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통재심(至痛在心)
커다란 아픔에서 마음이 헤어 나오질 못하고 묶여 있다는 뜻으로, 아픔은 너무나 큰데 어찌할 길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至 : 이를 지(至/0)
痛 : 아플 통(疒/7)
在 : 있을 재(土/3)
心 : 마음 심(心/0)
출전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조선 인조(仁祖)때, 병자호란(丙子胡亂)에서 청나라에 패하고 조선은 두 왕자를 청에 볼모로 보낸다. 그 중 형인 소현세자가 돌아오자 마자 죽고 나서 둘째 왕자(봉림대군)가 왕위에 올라 효종(孝宗)이 됐다.
효종에게는 믿고 의지하던 백강 이경여(李敬輿)라는 신하가 있었는데 효종이 북벌에 온힘을 기울이다 심신이 피폐해지자 이경여는 ‘나라의 한을 씻어야 함은 마땅하지만 너무 조급해 마십시오.’ 고 위로의 글을 올렸다.
효종이 이에 답글을 썼는데 그 글에 통재심 일모도원(至痛在心, 日暮道遠)라는 글귀가 등장한다. ‘나라와 백성의 수모를 씻지 못해 아픔은 깊이 남아 있는데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기만 하구려’ 이런 뜻이다.
이 내용을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보궐정오 32년 병술(1706,강희 45)6월11일 (정유)의 기사를 보자.
병조 판서 이이명이 세자에게 글씨 쓰기를 청한 일로 관직을 파면시키다
임금이, 병조 판서(兵曹判書) 이이명(李頤命)이 서연(書筵)에서 소지(小紙)를 들이고 세자(世子)에게 글씨 쓰기를 청한 것은 사체(事體; 일의 이치와 정황)에 미안한 일이며, 추고(推考)하여 국문(鞫問)하는 것은 일이 중대한 것인데 죄인의 나문(拿問; 죄인을 체포하여 심문하는 것)을 청할 때에 완의(完議; 충분히 의논하여 참석자 전원이 합의한 내용)를 기다리지 않고 경솔하게도 먼저 번거롭게 아뢰었으니, 또한 몹시 놀랄 만한 일이란 이유로써 엄교(嚴敎)를 내려 특별히 그 관직(官職)을 파면시켰다.
동궁(東宮)은 다음 임금이고, 빈객(賓客)은 사부(師傅)와는 같지 않다. 또 궁관(宮官)이 심화(心畵; 마음을 나타낸 글씨) 보기를 청하는 자가 예전에도 혹은 있으나, 다행히 얻게 되면 진실로 진귀(珍貴)한 것으로 여겨 간직하여 왔다.
그러나 곧 소지(小紙)를 들이밀고 감히 등본(謄本)을 보이면서 곧 이에 의하여 써서 내려 주기를 청하는 것이 마치 지휘(指揮)하듯 한다는 것은 일찍이 듣지 못하였는데, 더구나 이이명의 처지로써 방자하게도 이렇게 하였으니, 그가 지나치게 교활하여 기탄(忌憚)함이 없는 것이 극도에 달하였다.
그가 마침내 참역(僭逆)에 빠지게 된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날은 저물고 길은 먼데, 지극한 고통이 마음속에 있다(日暮途遠 至痛在心)’는 여덟 글자는 곧 효종(孝宗)이 이이명의 조부(祖父) 고(故) 상신(相臣) 이경여(李敬輿)에게 내려 준 소비(疏批; 상소(上疏)에 대하여 임금이 내리던 대답) 중의 말로서 오로지 와신상담(臥薪嘗膽)하며 스스로 힘쓰라는 뜻에서 나온 것이다.
이에 앞서 송시열(宋時烈)이 이이명을 위하여 반(盤)과 같이 큰 글자로 썼는데, 이이명은 거주하는 백마강(白馬江) 석벽(石壁)에다 새겼다.
그를 좋아하지 않는 자는 그 뜻이 오자서(伍子胥)에 가까운 것으로써 주장하면서 ‘이이명이 뒤에 화(禍)가 있을까 두려워 하여 반드시 이곳에 쓴 것이 겉으로는 대의(大義)에 우러러 힘쓴 듯하나 속으로는 훗날에 스스로 보전할 계획을 한 것이라.’고 말하였다.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진변리의 백마강 서쪽 기슭 부산의 동쪽 언덕에 자리한 각서석(刻書石)은 자연 암반에 글씨를 새긴 것으로 현재 대재각(大哉閣)안에 보존되어 있다.
