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이집트 거리. 차선도 없고 무질서지만 이상하리 만큼 사고가 없다고 한다. 사람과 차량의 뒤얾킴, 자동차 경적소리 부산에서 운전하는것보다 더 힘든 운전일듯 하다.
우스운 이야기지만 부산에서 유행하는 유머가 있다.
차선 변경할 땐 좀 비었다 싶으면 대가리부터 밀어넣고 본다. 끼어들기에 성공하면 성공의 세레머니로 깜박이를 키면 된다. 그때 뒤에서 힘찬 크락션 소리가 차선 변경을 축하 해 줄것이다.
이런 부산 싸나이들도 이곳에선 운전 엄두도 못낼듯. 차와 사람이 뒤 엉키고....
기본적이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는 혼돈의 이집트였다.
외국인들이 지나갈라고 하면 현지 사복 경찰들이
에스코트 해 준다.
스마트폰 촬영
스마트폰 촬영.
스마트폰 촬영
2일차 피라미드 관람을 마치고 카이로 역으로 이동 야간 침대 열차타고 아스완으로 향하는 일정이다.
10여 시간을 달려 도착한 아스완 아침식사는 열차내에서 간단하게 해결한 후 미완성 오밸리스크로 향했다.
미완성 오벨리스크 이집트 아스완의 북부 채석장에서 하트셉수트 여왕을 위해 제작하다가 균열이 생겨 완성하지 못하고 방치된것이라 한다. 현재는 미완성된채 바닥에 누워 있는 상태의 오벨리스크를 볼수 있다.
또한 이곳 아스완 채석장에서 나온 화강암으로 피라미드와 신전을 지었다. 어떻게 이런 무거운 돌을 옮겼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는데 정설은 나일강 강물이 불어날때 무거운 돌을 옮겼을 것이라는게 대세이다. 곳곳에 무거운 돌을 쪼개고 옮긴 흔적이 있다.
드문 드문 도구로 작업한 흔적들이 아직도 선명하게 남아 있다.
미완성 오벨리스크. 상단부분에 균열의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오벨리스크를 작업할때 쓰였던 연마석.
현무암으로 화강암보다 강도가 높아 이 돌로 가공했다고 한다.
다음 일정인 아스완 하이댐으로 이동한다.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에 건설된 아스완 댐 최초 완공이후 나일강이 세차례 범람했는데 1970년 기존 댐에서 위에 추가로 건설한 댐이 하이댐이다. 높이가 111m로 어마어마한 규모를 자랑한다. 아스완댐을 만들며 생긴 호수가 나세르 호수 경제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진 댐이지만 문제는 이 호수 아래 여러 민족은 물론 아스완의 중요한 유적들이 수몰 된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두 신전만 높은 곳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는데 물의 신 이시스를 위한 필레 신전과 람세스 2세의 신전인 아부심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