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비 (식물) [楊貴妃, Papaver somniferum]:양귀비과(楊貴妃科 Papaveraceae)에 속하는 1~2년생초.
키는 1~1.5m 정도 자란다. 잎은 긴타원형으로 어긋나는데, 잎자루가 없고 잎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자주색·붉은색 등 여러 가지 색으로 피며 꽃받침잎은 2장, 꽃잎은 4장이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둥그런 삭과(?果)로 익으며, 삭과 꼭대기에는 우산처럼 생긴 암술머리가 남아 있다. 덜 익은 열매의 흠집에서 나온 즙액 말린 것을 아편(阿片)이라고 한다. 아편은 최면 효과가 있어 예로부터 진통제·진정제·지사제 등으로 써왔다. 아편을 담배와 함께 피면 마취 상태에 빠지거나 몽롱한 상태가 되며 습관성이 되기 쉽고, 중독현상이 나타나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모든 나라에서 양귀비 재배를 금지하거나 국가에서 조절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마약법'을 마련해 양귀비 재배를 허가·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양귀비의 씨에는 이러한 마약 성분이 없어 기름을 짜기도 하며, 씨를 털고 난 열매껍질을 앵율각(鸚栗殼)이라고 하여 발한제·해열제로도 쓴다. 한국에 언제 들어왔는지는 확실치 않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dkxhvlsn/83ss/76?docid=1D4Ml|83ss|76|20090317000230]
양귀비목 양귀비과 두해살이풀. 높이 약 1m.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약간 분지하며, 꺾으면 흰색의 젖액이 나온다. 잎은 녹백색이며 털이 없고 잎자루도 없다. 줄기 윗부분에 붙은 잎은 긴 심장꼴이고 기부는 줄기를 감싸며 줄기 아랫부분에 붙은 잎만큼 크고 가늘며 길다.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결각(缺刻)모양의 톱니가 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361.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E4Qu]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yb26/33xj/173?docid=iM2f|33xj|173|20090529174118]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yd2580/57d6/345?docid=1EkQN|57d6|345|20090623124729]
[ 아라후라 나라 공주의 이름 파파벨라(양귀비) 전설 ]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eclin/J5FM/149?docid=1G9O9|J5FM|149|20090622233411]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CKATKFKDGHL/S6mk/137?docid=1EsYm|S6mk|137|20090725101157]
[개양귀비] 다른이름 :우미인초(虞美人草), 애기아편꽃, 꽃 학명 :Papaver rhoeas L. 영문 :Corn Poppy, Field Poppy, Flanders Poppy 분류 :양귀비목 양귀비과 원산지: 유럽
파종발아 하기
9월중에 파종합니다 .발아온도 15~20 ℃ 에서 20일 10일에 걸쳐 발아시작됩니다 .4월~5월경에 15㎝ 정도 자라면 20㎝ 간격으로 정식합니다 . 반그늘에사키우는게 좋습니다 과습하면 물러버리기 때문에 약간건조한듯하게 키우는게 좋습니다 . 심는시기에 따라서 꽃피는시기가 다른데 봄파종보다는 가을 파종하는것이 원줄기도 튼튼하고 꽃또한 많이 핍니다 .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gkgk6/2xlI/48?docid=1A5uN|2xlI|48|20090617190104]
잎은 호생하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월경에 피고 적색이지만 여러 가지 품종이 있으며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리고, 피기 전에는 밑을 향하다가 필 때에는 위를 향한다.
꽃받침잎은 2개로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백색이며 겉에 털이 있고 꽃이 필 때 떨어지며 꽃잎은 4개가 교호로 대생하고 길이 3~4cm로서 다소 둥글다. 수술은 많으며 자방은 도란형이고 털이 없으며 암술대는 방사형이고 화경(花梗)에 퍼진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넓은 도란형이고 길이 1cm정도이며 털이 없다.높이 30-8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관상용 : 꽃및 전초는 여춘화 과실은 여춘화과실이라 하며 약용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yeong44/2NYL/54?docid=dmY0|2NYL|54|20090528111324]
성분 : 전초에는 rhoeadine, rhoeagenine, protopine, isorhoeadine(rhoearubine), thebaine, coptisine, chelerythrine, (-)-sinactine, sanguinarine 등 다종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고 꽃에는 cyanidin의 glucoside와 mecopelargonin과 같은 antocyanidin과 mecon산이 함유되어 있다.
여춘화과실 성분 : 종피에는 morphine, narcotine(noscapine), thebaine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에는 유가 47.6% 함유되어 있다.
유에는 linolein산 67%, olein산 16%, linol산2.5%가 함유되어 있다. 약효 : 지사.진통 .진해) 효능이 있다. 삭과의 유즙은 마취약과 가벼운 진통제가 된다. 용법 .용량 : 2.4-6g을 달여 복용한다. 꽃 :개화기 : 5월-6월경
유럽이 원산지로 전국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양귀비와 꽃이 비슷하기 때문에 개양귀비라 하며 중국에서는 항우의 애첩 우미인의 무덤에서 핀꽃이라 하여 우미인초라 부른다. 양귀비와는 달리 전체에 털이 있다. 개양귀비는 양귀비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흔히 들판에서 볼 수 있다. 30~80 cm 정도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보통 붉은색 내지 주황색 꽃이 피지만 흰색 꽃이 피는 것도 있다. 꽃은 3~4장의 단엽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럽에서는 오래 전부터 농작물로 재배해 왔으며, 풍년을 상징하는 꽃으로 오랫동안 여겨져 왔다. 씨는 빵에 넣어서 먹거나 기름을 짜서 쓰며, 줄기는 야채로, 빨간 꽃잎은 시럽이나 술을 담는 데에 쓴다. 동양의학에서는 복통, 설사 등에 처방한다. 관상용으로는 개양귀비를 개량한 셜리양귀비(Shirley Poppy)를 많이 심는다.