이곳에는 백강 이경여(李敬輿)가 효종 8년(1657),북벌에 관련하여 상소를 올리자 왕이 글을 내렸는데, 그 중에, "북벌을 위하여 내가 좋아하던 모든 것을 끊어 버리고 밤낮으로 노심초사하면서 조그마한 진전이라도 있을까 하는 바램이 진정 본령(本領)이 아니라는 것 (지엽적인 일이라는 것)은 나도 잘 알고 있소. 그러나 사무친 원한 풀지 못한 채,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오."
寡人絶嗜欲而夙夜焦身, 欲見小利者, 非不知其爲末務, 而誠以至痛在中有日暮道遠之意故也.
효종실록(孝宗實錄) 권18, 8년 정유(丁酉) 5월 정미조(丁未條)
誠以至痛在心(성이지통재심), 日暮途遠(일모도원)이라는 구절이 있었는데, 나중에 우암 송시열이 지통재심, 일모도원(至痛在心, 日暮途遠; 지극한 아픔은 마음에 있고, 날은 저무는데 갈 길은 머네)을 써서 이경여의 아들 이민서에게 주었고, 손자인 이이명이 숙종 26년(1700)에 부산의 자연암반에 새기고 이 건물을 세웠다.
이때 건물 이름을 대재각이라 한 것은 이경여가 효종의 비답(批答)을 읽고 상서(尙書)의 大哉王言이라 한데서 따온 것이다.
▶️ 至(이를 지, 덜렁대는 모양 질)는 ❶지사문자로 새가 땅(一)을 향하여 내려앉는 모양이라 하여 이르다를 뜻한다. ❷상형문자로 至자는 '이르다'나 '도달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至자는 화살을 그린 矢(화살 시)자가 땅에 꽂힌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至자를 보면 땅에 꽂혀있는 화살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목표에 도달했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至자는 대상이 어떠한 목표지점에 도달했다는 의미에서 '이르다'나 '도달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至(지, 질)는 ~까지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어(공간이나 시간에 관한 낱말 앞에 쓰임)의 뜻으로 ①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②영향을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③과분하다, 정도(程度)를 넘다 ④지극(至極)하다 ⑤힘쓰다, 다하다 ⑥이루다 ⑦지향(志向)하다 ⑧주다, 내려 주다 ⑨친근(親近)하다 ⑩표(表)하다 ⑪진실(眞實), 지극(至極)한 도(道) ⑫실체(實體), 본체(本體) ⑬동지(冬至), 절기(節氣)의 이름 ⑭지극히, 성대(盛大)하게 ⑮크게 ⑯최고(最高)로, 가장 ⑰반드시 ⑱마침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이를 도(到)이다. 용례로는 더할 수 없이 급함을 지급(至急), 더할 나위 없이 독함을 지독(至毒), 더할 수 없이 가장 높은 위를 지상(至上), 더할 나위 없이 천함이나 너무 흔해서 귀한 것이 없음을 지천(至賤), 더할 수 없이 어려움이나 아주 어려움을 지난(至難), 지극한 정성을 지성(至誠), 더할 수 없이나 지극히 착함을 지선(至善), 더할 수 없이 크다 아주 큼을 지대(至大), 더없이 높음이나 뛰어남 또는 더없이 훌륭함을 지고(至高), 지금까지를 지금(至今), 몹시 가까움이나 더 없이 가까운 자리를 지근(至近), 지극한 즐거움이나 더할 수 없는 즐거움을 지락(至樂), 더할 나위 없는 재능을 지재(至才), 더할 나위 없이 곤궁함을 지궁(至窮), 더 할 수 없이 존귀함을 지존(至尊), 어떠한 정도나 상태 따위가 극도에 이르러 더할 나위 없음을 지극(至極), 한군데로 몰려듦을 답지(遝至), 수량을 나타내는 말들 사이에 쓰이어 얼마에서 얼마까지의 뜻을 나타냄을 내지(乃至), 장차 반드시 이름이나 필연적으로 그렇게 됨을 필지(必至), 지극한 정성에는 하늘도 감동한다라는 뜻으로 무엇이든 정성껏 하면 하늘이 움직여 좋은 결과를 맺는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지성감천(至誠感天), 지극히 공평하여 조금도 사사로움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지공무사(至公無私), 지극히 공정하고 평등함을 일컫는 말을 지공지평(至公至平), 매우 가까운 곳을 이르는 말을 지근지처(至近之處), 진정한 명예는 세상에서 말하는 영예와는 다르다는 말을 지예무예(至譽無譽), 지극한 정성이 있는 사람은 그 힘이 신과 같음을 일컫는 말을 지성여신(至誠如神), 지극히 도리에 맞는 말을 말없는 가운데 있음을 이르는 말을 지언거언(至言去言), 매우 인자함을 일컫는 말을 