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객관식 CPA 경제학을 수강하던 중 해당 주제와 관련해 질문사항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1. BP 곡선의 이동요인을 국제수지(자본수지 + 경상수지) 의 적자 및 흑자 증감여부로 설명 해주셨는데 자본이동이 불완전할시 IS,LM,BP 모형에서 변동환율 제도하에서는
왜 자본유입, 유출에 따른 자본수지의 변동은 BP 곡선의 이동을 초래하지 않고
자본유입, 유출 이후 환율 변동에 따른 경상수지의 변동만이 BP 곡선의 이동을 초래하는지 궁금합니다.
2. 수험목적으로 경상수지의 흑자 적자 증감여부로 BP 곡선의 이동여부를 판단하면 될까요?
3. 왜 고정환율제도에서는 BP 곡선의 이동이 발생하지 않나요?
감사합니다.
첫댓글 안녕하세요, 손병익 회계사입니다.
1. 자본수지의 변동은 IS-LM의 이자율 변동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자율의 변동은 BP곡선 상의 이동을 초래하므로 BP곡선 자체가 이동하지는 않습니다.
이후 경상수지는 환율 변동에 따른 경상수지의 변동에 의해 발생하므로 그래프가 이동합니다.
2. 반드시 그렇게 볼 수는 없고, 경상수지 혹은 자본수지의 변동이 그래프에 표시되는 r,Y에 의한 변동인지
환율 혹은 외국의 이자율과 같은 외생변수에 의한 그래프 자체의 이동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3. 고정환율제도에서는 이자율 변동에 의해 자본수지의 변동이 발생하여 환율이 변동할 때 중앙은행의 외환개입으로 자본수지 변동을 없에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