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주방용품 시장, 중고가ᆞ고가 제품 위주로 수요 확대 -
- 수출 확대를 위한 차별화 전략 및 전자상거래 활용 필요 –
□ 상품명 및 HS 코드
ㅇ 상품명: 주방용품
ㅇ HS 코드: 392410
□ 시장규모
ㅇ 중국 국민경제의 발전과 소득수준의 증가로 전체 국민의 소비 수준이 현저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방용품 시장도 함께 발전하고 있음.
-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8년 중국 주방용품 시장은 전년대비 8.1% 성장한 1,063억 위안 규모로 지난 5년간 연평균 8.7%의 성장을 기록함.
중국 주방용품 시장 규모
(단위:억 위안)

자료원: Euromonitor
- 품목별로 살펴보면 2018년 기준 조리기구 부문의 매출은 717억 위안으로 주방용품 시장의 67.4%를 차지하고 있으며, 식기부문 매출은 346억 위안으로 주방용품 시장의 32.6%를 차지함.
중국 주방용품 시장 품목별 점유율
Category | Category Value | Current Year Growth | % CAGR {Historic} |
Dining | 34,617.50 | 7.2 | 7.5 |
Beverageware | 16,944.60 | 8.3 | 8.6 |
Cutlery | 6,376.70 | 5.9 | 6.4 |
Dinnerware | 11,296.20 | 6.3 | 6.7 |
Kitchen | 71,656.70 | 8.5 | 9.2 |
Cookware | 49,200.30 | 9.1 | 9.8 |
Ovenware | 215 | 21.9 | 33.9 |
Stove Top Cookware | 48,985.30 | 9 | 9.8 |
Kitchenware | 22,456.50 | 7.2 | 8 |
Food Storage | 8,937.90 | 5.8 | 7.4 |
Kitchen Utensils | 13,518.60 | 8.1 | 8.4 |
자료: Euromonitor
ㅇ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중국 주방용품 시장은 6% 대의 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이는 중국 국민의 소득 증가가 주방용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임.
중국 주방용품 시장 전망
(단위:억 위안)

자료원: Euromonitor
□ 수입 동향
ㅇ 2018년 중국의 주방용품(HS Code 392410기준) 수입액은 약 1억3,173만 달러로 전년에 비해 17.4% 증가함.
중국의 주방용품 수입 규모(HS Code 392410기준)
(단위:천 달러)

