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 목록》
〈단행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고구려사연구』Ⅱ - 사료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8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한국고대금석문』Ⅰ- 고구려․백제․낙랑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장휘옥, 『해동고승전연구』, 민족사, 1991
전용신 역, 『완역 일본서기』, 일지사, 1989
민족문화추진회 편, 『고려도경』, 도서출판 민족문화, 1986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북한문화유적발굴개요』, 1991
조선유적유물편찬위원회,『조선유적유물도감』5, 6, 사회과학출판사, 1990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북한문화재도록』,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5
김기웅, 『고구려 고분벽화』, 서문당, 1989
김원룡 외, 『한국불교미술』- 불상편, 중앙일보사, 1979
서길수, 『고구려 성』KBS 고구려특별대전 도록, 한궁방송공사, 199
조선일보사 편, 『집안 고구려 고분벽화』, 조선일보사 출판국, 1993
한국방송공사 편, 『고구려고분벽화』, 한국방송공사, 199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구려의 고고문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3 -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국사편찬위원회, 199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4 - 초기국가 - 고조선․부여․삼한, 국사편찬위원회, 199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5 -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 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199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6 -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 백제, 국사편찬위원회, 199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7 -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Ⅲ- 신라․가야, 국사편찬위원회, 1997
한국사 편집위원회, 『한국사』2 - 원시사회에서 고대사회로, 한길사, 1994
한국사 편집위원회, 『한국사』3 -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 1, 한길사, 1994
한국사 편집위원회, 『한국사』4 -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 2, 한길사, 1994
『고구려 고분벽화』- 제3회, 고구려국제학술대회 발표논집, 1997
『고구려문화 국제학술회의논문집』, 1994
공석구, 『고구려 영역확장사연구』, 서경문화, 1998
권오중, 『낙랑군 연구』, 일조각, 1992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고구려 대수․당전쟁사』, 1991
김광진․도유호 외, 『삼국시기의 사회경제구성에 관한 토론집』, 1957판, 일송정, 1989
김기흥, 『새롭게 쓴 한국고대사』, 역사비평사, 1993
김두진 외, 『한국고대의 국가와 사회』, 일조각, 1985
김석형, 『초기 조일 관계사 연구』, 사회과학원 출판사, 1966
김용숙, 『한국여속사』, 민음사, 1989
김원룡, 『한국벽화고분』, 일지사, 1980
김재원, 『단군신화의 신연구』, 탐구당, 1974
김정배 엮음, 『북한의 고대사 연구와 성과』, 대륙연구소출판부, 1994
김정배 엮음, 『북한의 우리고대사 인식』Ⅰ, Ⅱ, 대륙연구소출판부, 1991
김정배 책임편집, 『북한이 보는 우리역사』, 을유문화사, 1989
김정배, 『한국고대의 국가형성과 기원』,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6
김정배․유재신 엮음, 엄성흠 옮김, 『중국학계의 고구려사 인식』, 대륙연구소 출판부, 1991
김종완, 『중국남북조사연구』, 일조각, 1985
김추윤․장삼환 공저, 『중국의 국토환경』, 대륙연구소출판부, 1995