지인지자(至仁至慈), 지극히 가깝고도 정분 있는 사이를 일컫는 말을 지정지간(至情之間), 더할 수 없이 높고 순수함을 일컫는 말을 지고지순(至高至純), 죽음을 당하는 처지에 이르러도 끝까지 굽히지 않음을 일컫는 말을 지사불굴(至死不屈), 거의 죽다시피 되는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 말을 지어사경(至於死境), 매우 어리석은 듯 하나 그 생각은 신령스럽다는 뜻에서 백성들이 보기에는 어리석은 듯하지만 그들이 지닌 생각은 신령스럽다는 뜻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지우이신(至愚而神), 몹시 천한 물건을 일컫는 말을 지천지물(至賤之物), 절대로 복종해야 할 명령을 일컫는 말을 지상명령(至上命令), 지극한 정성을 바쳐 있는 힘을 다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지성진력(至誠盡力), 예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를 일컫는 말을 지우금일(至于今日), 지극히 원통함을 일컫는 말을 지원극통(至冤極痛), 그 이상 더할 수 없이 매우 곤궁함을 일컫는 말을 지궁차궁(至窮且窮), 더할 나위 없이 정밀하고 미세함을 일컫는 말을 지정지미(至精至微), 매우 가난하여 의지할 곳조차 없음을 일컫는 말을 지빈무의(至貧無依),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도 남을 나무라는 데는 총명하다는 뜻으로 자신의 허물은 덮어두고 남의 탓만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을 지우책인명(至愚責人明), 끊임없는 지극한 정성이란 뜻으로 쉼 없이 정성을 다하자는 의미로 지극한 정성은 단절될 수 없다는 뜻을 나타냄을 일컫는 말을 지성무식(至誠無息), 초나라로 간다면서 북쪽으로 간다는 뜻으로 목적과 행동이 서로 배치됨을 이르는 말을 지초북행(至楚北行) 등에 쓰인다.
▶️ 痛(아플 통)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병질엄(疒; 병, 병상에 드러누운 모양)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자르다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甬(용, 통)으로 이루어졌다. 바늘로 찌르듯 아픈 병, 신경통(神經痛), 나중에 넓은 뜻의 아픔의 뜻으로 쓰인다. ❷회의문자로 痛자는 '아프다'나 '슬프다', '괴롭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痛자는 疒(병들 녁)자와 甬(길 용)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甬자는 고리가 달린 종을 그린 것이다. 종을 치면 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게 된다. 그러니까 痛자는 종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듯이 온몸으로 고통이 퍼져나가는 모습을 표현한 글자이다. 두통, 치통, 생리통과 같은 통증은 작은 부위에서 시작되지만, 우리 몸 전체를 괴롭힐 정도로 아픔을 준다. 痛자는 그러한 의미를 담아 만들어졌다. 그래서 痛(통)은 ①몸이 아프다 ②아파하다, 애석히 여기다 ③번민하다, 고민하다 ④슬퍼하다, 슬프다 ⑤간절하다 ⑥사무치다 ⑦괴롭히다 ⑧원망하다 ⑨높고 험하다 ⑩힘을 다하다 ⑪아픔, 고통(苦痛) ⑫원망(怨望), 원한(怨恨) ⑬몹시, 매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원통할 원(寃), 아플 동(疼)이다. 용례로는 소리를 높여 슬피 욺을 통곡(痛哭), 몹시 탄식함을 통탄(痛歎), 아픈 증세를 통증(痛症), 몹시 맵고 사나움을 통렬(痛烈), 아주 유쾌함을 통쾌(痛快), 몹시 뉘우침이나 뼈저리게 뉘우침을 통회(痛悔), 마음에 사무치게 느낌을 통감(痛感), 술을 흠뻑 많이 마심을 통음(痛飮), 피부 감각에서 아픔을 느끼게 하는 점을 통점(痛點), 원통하고 분함을 통분(痛憤), 가슴 아프게 몹시 한탄함을 통한(痛恨), 통렬하게 공박하는 것을 통박(痛駁), 피부 및 신체 내부에 아픔을 느끼는 감각을 통각(痛覺), 아픔을 못 견디어 지르는 소리를 통성(痛聲), 육체적 정신적으로 대단한 괴로움을 느끼는 일을 통고(痛苦), 몸이나 마음의 괴로움과 아픔을 고통(苦痛), 사물을 완성하기 직전에 겪는 어려움을 진통(陣痛), 머리가 아픈 증세를 두통(頭痛), 배를 앓는 병을 복통(腹痛), 허리가 아픈 병을 요통(腰痛), 분하고 억울함을 원통(寃痛), 슬프고 가슴 아파함을 애통(哀痛), 몹시 분하여 마음이 아픔을 분통(憤痛), 마음이 몹시 괴로우며 기분이 우울하고 구슬픔을 침통(沈痛), 몹시 마음이 아픈 슬픔을 비통(悲痛), 술그릇을 두드리는 아픔이라는 뜻으로 아내 상을 당함 또는 상처한 슬픔을 일컫는 말을 고분지통(鼓盆之痛), 성이 무너질 만큼 큰 슬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일컫는 말을 붕성지통(崩城之痛),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고통이라는 뜻으로 임금이나 아버지를 잃은 슬픔을 일컫는 말을 천붕지통(天崩之痛), 정신에 이상이 생길 정도로 슬피 통곡함을 일컫는 말을 실성통곡(失性痛哭) 등에 쓰인다.
