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사회는 다양한 윤리적, 종교적,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갈등이 발생합니다. 낙태의 합법화는 언제나 많은 논쟁거리를 불러일으키며 현대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갈등 요소입니다. 법을 만들 때 우리는 한 가지 요소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그와 관련된 수많은 인과 관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즉, 낙태에 대해 논의할 때 우리는 그와 관련된 여성의 권리와 자유에 대해 반드시 생각해야 하며, 그들의 선택과 사회적 책임을 존중해야 합니다. 저는 이러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낙태의 합법화에 찬성합니다. 이제부터 제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들을 제시하겠습니다.
첫째, 낙태의 합법화는 여성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합니다. 낙태가 합법적이지 않다면, 낙태를 하기 위해 음지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불법적으로 이루어진 낙태의 경우, 공인되지 않은 환경에서 일어나는 시술이기에 여성이 오히려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합법적 낙태는 전문 의료진의 감독과 지원 하에 이루어지므로 여성들이 안전한 절차를 밟아 성공적 시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강요된 성관계로 원치 않은 임신을 한 부모들 19명 중 14명이 거주지의 화장실과 방에서 유산하였다는 통계가 서울신문에 보도되었습니다. 낙태의 불법화는 여성의 안전, 나아가 반드시 보장받아야 할 생명권마저 침해할 수 있습니다.
둘째, 낙태의 합법화는 여성의 선택과 자기결정권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임신은 개인의 몸과 생명에 관한 중대한 결정입니다. 여성은 자신의 삶과 미래에 대해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낙태 여부 역시 여성에세 보장해야 할 권리에 포함됩니다. 다만 이러한 자유는 사회적 책임과 균형을 요구합니다. 자유라는 명목으로 무분별한 낙태가 이루어져서는 안 됩니다. 이때는 교육과 예방을 강화하여 낙태의 남용을 최소화하고, 대안적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성교육과 가족 계획 지원을 강화하고, 생명의 가치와 임신에 대한 책임을 장려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낙태라는 선택에 대한 책임과 결과에 대해 모두에게 확실히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낙태는 경제적 부탐을 덜어주고 행복감을 높여줍니다. 가정 경제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원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되었다면 아이를 낳는 것은 경제적으로 매우 큰 부담이 되며, 오히려 태어난 아이의 생계마저 위협할 수 있습니다. 출산은 부모 쪽의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만 하는 것이며, 예상치 못한 임신은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심각한 부담과 스트레스를 안겨 줍니다. 가난한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가 불안정한 식사와 난방 등으로 정상적 성장이 어렵다는 연구결과가 보스턴 의료센터에서 공개되었습니다. 또한, 빈곤층 자녀는 대뇌의 신경세포 중 최백질이 또래보다 8~10% 적다는 연구가 과학 잡지에 소개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통계적으로도 빈곤한 가정의 아이가 행복하게 살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낙태가 오히려 가족 구성원 모두의 행복을 보장해주는 올바른 결정이라고 여겨집니다.
낙태의 합법화는 여성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며, 자기결정권을 인정하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여성들은 임신과 출산에 대해 선택의 자유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선택을 존중하고 낙태의 합법화를 통해 인권을 더욱 존중하는 사회를 구축해야 합니다.
첫댓글 올리느라 고생 많았다! 다른 학생들에게 좋은 예시가 될 수 있겠구나. 고마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