김한규, 『고대중국적세계질서연구』, 일조각, 1982
단국대사학회 편, 『사학지』13호-중원고구려비 특집호, 1979
도광순, 『신선사상과 도교』, 범우사, 1994
룩콴텐 저, 송기중 역. 『유목제국흥망사』, 민음사, 1984
리화선, 『조선건축사』Ⅰ,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박성봉 편, 『고구려 남진 경영사의 연구』, 백산자료원, 1995
박용숙, 『한국미술의 기원』, 도서출판 예경, 1990
박원길, 『몽골의 문화와 자연지리』, 두솔, 1996
박진욱 외, 『조선고고학전서』- 중세편 고구려,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박한제, 『중국중세호한체제연구』, 일조각, 1988
백산학회 편, 『한민족의 대륙관계사』, 백산학회, 1996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문화사』, 미래사, 1988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통사』(상), 1977판, 오월, 1988
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 편, 『고구려사』3,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서병국, 『고구려 제국사』, 혜안, 1997
서희건 편저, 『잃어버린 역사를 찾아서』1, 2, 3, 고려원, 1986
선정규, 『중국신화연구』, 고려원, 1996
손영종 외, 『조선수군사』, 사회과학출판사, 1991
손영종, 『고구려사』Ⅰ,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신채호, 『조선상고사』, 문공사, 1982
역사과학 연구소, 『고구려문화』, 사회과학출판사, 1975
유애령, 『식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교보문고, 1997
윤명철, 『말타고 고구려 가다』, 도서출판 청노루, 1997
이 옥, 『고구려민족형성과 사회』, 교보문고, 1984
이기동 외, 『한국고대사론』- 한길역사강좌 12, 한길사, 1988
이용범. 『고대의 만주관계』, 한국일보사, 1976
이은창, 『한국 복식의 역사』- 고대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8
이전복 저, 차용걸․김인경 역, 『중국내의 고구려유적』, 학연문화사, 1994
이전복․손옥량 공저, 강인구․김영수 공역, 『고구려간사』, 삼성출판사, 1990
이지린․강인숙 공저, 『고구려 역사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76
이춘식․김상기 외, 『고대 한중관계사의 연구』, 심지원, 1987
이형구, 『한국고대문화의 기원』, 까치, 1991
이형구․박노희, 『광개토대왕비의 연구』, 동화출판사, 1986
이홍직, 『한국고대사의 연구』, 신구문화사, 1971
임영미, 『한국의 복식문화』Ⅰ, 경춘사, 1997
장철수, 『옛무덤의 사회사』, 웅진출판주식회사, 1995
전해종 편, 『동아사의 비교연구』, 일조각, 1987
정경희, 『한국고대사회문화연구』, 일지사, 1990
정재서, 『불사의 신화와 사상』, 민음사, 1994
町田 章, 『고대동아시아の 장식묘』, 동명사출판, 1987
조빈복 저, 최무장 역, 『중국동북 신석기문화』, 집문당, 1996
조선기술발전사편찬위원회, 『조선기술발전사』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6
조흥윤 외, 『한국 민족의 기원과 형성』하(下), 도서출판 소화, 1996
조희승, 『일본에서 조선소국의 형성과 발전』, 백과사전출판사, 1990
지배선, 『중세동북아사연구』, 일조각, 1986
최무장, 『고구려․발해문화』, 집문당, 1982
최무장, 『고구려고고학』Ⅰ, Ⅱ, 민음사, 1995
최무장․임연철 편저, 『고구려 벽화고분』, 신서원, 1990
최숙경 외, 『한국여성사』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2
하자노프 저, 김호동 역, 『유목사회의 구조』, 지식산업사, 1990
한국문원 편집실, 『분단 50년 북한을 가다』1 - 평양, 한국문원, 1995
한국문원 편집실, 『분단 50년, 북한을 가다』3 - 개성․해주, 한국문원, 1995
한국문원 편집실, 『분단 50년, 북한을 가다』4 - 묘향산, 한국문원, 1995
한국미술사학회 편, 『고구려 미술의 대외교섭』, 도서출판 예경, 1996
한국고대사학회 편, 『한국고대국가의 형성』, 민음사, 1990
한국상고사학회 편, 『한국상고사』, 민음사, 1989
