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성설교 받기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라 이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죽었다가 다시 살으셨으니 곧 죽은 자와 산 자의 주가 되려 하심이니라. 로마서 14:8-9
for if we live, we live for the Lord, or if we die, we die for the Lord; therefore whether we live or die, we are the Lord's. For to this end Christ died and lived again, that He might be Lord both of the dead and of the living. Romans 14:8-9
성도의 죽는 것을 여호와께서 귀중히 보시는도다 시편 116:15
Precious in the sight of the LORD Is the death of His godly ones. Psalm 116:15
신불신을 막론하고 누구나 내심 동의하는 인생의 진리가 있습니다. 그것은 사람은 죽는다는 것입니다. 흙으로 지어진 소멸성은 죽음이라는 현상 앞에서는 어떤 변명도 통하지 않고 사실이 되어 버립니다. 흔히 죽음은 소멸성과 영원성이 만나는 지점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죽어서 천국간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지난 번에 함께 나누었듯이 소멸성과 영원성이 만나는 지점에는 오히려 하나님의 창조와 같은 역사가 우리의 믿음을 통하여 나타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에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주제가 드러나게 됩니다. 인생의 죽음, 특히 성도의 죽음이라는 현상이 발생할 때 우리에게는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요? 하나님은 성도의 죽는 것을 귀중히 보신다고 하셨습니다.
Regardless believers or non-believers, there is one thing that both of them agree with, that is, everyone is to be dead eventually. Property to be extinctive of the dust of the ground will be revealed as fact in front of death without any excuse. Death is often to be understood to be happened in the spot of contact between eternity and extinctive property, that is, people think we are going to be heaven after death. By the way, as we have shared before, in the place of the contact between eternity and extinctive property, there will be the work like the Creation of God through our faith. So the topic we are going to share with will be revealed here in this point. What will be happened around the death, especially of the Saint. It is said that Precious in the sight of the LORD Is the death of His godly ones.
죽음이라는 표현이 나타내는 바는 죽는 현상, 또는 죽어 있는 존재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죽어 있는 존재로서의 죽음은 스올, 하데스, 혹은 음부로 표현되며 소멸되지 않고 죽은 채로 인격에 영향을 미치는 죽은 영을 지칭합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하나님이 귀중히 보신다는 말은 아닐 것이므로 결국 하나님이 귀중히 보시는 성도의 죽음은 죽는 현상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더 엄밀히 말하면 죽음을 대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그리고 조금 자세히 살펴보면 이것이 비단 자신에게 닥친 죽음 앞에서의 태도만을 의미하지 않고 오히려 현실에 살아 있는 동안 죽음이라는 현상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태도를 말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eath reveals an incident to be dead or a certain dead being which is called sheol, hades to affect the outward personality, that is the dead spirit, that is not what God considers precious. Then, what God considers precious is the incident to be dead, and more precisely, it reveals the attitude toward death. If you take a look a little more carefully, you can figure out it reveals not only the attitude before death but also how you consider death while you live in present time.
우리는 성경이 영과 영혼을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음을 알고 영혼에서 그리스도적 연합으로 영원성과 소멸성이 만나 하나로 존재한다는 사실에서 은혜를 받습니다. 영에는 부활하신 주님께서 연합하시고 이를 어린양의 보좌라고 하셨습니다. 부활 후 승천하셔서 가신 하나님 보좌 우편이 곧 우리 영과 연합하신 것입니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것은 영혼의 구원입니다. 영혼에는 혼이 가지는 소멸성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의 관심은 과연 이 구원받은 회복된 영혼, 그 중에 특히 혼의 부분의 결국은 어떨 것이냐에 미치게 됩니다. 회복된 혼은 과연 영생할까요?
We know the Bible uses two different expressions, spirit and soul, on purpose, and be grateful for the expression soul to be unified between eternity and extinctive property. Spirit has dwelling of the Resurrected Lord, saying it as the throne of the Lamb, where the Lord ascended after the Resurrection, the right side of the throne of God. Now we need the salvation of our soul. Because we know that soul has the extinctive property of the dust, so our interest is how the restored soul is, ‘Is it going to be live everlastingly?’
