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은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 중 하나로 음력 1월 15일입니다.
24년 정월대보름은 2월 24일 토요일이죠.
정월대보름의 정확한 뜻은 한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이라고 합니다.
이 날은 전통적으로 첫 보름달을 바라보며
새해의 시작을 알리고 한 해의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은 우리나라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명절로, 고대부터 농업 사회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날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날에는 여러 전통적인 풍습과 의식이 행해집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오곡밥 먹기', '부럼 깨기', '달맞이', '지신밟기', '등롱놀이(등불놀이)' 등이 있습니다.
오곡밥은 한 해 동안의 건강과 풍요를.
부럼 깨기는 땅콩, 호두 등 견과류를 깨물어 액운을 쫓고 건강을 기원하는 행위입니다.
달맞이는 밤하늘의 보름달을 바라보며 소원을 비는 전통적인 관습이고,
지신밟기는 마을을 돌며 액을 쫓고 행운을 불러들이는 행사입니다.
정월대보름를 현대적 의미로 보자면,
옛날의 많은 풍속들이 사라져 가고 있는
시점에서 그에 대한 의미도 많이 변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정월대보름이 다가오면 동네마다 척사대회(윷놀이) 현수막을 걸어 놓고 마을 사람들이 모여 윷놀이를 하던 것도 지금은 보기 드뭅니다.
(정월 대보름에 하는 ‘척사대회’의 ‘척사(擲柶)’는 윷놀이를 뜻함. 던질 척(擲)에 윷놀이를 의미하는 ‘사(柶)’로 이루어져 있음)
사회가 발전하고 달라진 주거 환경에서 살다 보니 옛 풍속을 이어가기에는 쉽지 않은 요즘이 못내 아쉽습니다.
그렇더라도 올해는 가족들과 함께 정월대보름의 행운을 만끽하는 하루가 되었으면 하는 소박한
바램을 가져 봅니다.
첫댓글 소원을 빕니다.
곁에 함께하는 모든 이들에게 행복을 주는 사람이길 소망합니다
어릴때 대보름에 강강술래도하고..쥐불놀이도하고 부럼을깨먹고 찰밥을 먹었던 기억이 새록새록나네요~^^ 어르신들이 기억하는 정월대보름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