한국역사연구회 편,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199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사상사대계』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사상사대계』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인호, 『조선중세건축유적연구』- 삼국편, 사회과학출판사, 1995
〈논문 자료〉
강맹산, 최초의 고구려 국가, 백산학보 40집, 1992, pp 75~83
강문호, 오호시기 호족왕조의 제권,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996, pp 1~267
강영경, 한국 고대사회에 있어서의 여성의 존재 형태,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1980, pp 1~75
강종훈, 삼국사기 초기기록에 보이는 낙랑의 실체, 한국고대사연구 10, 1995, pp 123~151
공석구, 고구려의 요동진출사 연구, 충남대석사논문, 1983, pp 1~70
공석구, 광개토왕릉비의 동부여에 대한 고찰, 한국사연구 70, 1990, pp 1~31
공석구, 안악3호분의 묵서명에 대한 고찰, 역사학보 121, 1989, pp 1~41
곽종길, 한국과 일본의 고대 농업기술, 한국고대사논총 4집, 1992, pp 61~137
권영필, 고구려벽화의 복희․여화도, 공간 207, 1984, pp 43~47
권오중, 말갈의 종족계통에 대한 시론, 진단학보 49, 1980, pp 1~25
권태원, 맥문화권과 숙신 문제, 백산박성수교수 화갑기념논총, 1992, pp 517~539
김광수, 고구려 건국기의 성씨사여, 김철준박사 화갑기념 사학논총, 1983, pp 961~968
김광수, 고구려 전반기의 가(加)계급, 건대사학 6집, 1982, pp 1~23
김광수, 고구려 초기의 왕위계승 문제, 한국사연구 55, 1986, pp 1~10
김기흥, 6․7세기 고구려의 조세제도, 한국사론 17, 1987, pp 3~46
김기흥, 고구려의 성장과 대외교역, 한국사론 16, 1987, pp 3~62
김두진, 한국 고대 여성의 지위, 한국사시민강좌 15집, 1994, pp 20~38
김문경, 당 고구려 유민과 신라교민,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84, pp 1~208
김병모, 말각조정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역사학보 80, 1978, pp 1~26
김병주, 나제동맹에 관한 연구, 한국사연구 46집, 1984, pp 25~47
김상기, 한․예․맥 이동고, 사해 창간호, 1948, pp 3~16
김선욱, 고구려의 수당관계 연구-말갈을 중심으로, 백제연구 16, 1985, pp 5~18
김영수, 고구려 초기의 대외관계의 성격, 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89, pp 1~84
김영하, 고구려의 순수제, 역사학보 106집, 1985, pp 1~54
김용선, 고구려 유리왕고, 역사학보 87, 1980, pp 45~62
김원룡, 고구려 고분벽화의 기원에 대한 연구, 진단학보 21, 1960, pp 41~105
김원룡, 고구려 벽화고분의 신자료, 역사학보 81, 1979, pp 153~172
김원룡, 고대한국과 서역, 미술자료 34호, 1984, pp 1~25
김원룡, 고송총 고분의 문제, 백산학보 13, 1972, pp 178~185
김일권, 고구려 고분벽화의 별자리그림 고정, 백산학보 47집, 1996, pp 51~106
김일권, 고구려 고분벽화의 천문관념체계 연구, 진단학보 82호, 1996, pp 1~34
김일권, 고구려 고분벽화의 천문사상 특징, 고구려연구 3집, 1997, pp 93~110
김일권, 한국고대 ‘仙’이해의 역사적 변천, 종교연구 13집, 1997, pp 49~76
김정기, 삼국시대의 목조건축, 고고미술 150, 1981, pp 1~39
김정배, 고구려와 신라의 영역문제, 한국사연구 61․62, 1988, pp 1~17
김정배, 두막루구 연구, 국사관논총 29, 1991, pp 71~80
김정숙, 고구려 고분벽화 소재변화에 대한 일고찰, 한국고대사연구 9, 1996, pp 231~265
김현숙, 고구려 중 후기 중앙집권적 지방통치체제의 발전과정, 한국고대사연구 11, 1997, pp 1~69
김현숙, 고구려의 말갈지배에 관한 시론적 고찰, 한국고대사연구 6, 1993, pp 205~253
김현숙, 광개토왕비를 통해본 고구려 수묘인의 사회적 성격, 한국사연구 65, 1989, pp 1~36
노중국,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동방학지 49집, 1985, pp 297~328
