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위 치 : 신호대교 ~ 소담공원 왼쪽끝(1.5km)
*명품들레길은 양쪽방향에서 모두 탐방이 가능합니다^*^
##인공철새서식지(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낙동강하구는 지리적으로 내륙에서 돌출된 반도의 남단이므로 계절에 따라 대양을 건너 남북으로 이동하는
수많은 철새들의 이동관문이며 도한 여러개의 크고 작은 삼각주가 있고 그 주변일대는 수심이 얕고 넓은 사구
와 조간대가 발달해 있어서 담수와 해수가 교류하는 기수역이므로 생물종 다양성이 대단히 높습니다^^
특히 각종 물새들의 먹이가 되는 소형어류,갑각류,연체동물,환형동물 및 다양한 수생식물이 풍부하여 고니류
기러기류를 비롯한 30여종의 오리종류, 40여종의 도요 물떼새류,갈매기류,아비와 농병아리류,가마우지류,
두루미류,백로류 등 많은 수금류와 독수리,참수리,물수리매 등 10여종의 맹금류 그리고 갈대숲과 초지에 서식
하는 여러가지 소형 명금류 등지금까지 130여종의 조류가 기록되어 낙동강하류는 1966년 천연기념물 제179호
로 지정되어 보호하여 왔으나 신호지방산업단지 조성에 의한 철새서식지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이곳에 철새들
의 인공서식지를 만들어 철새는 물론 생태계의 보호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명품둘레길 조성배경
인공철새서식지는 1997년 국가지정문화재 현상변경허가 승인조건부로 조성되었고 이후 육군제6339부대가
해안경계 군사작전지역으로 관리해 주민들의 접근을 제한한 바, 이에 주민들이 비맘 2016년뷰터 산책로 개방을
요구하기 시작했고 국방부,문화재청과의 협의를 통해 국방부가 과학화 감시장비(TOD 등)를 설치하는 조건으로
2020년6월 철새서식지가 개방되었으며 2021년 예산을 배정받아 명품둘레길 조성사업이 추진되어 2022년7월
1.5km의 명품둘레길이 조성되어 22년간 외부와 단절되었던 천혜의 자연습지와 철새서식지를 감상할수 있게 됨.
# 타지방에서 오시는 분들을 위한 탐방추천코스
1)대중교통 이용시(신호대교입구~명품둘레길~소담공원~신호공원)
부산역 지하철1호선(다대포방면)을 타고 하단역에서 하차후 3번출구로 올라가면 시내버스 환승정류장이 나오며
여기서 171번 시내버스를 타고 신호대교 건너서 르노자동차남문 정류소에 하차하여 신호대교입구까지 조금만
걸어가면 안내판이 보이는 곳이 명품둘레길 시작점입니다(참고 : 부산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하지 않고 그냥 171번
시내버스를 타고 가도 되지만 이럴 경우 소요시간이 30~40분 더 걸리기 때문에 지하철이용이 더 편리함)
2)자기차량 이용시(소담공원 왼쪽끝~명품둘레길~신호대교입구~명품둘레길 왕복~소담공원~신호궁원)
차량이용시 신호대교입구주위엔 주차할 곳이 없기 때문에 별도 주차장이 있는 신호공원으로 가야하는데 이럴
경우 소담공원 왼쪽끝까지 거리가 꽤 멀기 때문에 가능하면 소담공원(별도 주차장 없음)인근 갓길주차를 권함
1.명품둘레길 시작점(신호대교입구)
1)안내판
2)내려가는 데크게단길
3)데크길을 내려와서 보이는 바다갯벌과 신호대교
4)야자수잎으로 엮어 만든 매트길인 명품둘레길 초입(야간에는 철문을 닫아 폐쇄함)
5)당부안내문
2.명품둘레길을 탐방하면서 감상하는 다양한 풍경들(시작점에서 등대까지)
1)아직 철거되지 않은 경계초소 모습
2)명품둘레길 풍경들
3)명품둘레길 왼편에 보이는 바다갯벌 풍경들
4)명품둘레길 오른편에 보이는 다양한 자연습지 풍경들
3.등대
4.등대에서 명품둘레길 종료점(소담공원 왼족끝)까지 풍경(야간폐쇄용 철문이 보입니다)
저 철문을 지나면 부산갈맷길 5-1구간(낙동강 하굿둑~신호항 : 14.1km)과 연결되는 해안산책로가 이어집니다.
5.명품둘레길 종료점(소담공원 왼쪽끝)에서 신호공원까지 다양한 풍경들
#소담공원(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263)
소담공원은 신호지방산업단지를 조성할때 철새서식지를 보존하기 위해 조성한 소공원으로 방풍림역할을 하는 울창한 솔숲이 있어 아늑하게 휴식을 취할수 있고 바로 앞에는 바다갯벌이 있어서 간조때에 맞춰 갯벌체험을
할수 있으며 특히 매년 일출을 보기위한 해맞이행사가 열리는 관광명소이기도 합니다^^
#신호공원(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315-1)
신호공원은 소담공원옆에 있는 도시근린공원으로 주차장시설, 다양한 체육시설(축구장,농구장,테니스장,배구장등) 및 어린이놀이터와 피크닉공간 등이 있어서 공원면적이 소담공원의 5배정도 되는 큰 공원으로 역시 갯벌체험과 레저활동을 할수 있는 솔숲이 울창한 공원입니다^^
1)안내판과 갈맷길 이정표
2)부산갈맷길5-1구간 해안산책로 풍경
3)부산갈맷길 오른편에 있는 소담공원 솔숲(방품림) 풍경들
4)부산갈맷길 오른편에 있는 신호공원 풍경과 어린이 물놀이장
5)부산갈맷길 왼편에 있는 바다갯벌 풍경들
(갯벌 방파제)
(간조시간에 갯벌에서 각종 어패류를 채취하는 사람들)
간조시간 전후 1~2시간동안 각종 어패류 채취가 가능함(간조시간은 "가덕도 물때표"자료 참조)
작은 조개류, 새우 등 갑각류, 망둥어 같은 어류도 종종 잡힌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