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줄거리
미국 텍사스. 사냥을 하던 모스(조쉬 브롤린 분)는 우연히 시체로 둘러싸인 현장에서 총상을 입고 죽어가는 한 남자와 돈가방을 발견하게 된다. 갈증을 호소하는 그 남자와, 240만 달러의 현금이 든 가방 사이에서 돈가방을 선택한 모스. 집에 돌아온 순간, 두고 온 남자에 대한 가책을 느끼며 새벽에 물통을 챙기고 현장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그를 기다리고 있는 건 빗발치는 총탄 세례와 자신의 뒤를 쫓는 추격자의 존재.
자신을 찾아온 행운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모스. 자신의 동료마저도 죽이며 빼앗긴 것을 찾으려는 살인 청부업자 안톤 쉬거(하비에르 바르뎀 분), 그리고 뒤늦게 사건 현장에서 그들의 존재를 깨닫고 추격하는 관할 보안관 벨 (토미 리 존스 분)까지, 세 사람의 꼬리를 무는 추격은 점차 그 결말을 알 수 없는 파국의 절정으로 치닫게 되는데…
1. 왜 제목이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인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반댓말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아이나 청년을 위한 나라는 있다.
A+조 토의 : ①노인을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보고, 나라는 하나의 보호하는 울타리로 보았다.
즉,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라는 것은 약자를 보호해주는 울타리가 부재하는 현실으로 보았다.
②돈과 관련지어서) 노인은 세속적이지 않은 반면 아이와 청년은 세속적 이미지로 보았다. 아주 어린 아이는 모르겠지만 첫번째 쉬거가 죽인 아이가 14살 이라는 점과, 중간에 나오는 10대 들의 모습, 그리고 마지막에 나오는 아이들의 모습에서 도출 하였다. 그러므로 세속적이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나라는 없다. 즉, 세속적인 사람들만을 위한 나라이다. 라고 보았다.
교수님) 나라라는 것에 너무 얽매이는 것 같다. 나라를 진짜 나라, 노인을 진짜 노인으로 봐서는 안된다. 나라라는 것은 한 사회를 의미하며 노인은 폭력적, 세속적이지 않은 존재로 표상되어집니다. 보안관 벨이 앞에서 말했던 총이 필요하지 않았던 시대의 청년이 노인이 된 지금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것은, 그 때 당시가 사라지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러므로 점점 과거는 사라지고 폭력적인 시대가 도래되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동전의 의미?
A+조 토의 : ①쉬거의 철학을 가장 드러내는 것이 동전이라고 생각한다. 쉬거가 있는 곳에는 계속해서 동전이 등장한다. 보안관 벨이 살인현장을 찾아갔을 때도 동전이 있었다. 단순한 동전 하나에 인간의 목숨을 올려놓고 생사를 구별한다는 것에서 인간 존재의 허무함과 우연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② 동전 또한 돈이다는 점을 또 생각해 볼 수 있다. 영화 전반에 나오는 돈을 위해 죽고 죽이는 모습과 비교해서 아이러니한 모습을 자아낸다. 그들이 돈을 얻으려는 행위는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 인데, 이 동전 던지기는 또 동전을 통해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3. 모스와 쉬거가 다른 이유?
모스와 쉬거를 비슷한 상황에 처하게 하고 다르게 대처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 역시 감독의 의도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이 차이점을 통해 감독은 무엇을 표현하려 하였을까?
A+조 토의 : ① 캐릭터의 성격을 부과하기 위해 그렇게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닐까? 어찌 보면 우리 사회에서 모스는 일반적인 사람이고 쉬거는 특이한 사람이다. 모스는 사회적이고 서로 의지하고 쉬거는 독립적이고 의지하려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즉, 사회적인지 비 사회적인지의 차이인 것 같다.
② 쉬거의 행위는 어쩌면 그가 사회에서 받은 것이 없으므로 줄 것도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본다. 그가 자라온 환경이나 그런 것은 잘 나와있지 않지만, 그의 행동을 보건대, 그는 아마 어렸을 때부터 남에게 받은 것이 없어보인다. 그가 타인에게 받은 것이 없으므로 그는 독립적일 수 있고, 살인을 행할 수 있는 것에 이유를 제공한다. (쉬거의 관념 안에서)
③ 영화 자체에서도 나왔지만 쉬거는 잃을 것이 없는 반면 모스는 잃을 것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영화에서 쉬거가 강한 이유가 잃을 것이 없기 때문이라고 나온다. 그가 독립적일 수 있는 이유 역시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된다.
④ 위의 것 역시 사회 현상과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모스는 사회활동을 하므로 잃을 것이 생기고 책임이 생기는 반면 쉬거는 사회활동을 하지 않으므로 잃을 것도 없고 책임이 없는 것이다.
4. 돈이 꼭 부정적인 것일까?
A+조와 교수님 모두 돈에 대한 생각은 개인차가 있을 것으로 여기고 개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다를 것이라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