노중국, 고구려 율령에 관한 일시론, 동방학지 21집, 1979, pp 91~186
노중국, 고구려․백제․신라의 역(力)관계 변화에 대한 일고찰, 동방학지 28집, 1981, pp 45~107
노태돈,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관계, 동방학지 44집, 1984, pp 1~57
노태돈, 5세기 고구려인의 천하관, 한국사시민강좌 3집, 1988, pp 61~90
노태돈, 고구려 유민사 연구, 한우근박사 정년기념사학논총, 1981, pp 79~108
노태돈, 고구려 초기의 취서혼에 대한 일고찰, 김철준박사 화갑기념 사학논총, 1983, pp 79~110
노태돈, 고구려․발해인과 내륙아시아 주민과의 교섭에 관한 일고찰, 대동문화 23, 1989, pp 235~246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동방학지 52집, 1986, pp 193~218
노태돈, 고구려의 한수유역 상실의 원인에 대하여, 한국사연구 13, 1976, pp 29~57
노태돈, 고조선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한국사론 23, 1990, pp 3~55
노태돈, 대발해 일본국서에서 운위한 고려구기에 대하여, 변태섭 화갑기념 사학논총, 1985, pp 605~625
노태돈, 발해 건국의 배경, 대구사학 19, 1981, pp 1~29
노태돈, 부여국의 강역과 그 변천, 국사관논총 4, 1989, pp 33~53
노태돈, 삼국시대의 부(部)에 관한 연구, 한국사론 2, 1975, pp 1~79
노태돈, 연개소문과 김춘추, 한국사시민강좌 5집, 1989, pp 14~38
노태돈, 주몽의 출자전승과 계루부의 기원, 한국고대사논총 5집, 1993, pp 37~68
박경철, 고구려의 국가형성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7, pp 1~275
박경철, 고구려군사역량의 재검토, 백산학보 35집, 1988, pp 139~181
박경철, 고구려와 예맥, 백산학보 48집, 1997, pp 109~151
박경철, 부여사 전개에 관한 재인식 시론, 백산학보 40집, 1992, pp 23~73
박경철, 최근 북한학계의 고구려사 연구동향에 관한 소고, 백산학보 46집, 1996, pp 497~516
박성봉, 광개토대왕기의 내정정비에 대하여, 천관우선생 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1985, pp 135~162
박성봉, 광개토호태왕기 고구려 남진의 성격, 한국사연구 27, 1979, pp 1~27
박성봉, 동이전 고구려대중국관계 동일년대기사의 대비, 경희사학 11집, 1982, pp 257~301
박원길, 할흐곰솜의 구전설화와 주몽건국설화의 비교, 한몽공동학술조사보고 1, 1992, pp 25~41
변태섭, 삼국의 정립과 신라통일의 민족사적 의미, 한국사시민강좌 5집, 1989, pp 1~13
서병국, 고구려의 동서화합에 관한 시론적 고찰,백산학보 35집, 1988, pp 115~137
서병국, 북조시대 발해고씨의 거취, 동국사학 22집, 1988, pp 29~61
서병국, 중국인의 고구려유망과 요동개척, 백산학보 34, 1987, pp 5~22
서영대, 고구려 귀족가문의 족조전승, 한국고대사연구 8, 1995, pp 155~183
서영대, 고구려 평양천도의 동기, 한국문화 2, 1981, pp 81~139
서영대, 삼국사기와 원시종교, 역사학보 105집, 1985, pp 1~33
서영수, 고대한중관계 연구 시론, 단국대대학원학술논총 제5집, 1981, pp 35~47
서영수,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한국사시민강좌 2집, 1988, pp 19~50
서영수, 삼국과 남북조 교섭의 성격, 동양학 11집, 1981, pp 149~187
서영수, 위만조선의 형성과정과 국가적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9, 1996, pp 91~130
손보기, 다리강가 지역의 자연환경과 선사 및 고구려 유적지, 한몽공동학술조사 3, 1994, pp 13~29
손보기, 동몰고지구 고고학유적 답사보고, 한몽공동학술조사보고 1, 1992, pp 57-85
손보기, 오르혼솜의 종이 공방터 조사 보고, 한몽공동학술조사 3, 1994, pp 61~67
신형식, 삼국통일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연구 61․62, 1988, pp 49~87
안병우, 6~7세기 토지제도, 한국고대사논총 4집, 1992, pp 275~326
양 홍, 북조 만기 묘실벽화의 새로운 발견에 관하여, 미술사논단 5호, 1997, pp 227~243
양기석, 4~5세기 고구려왕자의 천하관에 대하여, 호서사학 11, 1983, pp 25~45