이 질문이 중요한 것은 이 혼이 우리가 현재 인식하는 나라는 의식이기 때문입니다. 나의 감정, 나의 의지, 나의 생각, 이 모든 것들이 다 혼에 속한 부분입니다. 거기에 영은 의식의 표면에서 인식되지 않고 있는데 성경이 사용하는 영혼이라는 표현에서는 이 공존할 수 없는 두 세계, 즉 영원성과 소멸성이 하나로 존재함을 나타내신 것입니다.
The reason why this question is important is because this soul reveals myself, including emotion, intension, thinking, stuff like that. Spirit is beyond our recognition, while soul exists in union between eternity and extinctive property.
죽음에 대한 태도라는 것은 수용, 혹은 선택에 관한 일입니다. 태초의 아담과 하와는 선악나무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그들로 보여진 인생의 태도는 무화과잎으로 치마를 하여 수치를 가린 것, 나무 뒤에 숨은 것, 그리고 선악을 구분함으로 하나님의 완전한 지혜를 얻고자 한 것들입니다. 이것은 각각 유형, 무형의 소유를 자신으로 대체하는 것, 통계와 숫자로 권력을 삼은 것, 그리고 선악의 종교성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태도는 소멸성으로부터 도망하려는 것들입니다. 죽음에 대한 태도, 즉 죽음을 수용하거나 선택하는 것은 이러한 소멸성에서 도망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육체의 목숨이 끊어지는 것과는 다릅니다. 물론 육신의 죽음 앞에서도 위에 언급한 대로 소멸성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The attitude toward death is related with acceptance or choice. Adam and Eve in the beginning revealed the attitude shifted into the tree of good and evil. They showed their attitude with covering their shame with the skirt of the leaves of fig tree, with hiding themselves behind trees, and with pursuing the perfection of God through selecting goodness against evilness. These attitude reveals substitution self with possession, consideration number as power, and religion, stuff like that, while all those come from escaping from extinctive property of the dust. The attitude toward death is not to escape from it but to accept it. It is not the same with the death of the body.
그렇게 되면 선악나무적 태도와 그 결과로 형성된 우상적 인생의 모습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됩니다. 가지되 소유하지 않고 속하되 권력으로 삼지 않고 선은 하나님의 의가 나타난 결과로 알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영혼은 하나인데 흙의 속성대로 지어진 혼이 자신의 소멸성을 인정하고 이를 수용하는 태도, 즉 죽음을 받아들이게 되면 그 결과는 영의 영원성, 즉 부활하신 주님과의 연합된 영의 영원성이 현실 세계로 흘러나오게 합니다. 즉 혼이 자신의 소멸성을 인정하여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곧 주님에게 문을 열어들이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영원성과 소멸성이 만나는 지점에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믿음의 결국은 하나님의 창조와 같은 일이 우리 삶에 일어나게 하는 것이고 이것이 곧 영혼의 구원입니다.
Then, we can be escaped from the attitude to be shifted into the tree of good and evil and the idol as the result of the attitude. We can have some but not possess, can be belonged but not make it as power, realizing goodness is the result of the righteousness of God. Soul is one, but when the soul accepts the property of extinctive property that it was taken from, then, the result is to open the eternity of spirit to come out to the outward personality and practical living, while the spirit is with the power of the Resurrected Lord. The end of our faith, in the place to meet between the eternity and extinctive property, is to make things like the Creation of God be happened, that is the salvation of our soul.
|
첫댓글 좋은 말씀 항상 감사 드립니다^^
목사님의 책도 사서 보고 큰 회복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어 여쭤 봅니다^^?
먼지로 지음 받은 인간은 소멸 할 수 밖에 없는데...그렇다면 택자들은 현재 이땅에서 구원의 현재성을 누리며 살다 천국에 가지요?
그렇다면 비택자들은 소멸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음부의 세력을 이땅에서 경험하다가 지옥으로 가나요?
소중한 질문 감사합니다.
주신 질문에 대한 답은 짧게 댓글을 달기 보다는 좀 더 상세히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주일 11월6일 주일말씀으로 답을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