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품 원·부재, 전방산업인 화장품 시장이 성장할 때 수혜
✔ 2022년 상반기 국내 화장품 수출액 전년비 11%↓
✔ 향후 천연 원재료 및 친환경 포장재 중요도 증가 전망
화장품 산업은 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방산업과 원료 등을 제공하는 후방산업으로 구성. 화장품 원재료 및 부자재 업체들은 후방산업에 포함.
화장품 원재료 및 부자재 산업은 기능성 식품, 의약품, 바이오 유·무기소재 관련 화학산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나아가 개인별 맞춤형 화장품의 신기술 적용 확대 가능.
전방산업인 국내 화장품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갈 경우 '화장품 브랜드 > 원재료 및 부자재 > 제조' 순으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큼.
2022년 국내 화장품 수출액은 40.6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1.9% 감소.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봉쇄 조치, 러·우 전쟁 등 공급망 불안정 심화로 화장품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풀이. 카테고리별로는 화장품 트렌드가 럭셔리 기초 브랜드에서 중저가 색조브랜드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기초화장품보다 색조화장품이 더 증가(출처: 보건산업진흥원).
엔에프씨
세라마이드 함량을 대폭 증가시키는 MLV(고기능성 난용성 물질 안정화)기술 등을 개발해 보습제, 유화제, 자외선차단제에 활용되는 화장품 소재 등을 생산.
연우
국내 화장품 용기 시장점유율 1위. 주요 제품은 펌프형 용기, 튜브형 용기, 견본용 용기. 국내 최초로 화장품 디스펜스 펌프 개발. 주요고객사로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을 보유.
현대바이오랜드
SK그룹 계열의 화장품원료 제조사. 국내 천연화장품 원료 업계 1위. 아모레퍼시픽의 인기 브랜드에 주요 원료 납품.
대봉엘에스
아미노산 관련 원료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 제조사.
선진뷰티사이언스
자외선 차단제, 색조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 등 원료 제조. 로레알, 샤넬 등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업체에 공급.
승일
에어졸 사업부문 국내 시장점유율 1위. 화장품용 에어졸 생산.
KCI
생활화학 전문업체. 샴푸와 린스의 고급첨가물로 쓰이는 폴리머와 계면활성제 등 생산. 주요 고객사로 P&G, 로레알, 유니레버 등 보유.
펌텍코리아
국내 화장품 용기 업체로 시장점유율 2위. 주요 제품은 기초 화장품 용기, 파운데이션 용기 등. 주요 고객사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에스티로더, 로레얄 등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