자료원: GTA
ㅇ 수입된 주방용품 중 한국산은 250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본산이 1600만 달러, 태국산 850만, 미국산 820만, 대만산 710만 달러 순임.
- 한국산 주방용품은 안전한 소재, 적절한 가격과 사용상 편의성으로 다양한 수입제품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92410기준)
(단위:천 달러, %)
| 국명 | 수입액 | 시장점유율 | 증감률 |
2016 | 2017 | 2018 | 2018 | 2018/2017 |
| 총계 | 97,003 | 112,168 | 132,124 | 100.0 | 17.79 |
1 | 한국 | 20,493 | 20,868 | 25,546 | 19.3 | 22.42 |
2 | 일본 | 12,100 | 13,337 | 16,832 | 12.7 | 26.2 |
3 | 태국 | 3,657 | 4,657 | 8,555 | 6.5 | 83.7 |
4 | 미국 | 7,638 | 6,440 | 8,263 | 6.3 | 28.3 |
5 | 대만 | 7,881 | 9,039 | 7,116 | 5.4 | -21.28 |
6 | 인도 | 1,267 | 2,112 | 5,220 | 4.0 | 147.11 |
7 | 프랑스 | 2,448 | 4,241 | 4,226 | 3.2 | -0.35 |
8 | 말레이시아 | 516 | 1,574 | 4,003 | 3.0 | 154.37 |
9 | 인도네시아 | 2,353 | 5,420 | 3,666 | 2.8 | -32.36 |
10 | 독일 | 3,010 | 3,497 | 2,916 | 2.2 | -16.63 |
자료원: GTA
□ 경쟁 동향
ㅇ 가격에 민감한 중국 시장에서 저가의 토종 제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최근에 가격은 비싸지만 품질이 보장되어 있는 외국산의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임.
- 토종 기업 SUPOR(苏泊尔)와 ASD(爱仕达)가 강화된 품질력과 높은 가성비를 내세우고 중국 전역에 걸쳐 강력한 유통망을 확보하면서 대표적인 주방용품 브랜드로 자리잡음.
- 중고가, 고가 시장은 거의 Zwilling, Thermos, Tupperware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가 점령하고 있음. 이들 해외 브랜드 제품들이 중국 소비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는 이유는 친환경적인 이미지, 중국 요리의 특징에 맞춘 기능과 독자적인 디자인을 보유했기 때문임.
- 한국 브랜드 락앤락은 중국 내에서 프리미엄 주방용품 브랜드로서 상당히 인지도가 높으며, 지난해 광군제 기간 동안 중국 최대 쇼핑몰인 티몰(Tmall)에서 4000만 위안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리며 브랜드 파워를 과시했음.
중국 내 주요 주방용품 브랜드
브랜드 | 업체명 | 주요제품 | 제품 이미지 | 가격(위안) | 국가 |
Supor | Zhejiang Supor Co Ltd | 냄비, 후라이팬 | 
| 100 - 1000 | 중국 |
Zwilling | Zwilling JA Henckels Shanghai Ltd | 칼, 냄비, 후라이팬 | 
| 1000 이상 | 독일 |
Thermos | Thermos (China) Housewares Co Ltd | 보온병 | 
| 100-500 | 독일 |
Tupperware | Tupperware China Co Ltd | 밀폐용기 | 
| 10-200 | 미국 |
ASD | Zhejiang Aishida Electric Co Ltd | 냄비, 후라이팬 | 
| 100-600 | 중국 |
IKEA | IKEA (China) Investment Co Ltd | 식기, 조리기구 | 
| 10-300 | 스웨덴 |
Lock & Lock | Lock & Lock Co Ltd | 밀폐용기 | 
| 10-300 | 한국 |
Shibazi | Yangjiang Shibazi Group | 칼 | 
| 50-500 | 중국 |
Suncha | Suncha Bamboo & Wood Co Ltd | 대나무 도마, 저가락 | 
| 10-400 | 중국 |
Fuguang | Anhui Fuguang Industrial Co Ltd | 보온병 | 
| 10-200 | 중국 |
자료원: JD.COM, 선양무역관 정리
ㅇ 중국 주방용품 시장은 대규모의 중국 토종 기업과 해외 기업들이 대거 진출해 있지만 전체 시장의 약 80%가 아직까지 소규모 영세업체들에 의해 점유돼 있을 만큼 시장집중도가 낮은 편임.
□ 유통구조
ㅇ 중국 내 주방용품의 주요 판매경로는 슈퍼마켓, 백화점, 대형 할인매장 등이 있으며, 최근 인터넷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온라인쇼핑몰이 주방용품의 중요한 유통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음.
□ 수입인증과 관세율
ㅇ 주요 주방용품의 HS코드는 392410이며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6.5%의 수입관세(2019년 기준)와 13%의 부가가치가 부과됨.
자료원: KITA
□ 시사점
ㅇ 중국의 주방용품 시장은 도시별 소득 수준에 따라 일반 주방용품부터 프리미엄 제품에 걸쳐 다양한 제품 수요가 나타나고 있음.
- 시장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생활수준의 향상과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 증가로 중고가ᆞ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임.
ㅇ 가구별 생활 양식에 따라 소비자의 수요는 단순한 주방용품에서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의 제품으로 다양화되고 있음.
-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혼밥’에 적합한 작은 주방용품 수요가 증가하며, 개인의 만족을 중시하는 가치 소비 트랜드의 확산과 함께 독자적인 디자인을 자랑하는 제품들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
- 다양한 소비층을 공략하기 위해 상품 다자인, 기능 개발에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함.
ㅇ 인터넷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최근에 온라인 쇼핑몰이 주방용품의 중요한 유통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중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주방용품 업체들은 전자상거래를 통한 수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
주방용품 유통업자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