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배관연결부의 온도 체크하여 올바른 부자재와 시공메뉴얼도 확정합니다 각구획으로 가는 크린호스 3가지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어보고 단열이 안되는 공간에는 보온재를 감싸서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실험 1 결론] 목조주택의 콜드지붕에 시공을 염두하고 아래의 결론에 도출합니다 1. 단열이 안되는 공간에는 크린호스 보온을 25T 보다 50T로 한다 2. 단열은 끊기지 않고 연결부는 기밀을 한다 장비와 연결되는 배관(보온/흡음)을 구분하고 배관내 드라이아이스를 넣고 상온에서의 배관 표면 온도를 측정한다
[실험 2 결론] 각 구획의 단열상태에 따라 보온/흡음배관을 적절히 사용한다 1. 단열이 안되는공간은 25T보온배관→30T보온배관으로 단열성 확보 2. 미관상, 플렉시블의 공기저항을 줄이며 수직시공시 고밀도EPS보관배관사용 3. 소음기 사용시 단열공간에 배치하거나 추가단열한다 장비속에 드라이아스를 넣고 연결배관 단열과 기밀 상태 확인
[실험3 결론] 장비와 연결배관사이 추가단열 및 기밀 필수 1. 추가단열폼 테잎을 일체형으로 연결 2. 단열폼 테잎과 배관의 기밀연결 3. 흡음배관 1m 이상 단열공간에 적용(연결부 추가 단열품 및 기밀작업) 4. 외부벽체와 배관의 단열과 기밀의 연속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