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취득가액은 공정가액의 한도로 인정합니다. 따라서 학교의 수업교재는 나중에 재차 확인하시거나 아니면 알려주시고 "현저한"의 표현은 조금 오바하는 표현이라고 생각되는데 하여튼 세법의 표현이나 또는 쉽게 자산의 평가를 확정할 수 있다는 표현은 실무나 기준에서 가정하는 생각과 거리가 있는데... 기준서를 보시길
수험서에는 이론이 없다는 건 아니죠 ㅡ,.ㅡ;; 대차대조표가 중시되는 현행회계에서는 자산의 적절한 평가가 중요하죠.. 따라서 자산가액은 자산으로부터 미래에 유입되는 현금흐름의 현가로 측정되어야 하고 그 금액은 일반적으로 공정가액이 됩니다.. 따라서 현저히 낮은 가액이나 높은가액으로 자산을 구입했을경우..
^^: 제가 좀 빨리 적다보니.. '평가'라기보다는 '측정'이 맞을거 같구.. 웅지 말이에요.. 이론이 없어야 한다기보다는 기업회계기준에 대한 언급이 없길래요.. 기준서에서는 비슷한 내용을 찾을 수 없구.. 수험서라면 저자분의 입장과 함께 공식적인 기업회계기준에 대한 뚜렷한 언급이 있어야할 거 같아서요..
첫댓글 취득가액은 공정가액의 한도로 인정합니다. 따라서 학교의 수업교재는 나중에 재차 확인하시거나 아니면 알려주시고 "현저한"의 표현은 조금 오바하는 표현이라고 생각되는데 하여튼 세법의 표현이나 또는 쉽게 자산의 평가를 확정할 수 있다는 표현은 실무나 기준에서 가정하는 생각과 거리가 있는데... 기준서를 보시길
수험서에는 이론이 없다는 건 아니죠 ㅡ,.ㅡ;; 대차대조표가 중시되는 현행회계에서는 자산의 적절한 평가가 중요하죠.. 따라서 자산가액은 자산으로부터 미래에 유입되는 현금흐름의 현가로 측정되어야 하고 그 금액은 일반적으로 공정가액이 됩니다.. 따라서 현저히 낮은 가액이나 높은가액으로 자산을 구입했을경우..
취득가액으로 공시하게 되면 자산이 왜곡표시되므로, 정보이용자가 잘못된 판단을 할수있겠죠.. 따라서 그런경우에는 자산가액을 공정가액으로 계상해야 합니다.
^^: 제가 좀 빨리 적다보니.. '평가'라기보다는 '측정'이 맞을거 같구.. 웅지 말이에요.. 이론이 없어야 한다기보다는 기업회계기준에 대한 언급이 없길래요.. 기준서에서는 비슷한 내용을 찾을 수 없구.. 수험서라면 저자분의 입장과 함께 공식적인 기업회계기준에 대한 뚜렷한 언급이 있어야할 거 같아서요..
그래야 문제를 풀졍.. 에궁 어쨌든 간혹 이런거에 부딪치면 곤혹스럽네영.. 학원다닐걸... 어쨌든 답변 감솨~~ 이번 시험보시는 분들 다 붙어버려라!!! ㅋㅋ 열공하세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