‘양귀비’라는 이름 때문에 아편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개양귀비로는 마약을 만들 수 없으며, 유럽과 아메리카는 물론 대한민국에서도 재배를 규제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관상용으로 심은 개양귀비가 아편양귀비로 오해를 받아 경찰의 수사를 받게 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장터에 개양귀비가 많이 피었다는 이야기가 유명해져서 영 연방 국가에서는 종전 기념일에 전사자들을 추모하는 꽃으로 개양귀비를 쓴다.
중국에서는 개양귀비를 ‘우미인초(虞美人草)’라고 하는데, 초나라 군대가 유방의 군대에 포위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초나라 장수 항우의 애첩 우미인의 무덤에 개양귀비가 피었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자결에 대한 이야기는 《사기》나 《한서》에는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여성의 정조를 중요시하게 된 북송 때 만들어진 것이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gkgk6/2xlI/48?docid=1A5uN|2xlI|48|20090617190104]
개양귀비 이야기 옛날 인도의 한 궁전에는 넓고 훌륭한 정원이 있었습니다. 그곳의 왕자는 여느 날처럼 정원을 거닐다 발목에 금실이 매여진 예쁜 새 한 마리를 발견했습니다. "이 새의 발에 금실이 매여져 있는 것을 보니 어느 궁정에서 날아온 것 같군." 왕자는 아름다운 이 새가 마음에 들어 무척이나 아끼고 사랑했습니다. 그런데 그 새는 좀처럼 우는 일이 없는 이상한 새였습니다 어느 날 밤 왕자는 깊이 잠들어 있었습니다. 왕자는 꿈 속에서 아름다운 아가씨를 만났습니다. 그 아가씨는 아라후라 나라의 공주였습니다 공주는 왕자에게 다소곳이 말했습니다 왕자님, 저는 저의 새를 찾으러 왔습니다. 그 새는 제가 묶어 놓은 금실을 끊고 달아나 버렸습니다. "좋소. 내 정원으로 가서 찾아보시오. 그런데 공주의 이름은 무엇이오?" 제 이름은 제가 잃어버린 새의 이름과 똑같습니다 "그럼 새의 이름은 무엇이오?" 그것은 가르쳐 드릴 수가 없습니다. 그 새의 이름은 저의 이름과 똑같고 그 새만이 저의 이름을 알고 있습니다." 그 새의 노래 소리가 바로 제 이름입니다. 이름을 가르쳐 드릴 수 없는 것은, 제 이름을 아는 사람은 저와 결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왕자는 뭐가 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왕자님, 그 새는 제 앞에서만 자기가 부르던 노래를 생각해 냅니다. 그 새는 한 가지 꽃만을 좋아하는데 그 꽃 이름은 저의 이름과 같답니다. 공주는 말을 마치더니 왕자의 정원을 이곳 저곳 돌아다니며 새를 찾았습니다. 그러나 새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공주가 실망하여 돌아가려고 할 때 왕자는 공주를 붙잡았습니다 공주, 그렇다면 꽃의 이름이 무엇이오 왕자님. 그 꽃 이름은 바로 제 이름이기 때문에 가르쳐 드릴 수가 없습니다. 제가 잃어버린 새는 그 꽃을 보기만 하면 노래를 부르는데 그 노랫소리가 바로 제 이름이랍니다 공주는 왕자가 잡은 손을 뿌리치고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습니다. 왕자는 문득 잠에서 깨어났습니다. 정말로 이상한 꿈이었습니다 왕자의 눈에는 꿈에 본 공주의 모습이 아른거렸습니다. 그 꽃을 찾기만 하면 공주와 결혼할 수 있는 것입니다 왕자는 날이 밝기를 기다려 아라후라 성으로 떠났습니다 파수병으로 변장한 왕자는 성안을 돌아다니다가 여태껏 본 적이 없는 황홀한 꽃을 발견했습니다 왕자는 뛸 듯이 기뻐하며 꽃을 들고 자기가 사는 궁전으로 돌아왔습니다. 새는 그 꽃을 보자마자 울기 시작했습니다
파파벨라! 파파벨라!" 공주와 꽃과 새의 이름은 모두 파파벨라였던 것입니다 그 후 왕자는 파파벨라 공주와 결혼하여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인도의 국화이기도 한 이 '파파벨라 꽃'은 ´양귀비´라고도 합니다.
[양귀꽃은 인도의 국화이다.]
둘째,이 꽃의 열매에서 뽑은 아편(阿片 )은 사람을 마취시키는데, 그것은 현종(玄宗 ) 을 현혹시킨 양귀비와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양귀비처럼 예쁘지만 그래서 더구나 양귀비 처럼 경계해야 할 꽃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namwongoodxn/BUcE/85?docid=1HZp0|BUcE|85|20090717091909] 꽃이 고우면 향기가 업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원산지는인도가 아니라 유럽 동부이다. 유럽에서는 일찍이 석기 시대에 재배되었다는 사실이 스위스 지방의 호서 민족(湖棲民族 )의 유적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리스 시대에는 열매에서 나온 유액(乳液 )을 어린이에게 먹여서 잠을 재우는데 사용하였으며 아편이 제족된 것은 기원전 300년경 소아시아 사람들에 의해서였다고 한다.
|
출처: 그냥 원문보기 글쓴이: 황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