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신랑을 고르려면 우선 내 사주에서 신랑 복이 얼마나 있는지를 살펴봐야합니다. 관살이 희용신 이면 남편복이 있을테니 궁합까지도 대체로 무난하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즉 신랑복이 없는 여자가 궁합을 일체 고려하지 않고 남자의 일지에 있는 처궁(妻宮)보고 그나마 조금이라도 나은 신랑감을 고르는 요령이라고나 할까요?
1. 일등 신랑감: 일지 식상과 일지 정재
일지 식상은 내가 生하는 구조이니 일지가 식상인 남편은 처를 예쁜 딸처럼 귀여워하고 예버하며 그리고 무드있는 남편이 될 것이며 거기에 남자도 처에 관해서는 별로 불만이 없을 것이다.일지 정재는 그야말로 처가 제대로 처궁에 들어 있어 오리지날 애처가이니 일지 식상과 더불어 궁합이나 여자 쪽의 성격에 크게 문제가 없다면 말썽없이 오순도순 잘 지낼 수 있겠다.
2. 이등 신랑감: 일지 비겁 정인 정관
비겁은 나와 같은 오행이니 처를 대등하게 대우하며 군림하려 들지 않고 여자 입장에서는 남자가 멋대가리가 없어서 그렇지 다른 문제는 없다. 정인은 따뜻한 엄마같은 처를 만날 인연이니 남편이 늘 처에게 엄마를 보듯 보고하고 상의할테니 여자 입장에서는 크게 속 썩을 일이 없을 것이다.정관은 처가 남편을 극하나 음약이 다르므로 사정을 보며 극을하니 주도권은 여자가 쥐게 마련이고 남자가 웬만하면 집안을 잘 돌 볼 수 있는 구조이니 무난하다고 하겠다.
3. 삼등 신랑감: 일지 편관 편인
편관은 한마디로 한눈 팔기 십상이다. 왜냐하면 처궁에서 무정하게 극을 받아 집에 들어가봐야 편치 못할 것이나 겨우 든다는 생각이... "다른 여자는 마누라 같지는 않을거야"하고 늘 다른데로 눈을 돌리며 일찍 들어가봐야 대우를 못받으니 늦게 들어 올 것은 뻔하고 식신제살이라도 하게되면 도리어 집안을 엄하게 단속하려 들테니 식구들도 편치 못할것이다. 편인은 일러 계모라 했던가? 편인은 한마디로 사고 뭉치다. 마누라에게 잔소리 듣고 살 팔자니 잔소리 들을 짓을해야 팔자에 맞게 사는 것이니까 끊임없이 사고를 친다. 또 잔소리가 싫어서 큰소리 뻥뻥치고 집에와서 마누라와 얘기를 잘 하지도 않는다.(말을 많이 하다보면 꼬투리 잡혀 잔소리 들을까봐) 그리고 사고치고 감당이 안되면 그때가서 비로서 털어놓으니 여자 입장에서는 복장이 터질 노릇인데 거기에다 늘 늦게 귀가하며 잔소리 안하는 다른 여자에게 한 눈을 팔게 마련이다.
4. 등외
이제는 정말 문제인 일지 편재이다.
처를 무정하게 극하는 것이 편재이니 보따리 사는게 상책이다. 일지 편재는 甲辰, 甲戌, 乙未, 乙丑, 丙申, 丁酉, 庚寅, 辛卯 이렇게 8가지가 있는데 각각 그들 집안의 속사정을 알아보자.
갑진: 갑목이 진토에 뿌리를 내래면서 극을하고 있으니 갑진 일주에게 시집가면 뿌리 잡아주랴 극당하랴 그야말로 고생문이 훤하다. 그래도 자기 뿌리를 잡아주니 처에게 집착하고 가끔은 고양이 쥐 생각하듯 한다.
을미: 을미 일주에게 시집가도 갑진일주와 별 차이 없다. 아마 갑진 일주나 을미 일주가 맘에 든다면 전생에 빚을 갚는다 치면 되겠다.
갑술: 갑목이 진토에 뿌리를 전혀 못내리고 극도 안되니 욕구 불만이라 겉도는 남편이 될것이다.
병신: 화는 올라가는 기운이고 금은 내려오는 기운이니 무정한 사이가 될것이다.정유: 경신과 마찬가지로 인정머리 없고 소 닭보듯 하는 무정한 남편이 될것이다.
경인: 목의 위로 자라는 기운을 사정없이 바위로 밟아 버리는 폭군 남편이 될것이다 그런데 가끔 인중병화로 남편에게 한마디씩 대들다가가는 .... 돌아오는 것은 무지막지한 돌멩이 세레일테니 조심~
신묘: 즉시 보따리 싸는게 상책이며 다른 대책이 없다. 견뎌봐야 사정없이 낫으로 풀베듯 싹뚝하니 노예 취급을 받을 것이다. 아마 전생의 웬수도 이런 웬수가 없다고 보면 되겠다.
첫댓글 선생님 남자 일지에 편관이 있으면 삼등 신랑감이라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