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눈썹처럼(깨진 얼음 조각 같은) 보이는 달에 관한 궁금한 것을 알아봅니다.
달을 기준으로 생긴 태음력은 태양력에 밀려 요즘 달력에는 간단하게 표시되지만, 민속 최대 명절인 설날과 추석을 비롯하여 정월대보름, 석탄일, 단오 등은 모두 음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어촌에서는 음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달을 보면 얇은 눈썹 모양을 한 초승달과 그믐달은 헷갈리는데 어떻게 구분할까?

▶ 태양처럼 매일 같지 않고 날마다 바뀌는 이유
달에 비치는 태양빛 각도, 지구에서 달을 보는 각도, 달 위치 등에 따라 지구 주위를 도는 달그림자가 달라지기 때문이며, 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위치를 옮겨가며 차고 이지러지는데, 그 모습에 따라 초승달(음력 3~4일경), 반달(상현), 보름달, 반달(하현), 그믐달(음력 27~28일) 등으로 달리 불립니다.
▼보름에서 다음달 보름까지

▶ 구분법
① 초승달과 그믐달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달의 삭망(朔望) 주기를 한 달 기준(29.5일)으로 삼고 있는 음력 날짜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달은 달 모습이 보이지 않는 삭(朔,음력 초하루, 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위치함)으로 시작해 상현달-보름달-하현달-그믐달 순으로 모습을 바꿉니다. 초승달은 음력 3~4일경 뜨는 눈썹 모양 달이며 그믐달은 음력 27~28일 즈음에 볼 수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초승달을 새달이라고 해서 New Moon, 그믐달을 오래된 달이라 Old Moon이라고 부릅니다.
②초승달과 그믐달은 달이 뜨는 시간으로도 알 수 있습니다. 아침에 떠서 저녁에 서쪽으로 지는 초승달은 초저녁 서쪽 하늘에 낮게 떠 있다가 사라지며, 새벽녘에 뜨는 그믐달은 해가 뜨기 직전 동쪽 하늘에 잠깐 나타났다 날이 밝으면 금방 시야에서 사라집니다.
③초승달과 그믐달은 손톱 모양을 이용해 구분하기도 하는데 손을 손등이 눈앞으로 향하게 해서 볼 때 달 모습이 왼손 엄지손톱같이 오른쪽으로 보이면 초승달, 오른손 엄지손톱같이 왼쪽으로 보이면 그믐달이라는 것으로 이 방법은 우리나라와 같이 지구 북반구에서만 적용합니다.

자료: 구글
첫댓글 초승달과 그믐달의 구별이
다시는 헷갈리지 않도록
단단히 기억해 두어야겠네요!
잘 기억하겠습니다.
선생님 덕분에 공부 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