양기석, 삼국시대의 인질의 성격에 대하여, 사학지 15집, 1981, pp 39~66
양은용, 통일신라시대의 도교사상과 풍류도, 한국도교사상연구총서 8, 1994, pp 7~32
연민수,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대외관계, 한국고대사연구 10, 1995, 223~264
연민수,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왜관계기사의 검토, 동국사학 21, 1987, pp 1~33
오강원, 고조선 위치비정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1), 백산학보 47집, 1996, pp 5~50
오강원, 고조선 위치비정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2), 백산학보 48집, 1997, pp 55~107
오강원, 최근 제기된 북한학계의 고조선=평양설에 관하여, 백산학보 46집, 1996, pp 459~495
유봉영, 한․중간의 고대육상교통, 백산학보 20호, 1976, pp 269~277
유원재, 삼국사기 위(僞)말갈고, 사학연구 29집, 1979, pp 1~41
윤명철, 고구려 해양교섭사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4, pp 1~299
윤명철, 고구려 옛땅 답사와 고구려사, 국학연구소 고구려 역사문화 특강 유인물, 1996, pp 9~41
윤명철, 고구려인의 시대정신에 관한 탐구 시론, 한국사상사학 7집, 1995, pp 193~229
윤성용, 고구려 귀족회의의 성립과정과 그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11, 1997, pp 315~364
이 옥, 고구려의 정복과 작위(시론), 동방학지 27집, 1981, pp 1~16
이 옥, 고대 한국인의 동물관과 그 묘사, 동방학지 46․47․48집, 1985, pp 25~54
이기문, 고구려의 언어와 그 특징, 백산학보 4집, 1968, pp 103~142
이도학, 방위명 부여국의 성립에 관한 검토, 백산학보 38, 1991, pp 5~62
이만열, 조선후기의 고구려사 연구, 동방학지 4, 1984, pp 177~222
이병도, 고구려국호고, 서울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 제3집, 1956, pp 1~14
이성규, 선진문헌에 보이는 동이의 성격, 한국고대사논총, 1991, pp 97~143
이용범, 고구려의 성장과 철, 백산학보 1집, 1966, pp 30~90
이용범, 고구려의 요서진출기도와 돌궐, 사학연구 4집, 1959, pp 43~80
이용범, 고구려인의 조우삽관에 대하여, 동국사학 4, 1956, pp 1~30
이은창, 고구려 원림사(園林史)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3, 1987, pp 117~203
이은창, 고구려신화의 고고학적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 1집, 1982, pp 99~171
이재성, 4~7세기 동몽고사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995, pp 1~205
이종욱, 고구려초기의 좌․우보와 국상, 전해종박사 화갑기념 사학논총, 1979, pp 485~513
이종욱, 고구려초기의 지방통치제도, 역사학보 94․95집, 1982, pp 75~132
이종욱, 광개토왕릉비 및 삼국사기에 보이는 왜병의 정체, 한국사시민강좌 11집, 1992, pp 43~70
이진희, 광개토왕비문에 나타난 임나가야 정벌 배경과 영향, 한국고대사연구 10, 1995, pp 265~302
이태호, 고구려고분벽화, 북한 90~125집, 1979년 6월~1982년 5월
이태호, 한국의 고대산수화-고구려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1978, pp 1~90
이현혜, 한국고대사회의 국가와 농민, 한국사시민강좌 6집, 1990, pp 9~31
이형구, 발해연안고대문화之연구, 국립대만대 박사학위논문, 1985, pp 1~381
이형구, 고구려의 향당제도 연구, 동방학지 32집, 1982, pp 2~57
이형구, 광개토대왕릉비문의 위자고(僞字考), 천관우선생 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1985, pp 223~241
이형구, 광개토왕릉비 비문의 특징, 한국사시민강좌 3집, 1988, pp 30~44
이호영, 여․제 연화설의 검토, 경희사학 11집, 1982, pp 17~35
이홍종, 한국 고대의 생업과 식생활, 한국고대사연구 12, 1997, pp 5~44