▶️ 在(있을 재)는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흙 토(土; 흙)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재(자; 才의 변형; 풀의 싹 모양)의 뜻이 합(合)하여 있다를 뜻한다. 흙으로 막아서 그치게 하다, 멈추어 있다, 살아 있다, 존재하다의 뜻이 있다. ❷회의문자로 在자는 ‘있다’, ‘존재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在자는 土(흙 토)자와 才(재주 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才(재주 재)자는 새싹이 새로 돋아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이전에는 才자가 ‘존재하다’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후에 才자가 ‘재주’와 관련된 뜻으로 쓰이게 되면서 금문에서는 여기에 土자를 더한 ‘존재하다’라는 뜻을 대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在(재)는 (1)돈이나 물건 따위의 쓰고 난 나머지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있다, 존재하다 ②찾다 ③보다, 살피다 ④안부를 묻다 ⑤제멋대로 하다 ⑥곳, 장소(場所) ⑦겨우, 가까스로 ⑧~에, 처소(處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있을 존(存), 있을 유(有)이다. 용례로는 학적이나 호적이나 병적 등에 적혀 있음을 재적(在籍), 창고에 쌓아둔 물건을 재고(在庫), 전부터 있어 내려옴을 재래(在來), 임금의 자리에 있음 또는 그 동안을 재위(在位), 직무에 있음 또는 그 자리에 있는 동안을 재임(在任), 직장에 근무하고 있음을 재직(在職), 학교에 다니는 중임을 재학(在學), 외국에 있음을 재외(在外), 집에 있음 또는 집에 있으면서 중처럼 도를 닦음을 재가(在家), 초야에 파묻혀 있음을 재야(在野), 고향에 있음을 재향(在鄕), 어떤 자리에 있는 물건을 재물(在物), 어느 직장에 근무하는 일을 재근(在勤), 한동안 머물러 있음을 재류(在留), 세상에 살아 있음을 재세(在世), 지금 이때를 현재(現在), 현존하여 있음 또는 있는 그것을 존재(存在), 속에 숨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음을 잠재(潛在), 그곳에 있지 아니함을 부재(不在), 있는 곳 또는 있는 바를 소재(所在), 현실에 존재함 또는 그것을 실재(實在), 한 곳에 머물러 있는 것 또는 직무 상으로 파견되어 그곳에 머물러 있는 것을 주재(駐在), 어떤 사물이나 범위의 안에 있음을 내재(內在),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을 산재(散在), 남아 있음을 잔재(殘在), 건강하게 잘 있음을 건재(健在), 이것과 저것의 사이에 끼어 있음을 개재(介在), 나타나 있음을 현재(顯在), 이 한번으로 담판을 짓는다는 뜻으로 단 한 번의 거사로 흥하거나 망하거나 끝장을 냄을 일컫는 말을 재차일거(在此一擧), 집에 있으면서 독서함을 이르는 말을 재가독서(在家讀書), 바삐 돌아 다니느라고 집에 있는 날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재가무일(在家無日), 어떠한 일에서 벗어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을 재소난면(在所難免), 자기가 소속된 바에 따라 처신을 하게 마련이라는 말을 재소자처(在所自處), 사람의 목숨이 경각에 달렸음을 일컫는 말을 인명재각(人命在刻), 새가 높이 날 때는 바람은 그 밑에 있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오름을 이르는 말을 풍사재하(風斯在下), 뜻이 천리에 있다는 뜻으로 뜻이 웅대함을 이르는 말을 지재천리(志在千里) 등에 쓰인다.
