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월 산업활동동향 및 평가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ZWnbd1rzTsmKAQhD9wjhXV7UVdcSFSkJliT399xr.node30?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73326&menuNo=4010100
’25.2월 전산업 생산, 소매판매, 설비투자 등 주요 지표 반등 |
- ‘25.2월 산업활동동향 및 평가 - - 10조원 규모 필수 추경 추진 등 민생경제 회복과 대외 리스크 대응에 총력 - |
’25.2월 산업활동은 전산업 생산(전기비 0.6% / 전년동기비 1.2%)이 광공업(1.0% / 7.0%)과 서비스업(0.5% / 0.8%) 증가 등으로 한 달 만에 반등했다.
* 전산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3Q)△0.4/0.5 (4Q)0.4/0.6 (’25.1)△3.0/△3.7 (2)0.6/1.2
광공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3Q)△0.5/2.4 (4Q)1.5/3.5 (’25.1)△2.8/△4.7 (2)1.0/7.0
서비스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3Q)△0.3/0.2 (4Q)0.7/0.6 (’25.1)△0.9/△0.9 (2)0.5/0.8
지출 측면에서는 소매판매(전기비 1.5%)가 전기차 보조금 조기 지급 등에 따른 내구재 판매 증가에 힘입어 한 달 만에 반등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감소(△2.3%) 했다. 설비투자(전기비 18.7% / 전년동기비 7.7%)의 경우, 반도체 장비 등 기계류가 증가한 가운데, 자동차 등 운송장비도 늘며 큰 폭 증가했다. 건설기성(전기비 1.5%)은 토목이 크게 늘며 반등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부진이 지속되며 감소(△21.0%)했다.
* 소매판매(전기비/전년동기비, %): (’24.3Q) 0.7/△1.5 (4Q)△0.4/△2.0 (’25.1) △0.7/ 0.0 (2) 1.5/ △2.3
설비투자(전기비/전년동기비, %): (’24.3Q) 10.2/ 11.5 (4Q)△1.8/ 5.3 (’25.1)△15.7/△5.1 (2)18.7/ 7.7
건설기성(전기비/전년동기비, %): (’24.3Q)△3.8/△9.1 (4Q)△5.1/△9.7 (’25.1)△4.6/△27.4 (2) 1.5/△21.0
’25.2월 산업활동 주요 지표는 전반적으로 전월 감소한 기저효과와 조업일 증가 영향, 전기차 보조금 조기지급 등으로 반등했다. 다만, 월별 변동성이 큰 가운데, 건설업 부진 지속 , 미국 관세부과 등 경기 하방 리스크가 큰 상황이다.
정부는 재난ㆍ재해 대응, 통상 및 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3대 분야에 집중한 10조원 규모 필수 추경을 추진하는 등 민생경제 회복과 대외 리스크 대응에 모든 역량을 총동원할 계획이다.
담당 부서 |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 책임자 | 과 장 | 조성중 | (044-215-2730) |
| | 담당자 | 서기관 | 김형선 | (044-215-2731) |
| | | 사무관 | 신승헌 | (044-215-2732) |
| | | 사무관 | 원종혁 | (044-215-2735) |
별 첨 | | '25.2월 산업활동동향 주요내용(상세) |
1 (생산) 광공업(1.0%)·서비스업(0.5%) 증가
➊ (광공업) 파업에 따른 철강 생산 차질, 화학업계 정기보수에도 반도체, 전자부품, 전기장비 등 증가하며 반등
‣ <반도체> 생산 확대, 출하 감소, 재고 감소
|
▪ 재고/출하비율은 재고(△1.2%)감소, 출하 증가하며(1.3%) 하락(△2.8%p)
* 재고/출하비율(%) : (‘24.9)106.6 (10)111.0 (11)113.6 (12)103.5 (‘25.1)110.6 (2)107.8
➋ (서비스업) 전기차·휴대폰 등 도소매 증가, 주식거래
증가에 따른 금융보험 개선 등으로 반등
| ‘22 | ‘23 | | | | | ’24 | | | | | ’25.1월 | 2월 | (업종별, 전월비, %) |
1/4 | 2/4 | 3/4 | 4/4 | 1/4 | 2/4 | 3/4 | 4/4 |
全 산 업 | <전기비, %> | - | - | 0.1 | 0.9 | 1.2 | 0.4 | - | 0.4 | 0.0 | △0.4 | 0.4 | △3.0 | 0.6 | (광공업)1.0 (건설업)1.5 (서비스업)0.5 (공공행정)△0.5 |
<전년동기비, %> | 4.7 | 1.1 | 1.6 | △0.1 | 1.5 | 1.7 | 1.5 | 2.9 | 2.2 | 0.5 | 0.6 | △3.7 | 1.2 |
광 공 업 | <전기비, %> | - | - | 0.6 | 2.8 | 1.4 | 1.8 | - | △0.8 | 1.8 | △0.5 | 1.5 | △2.8 | 1.0 | (전자부품)9.1 (전기장비)6.0 (철강)△4.6 (화학)△3.0 |
<전년동기비, %> | 1.0 | △2.6 | △8.2 | △6.0 | △0.5 | 4.8 | 4.1 | 5.3 | 5.2 | 2.4 | 3.5 | △4.7 | 7.0 |
