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복염거(驥服鹽車)
-소금 수레를 끄는 천리마-
백락(伯樂)은 주(周)나라 때 사람으로 말을 감정하는 명인(名人) 이었다.
그가 훌륭한 말이라고 판정해 버리면 그 말 값이 하루아침에 열곱절은 쉽게 뛰었다.
그래서 백락일고(伯樂一顧)라는 말이 생겼다.
명마가 백락(伯樂)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알아주는 사람이 있어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말이다. 제 아무리 천리마라 해도 백락을 만나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당나라 때의 명문장가 한유(韓愈)도
- 세상에 백락이 있고 나서 천리마(千里馬)가 있게 마련이다. 천리마는 언제나 있지만 백락은 항상 있는게 아니다. 그러니까 비록 명마라도 백락의 눈에 띄지 않으면 하인의 손에 고삐가 잡혀 끝내는 천리마란 이름 한 번 듣지 못하고 보통 말들과 함께 마구간에서 죽고 만다고 했다.
그런 백락이 어느 날 긴 고갯길을 내려 가다가 명마(名馬) 한 마리가 소금을 잔뜩 실은 수레를 힘겹게 끌고 오르는 것을 보게 되었다.
분명 천리마인데 이미 늙어 있었다.
무릎은 꺾이고 꼬리는 축 늘어졌고 소금은 녹아내려 땅을 적시고 있었다.
무슨 사연이 있어 천리마가 이 꼴이 되었는가.
천리마도 백락을 보고는 '히힝' 하고 슬픈 울음을 울었다.
명마로 태어났으면서도 천한 일을 하고 있는 게 서러웠던 것이다.
백락도 같이 울면서 자기의 비단옷을 벗어 말에게 덮어 주었다.
- 말로서 천리(千里)를 달리는 것은 한 끼에 때로 곡식 한 섬을 먹기도 하는 것이거늘, 말을 먹이는 자가 그 능히 천리마인 줄을 알지 못하고 먹인다. 그 말이 비록 천리를 달리는 능력이 있으나 먹는 것이 배부르지 못하니 힘이 부족하여 아름다운 재주를 밖으로 드러내지 못한다. 또한 보통 말과 더불어 같고자 하여도 그조차 얻지 못하니, 어찌 능히 천리마이기를 구하겠는가?-
- 채찍질을 그 도리대로 하지 않고, 먹이기를 그 자질(資質)을 다할 만큼 하지 않고, 울어도 그 뜻을 통하지 못하면서, 채찍을 잡고 다가와 말하기를 천하에 좋은 말이 없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