山寺 등을 찾아가 시적인 정취나 감회를 읊은 것이 많다. 죽서루竹西樓ㆍ촉석루矗石樓ㆍ반월성半月城ㆍ낙화암落花巖ㆍ성류굴聖留窟ㆍ낙산사洛山寺 등 비교적 많은 곳을 다닌 것으로 보인다.

그는 불교사상에도 조예가 깊었던 것 같다. <재사在寺>는 사객寺客으로서의 향수와 번민을 표현하고 있다. <관능엄경觀楞嚴經>은 인간을 미로의 방황객으로 비유하고, 동시에 찰나 속에 살고 가는 인생의 허망함을 말하고 있다.

일반적인 우음(偶吟 : 얼핏 떠오르는 생각을 시가로 읊음.)이나 영회(詠懷 : 회포를 시가로 읊음.)도 상당수 있다.

<유녀幼女>는 오언배율의 장시로 외가에 다녀온 네 살 박이 어린 딸을 오랜만에 보고 그간 그리워했던 부정父情을 서사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밖에 박상朴祥ㆍ이식李植ㆍ황정욱黃廷彧 등 유명한 시인들의 시를 차운次韻한 것과 김식金湜의 임절시臨絶詩를 차운한 것 등은 그의 시적인 재질과 자부심을 나타내는 작품이다. 또한 고시古詩 2수가 있는데, 그 하나는 남녀 관계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소는 지평持平ㆍ정언正言 등의 사직소로, 언로言路를 넓힐 것 등을 함께 진언하고 있다.

서는 일반적인 서찰이 아니라 장헌세자莊獻世子가 대정代政할 때 경천애민敬天愛民할 것을 진면陳勉한 글이다. 그 가운데 균역均役의 불편을 논한 것이 있어 주목된다.

의 1편은 중종의 폐비 신씨愼氏를 복위시키는 문제에 관한 헌의獻議다. 서연강의는 왕세자에게 강의한 내용이다.

간독은 일반 서찰로서, 그 가운데 <답안사문석임答安斯文錫任>은 주로 천문학에 관한 <회계엄씨취원방도會稽嚴氏取圓方圖>와 무극無極 등에 관해 해설한 내용이 있다.

이 밖에 잡저에는 ≪주역≫ㆍ≪서전≫ㆍ≪논어≫ㆍ≪중용≫ㆍ≪춘추≫ 등을 차록한 <간서만록看書漫錄>과 금강산 기행문인 <유풍악록遊楓嶽錄> 등이 있다. 규장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그가 남긴 글에는 유ㆍ불ㆍ도를 넘나들 뿐만 아니라 의술과 음률, 산수에도 뛰어난 흔적이 있다고 한다. 얼른 만나고 싶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포천군의 역사와 문화유적≫(1998)에서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