서 비 스 업 | <전기비, %> | - | - | 0.7 | 0.5 | 1.0 | 0.3 | - | 0.3 | 0.0 | △0.3 | 0.7 | △0.9 | 0.5 | (도소매)6.5 (금융보험)2.3 (정보·통신)△3.9 (보건·복지)△2.1 |
<전년동기비, %> | 7.0 | 3.4 | 6.3 | 2.8 | 2.6 | 2.0 | 1.0 | 2.1 | 1.6 | 0.2 | 0.6 | △0.9 | 0.8 |
2 (지출) 소매판매(1.5%)·설비투자(18.7%)·건설기성(1.5%) 증가
➊ (소매판매) 준내구재(△1.7%), 비내구재(△2.5%) 판매가
감소했으나, 내구재(13.2%) 판매가 늘며 증가
‣ ‘25.1 → 2월(전월비, %): (내구재)2.2→13.2 (준내구재)△2.2→△1.7 (비내구재)△1.4→△2.5
|
➋ (설비투자) 반도체 장비 등 기계류가 큰 폭 증가한 가운데,
전기차 보조금 조기 집행 등으로 자동차 등 운송장비 늘며 증가
➌ (건설기성) 건축이 줄었으나, 토목이 늘며 반등
| ‘22 | ‘23 | | | | | ‘24 | | | | | ’25.1월 | 2월 | (업종별, 전월비, %) |
1/4 | 2/4 | 3/4 | 4/4 | 1/4 | 2/4 | 3/4 | 4/4 |
소 매 판 매 | <전기비, %> | - | - | △0.7 | 0.4 | △1.3 | 0.8 | - | △2.2 | △0.3 | 0.7 | △0.4 | △0.7 | 1.5 | (내구재) 13.2 (준내구재)△1.7 (비내구재)△2.5 |
<전년동기비, %> | △0.3 | △1.3 | △1.4 | △0.4 | △2.6 | △1.2 | △2.1 | △1.6 | △3.1 | △1.5 | △2.0 | 0.0 | △2.3 |
설 비 투 자 | <전기비, %> | - | - | △9.0 | 1.5 | △3.8 | 3.5 | - | △1.5 | △1.4 | 10.2 | △1.8 | △15.7 | 18.7 | (기계류) 23.3 (운송장비)7.4 |
<전년동기비, %> | 2.6 | △4.8 | △1.5 | △0.9 | △10.5 | △5.8 | 3.0 | △1.4 | △3.3 | 11.5 | 5.3 | △5.1 | 7.7 |
건 설 기 성 | <전기비, %> | - | - | 3.4 | △0.4 | 1.9 | △4.2 | - | 7.7 | △8.2 | △3.8 | △5.1 | △4.6 | 1.5 | (건축)△2.2 (토목) 13.1 |
<전년동기비, %> | 2.6 | 7.8 | 12.0 | 9.5 | 10.8 | 0.8 | △4.7 | 4.0 | △3.1 | △9.1 | △9.7 | △27.4 | △21.0 |
3 (경기 순환변동치) 동행지수(+0.1p)·선행지수(+0.1p) 상승
➊ (동행) 취업자수·내수출하 증가하며 상승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24.7)99.1 (8)99.0 (9)99.0 (10)99.3 (11)98.9 (12)98.8 (’25.1)98.4 (2)98.5<+0.1p>
➋ (선행) 기계류 내수출하 등 증가하며 상승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24.7)100.9 (8)100.8 (9)100.8 (10)100.8 (11)100.8 (12)100.7 (’25.1)100.3 (2)100.4<+0.1p>
□ ’25.2월 산업활동은 생산, 소비, 투자 등 주요 지표 반등
ㅇ 생산 측면에서는 기저영향, 조업일 증가, 전기차 보조금 조기 지급, 휴대폰 출시 등으로 광공업·서비스업 등 늘며 전산업 증가
* 전산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11)△1.2/△1.0 (12)1.8/0.7 (’25.1)△3.0/△3.7 (2)0.6/1.2
광공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11)△2.5/△0.3 (12)3.9/4.4 (’25.1)△2.8/△4.7 (2)1.0/7.0
서비스업(전기비/전년동기비, %): (’24.11)△0.4/0.1 (12)1.3/0.4 (’25.1)△0.9/△0.9 (2)0.5/0.8
ㅇ 지출 측면에서는 설비투자가 전월 조정 후 큰 폭 상승
* 설비투자(전월비/전년동월비, %): (’24.11)△1.7/1.6 (12)7.2/10.1 (’25.1)△15.7/△5.1 (2)18.7/7.7
▪ 소매판매는 증가했으나, 전년동기비로는 감소 지속
* 소매판매(전기비/전년동기비, %): (’24.11)△0.7/△2.6 (12) 0.5/△2.1 (’25.1)△0.7/0.0 (2)1.5/△2.3
▪ 건설투자는 소폭 증가했으나, 전년동기비 감소하며 부진 지속
* 건설기성(전기비/전년동기비, %): (’24.11)△3.1/△12.3 (12)△1.8/△7.3 (’25.1)△4.6/△27.4 (2)1.5/△21.0
□ 건설업 부진 지속, 美 관세부과 등 경기 하방리스크가 큰 만큼, 민생경제 회복과 통상·산업 리스크 대응에 모든 역량 총동원
ㅇ ➀재난ㆍ재해 대응, ➁통상 및 AI 경쟁력 강화, ➂민생 지원 등 3대 분야에 집중한 10조원 규모 필수 추경 추진
▪ 영세 소상공인 부담 완화, 취약계층 소비여력 확충 등 지원
▪ 수출기업 무역금융·수출바우처를 추가 공급하고,
고성능 GPU 추가 확보 등 AI 경쟁력 제고
ㅇ 대외신인도를 철저히 관리하는 동시에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 등 산업경쟁력 강화에 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