▶️ 心(마음 심)은 ❶상형문자로 忄(심)은 동자(同字)이다. 사람의 심장의 모양, 마음, 물건의 중심의, 뜻으로 옛날 사람은 심장이 몸의 한가운데 있고 사물을 생각하는 곳으로 알았다. 말로서도 心(심)은 身(신; 몸)이나 神(신; 정신)과 관계가 깊다. 부수로 쓸 때는 심방변(忄=心; 마음, 심장)部로 쓰이는 일이 많다. ❷상형문자로 心자는 ‘마음’이나 ‘생각’, ‘심장’, ‘중앙’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心자는 사람이나 동물의 심장을 그린 것이다. 갑골문에 나온 心자를 보면 심장이 간략하게 표현되어 있었다. 심장은 신체의 중앙에 있으므로 心자는 ‘중심’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옛사람들은 감정과 관련된 기능은 머리가 아닌 심장이 하는 것이라 여겼다. 그래서 心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마음이나 감정과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참고로 心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위치에 따라 忄자나 㣺자로 바뀌게 된다. 그래서 心(심)은 (1)종기(腫氣) 구멍이나 수술한 구멍에 집어넣는 약을 바른 종이나 가제 조각 (2)나무 줄기 한 복판에 있는 연한 부분 (3)무, 배추 따위의 뿌리 속에 박인 질긴 부분 (4)양복(洋服)의 어깨나 깃 따위를 빳빳하게 하려고 받쳐 놓는 헝겊(천) (5)초의 심지 (6)팥죽에 섞인 새알심 (7)촉심(燭心) (8)심성(心星) (9)연필 따위의 한복판에 들어 있는 빛깔을 내는 부분 (10)어떤 명사 다음에 붙이어 그 명사가 뜻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마음, 뜻, 의지(意志) ②생각 ③염통, 심장(心臟) ④가슴 ⑤근본(根本), 본성(本性) ⑥가운데, 중앙(中央), 중심(中心) ⑦도(道)의 본원(本源) ⑧꽃술, 꽃수염 ⑨별자리의 이름 ⑩진수(眞修: 보살이 행하는 관법(觀法) 수행) ⑪고갱이, 알맹이 ⑫생각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물건 물(物), 몸 신(身), 몸 체(體)이다. 용례로는 마음과 몸을 심신(心身), 마음이 움직이는 상태를 심리(心理), 마음에 품은 생각과 감정을 심정(心情), 마음의 상태를 심경(心境), 마음 속을 심중(心中), 마음속에 떠오르는 직관적 인상을 심상(心象), 어떤 일에 깊이 빠져 마음을 빼앗기는 일을 심취(心醉), 마음에 관한 것을 심적(心的), 마음의 속을 심리(心裏), 가슴과 배 또는 썩 가까워 마음놓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을 심복(心腹), 본디부터 타고난 마음씨를 심성(心性), 마음의 본바탕을 심지(心地), 마음으로 사귄 벗을 심우(心友),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심심상인(心心相印), 어떠한 동기에 의하여 이제까지의 먹었던 마음을 바꿈을 심기일전(心機一轉), 충심으로 기뻐하며 성심을 다하여 순종함을 심열성복(心悅誠服), 마음이 너그러워서 몸에 살이 오름을 심광체반(心廣體胖), 썩 가까워 마음놓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을 심복지인(心腹之人)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