임기환, 6․7세기 고구려 정치세력의 동향, 한국고대사연구 5, 1992, pp 5~55
임기환, 광개토왕비의 국연과 간연, 역사와 현실 13, 1994, pp 183~216
임병태, 고고학상으로 본 예맥, 한국고대사논총 1, 1991, pp 67~96
임영자, 고구려 고분벽화의 신선복식, 한국도교사상연구총서 5, 1991, pp 103~142
장지립, 고구려풍속연구, 동북아 역사와 문화-손진기화갑기념문집, 1991, pp 224~285
전경옥, 연개소문 집권기의 막리지체제 연구, 백산학보 46집, 1996, pp 55~86
전덕재, 4~6세기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사회변동, 역사와 현실 4, 1990, pp 16~50
전상운, 고구려의 과학과 기술 그 연구현황과 과제, 동방학지 49집, 1985, pp 267~295
전해종, 고대 중국인의 한국관, 진단학보 46․47집, 1979, pp 58~79
전호태, 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불교적 내세관, 한국사론 21집, 1989, pp 3~71
전호태, 고구려고분벽화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7, pp 1~374
전호태, 고구려 감신총벽화의 서왕모, 한국고대사연구 11, 1997, pp 365~404
전호태, 한국 고대의 여성, 한국고대사연구 12, 1997, pp 86~144
정경희, 삼국시대 사회와 불경의 연구, 한국사연구 63, 1988, pp 1~62
정영호, 고구려의 금강유역진출에 관한 소고, 국학연구소 고구려 역사문화 특강 유인물, 1996, pp 42~70
정영호, 삼국시대의 불교건축, 고고미술 150, 1981, pp 40~57
정운용, 나제동맹기 신라와 백제 관계, 백산학보 46집, 1996, pp 87~138
정재서, 고구려 고분벽화의 신화․도교적 제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백산학보 46집, 1996, pp 5~53
조법종, 광개토왕릉비문에 나타난 수묘제 연구, 한국고대사연구 8, 1995, pp 185~242
조법종, 한국고대사회의 신분과 부담, 한국고대사연구 12, 1997, pp 145~201
조인성, 4․5세기 고구려 왕실의 세계인식 변화, 한국고대사연구 4, 1991, pp 59~74
조인성, 광개토왕릉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수묘제, 한국사시민강좌 3집, 1988, pp 90~107
지배선, 북연에 대하여, 동방학지 54․55․56집, 1987, pp 845~872
지병목, 고구려 성립과정고, 백산학보 34, 1987, pp 23~80
차주환, 통일신라시대의 도가 및 도교사상, 한국도교사상연구총서 5, 1991, pp 143~168
채병서, 안악지방의 벽화고분, 백산학보 2집, 1968, pp 3~63
천관우, 광개토대의 고구려영역에 대하여, 영토문제연구 창간호, 1983, pp 145~164
천관우, 광개토왕비문 재론, 전해종박사 화갑기념 사학논총, 1979, pp 515~566
천관우, 광개토왕의 정복활동에 대하여, 군사 창간호, 1980, pp 34~51
최광식, 고대국가 형성에 대한 연구사 검토, 역사비평 8호, 1990, pp 23~47
최광식, 고대국가형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 신라문화 3․4호, 1987, pp 103~119
최광식, 삼국의 시조묘와 그 제사, 대구사학 38, 1989, pp 51~77
최광식, 한국고대제의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한국전통문화연구 6집, 1990, pp 41~59
최몽룡, 한국고대국가형성에 대한 일고찰, 김철준 화갑기념논총, 1983, pp 61~77
최성락, 철기문화를 통해서 본 고조선, 국사관논총 33, 1993, pp 40~70
최순우,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도 유형, 고고미술 150, 1981, pp 166~179
한규철, 고구려시대의 말갈 연구, 부산사학 14․15, 1990, pp 1~51
한규철, 숙신․읍루연구, 백산학보 35집, 1988, pp 5~69
한창균, 고조선의 성립배경과 발전단계 시론, 국사관논총 33, 1993, pp 1~40
홍승기, 1~3세기「민」의 존재양태에 대한 일고찰, 역사학보 63집, 1974, pp 19~52
카페 게시글
책 소개 및 추천 사이트
추천도서
고구려의 발견에서 인용한 참고자료 목록입니다.
김용만
추천 0
조회 714
04.12.04 15:33
댓글 0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