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서목록 [SR-A]
1~5.ㅇ 「韓國의 農謠」제1-5집(玄岩社,民俗苑 刊).1985-1992
- 「제1집」350쪽:명주군 학산농요,고양 호미걸이,고성읍,
밀양 산내,예천(공처,통명),진도 의신,전북(옥구,익산 삼기),
제주도(성읍,동김녕),충주 마수리,황해도 봉산 농요
(1985년)
- 「제2집」480쪽:횡성군,여주군,합천군,청도군,고흥군,남원군,
(1986년) 서산군,영동군,평남(1) 농요
- 「제3집」760쪽:홍천군,강화군,남해군,울진군,나주군,부안군,
(1989년) 남제주군 성산읍,홍성군,괴산군,황해도(2) 농요
- 「제4집」824쪽:삼척군,화성군,의령군,경산군,곡성군,고창군,
(1990년) 북제주군 추자도,공주군,청원군,함남(1) 농요
- 「제5집」678쪽:강원도 고성군,안산시,양산군,울릉도,보성군,
(1992년) 순창군,천원군,진천군 농요
6.ㅇ 「大田 웃다리農樂」(대전 직할시 刊).1991. 4.6배판 415쪽
7.ㅇ 「漁撈謠모음집」(水協중앙회).1990
8.ㅇ 「梁山의 民謠」(양산군).1992. 4.6배판 399쪽
9.ㅇ 「夫餘의 民謠」(부여문화원).1992. 4.6배판 469쪽
10.ㅇ 「尙州의 民謠」(상주군).1993. 4.6배판 608쪽
11.ㅇ 「忠南의 옛소리」(충남도청).1991
12.ㅇ 「겨레노래 選」(梨花文化社).1991
13.ㅇ 「한국농요 모음집」(농협중앙회). 1990
14.ㅇ 「錦山의 풍악과 소리」(금산문화원). 1992. 共著
15.ㅇ 「洪城의 勞動謠」 홍성문화원 1994.12月.454쪽 (카셋 첨부)
16.ㅇ 「괴산의 노래」 테입제작 및 해설집(61쪽). 괴산군 1995.12
17.ㅇ 「담양의 민요」 담양문화원. 1997.4.15. p.270
18.ㅇ 「파주 민요론」 (CD 첨부). 파주문화원 1997.2.27. p.460
19.ㅇ [歌詞譜의 노랫말과 分章法의 차이] -김기수,정경태,이양교 편 - 문화재관리국 1997.6월
20.ㅇ [대전민요집] 대전시 중구 문화원. 1998.2.28. p.469 (카셋테입 첨부)
21.ㅇ [농요의 길을 따라]-농요의 길과 민요 취재에 얽힌 이야기-
밀알.2001.3월
22.ㅇ [아침방아 쪄어라] -대전시민의 동요자료집 (상권)-
대전 중구문화원 1999.12.30.
23.ㅇ [경기지방의 상부소리] 문화재청 2000.5.4
24.ㅇ [의성의 민요]의성문화원.46배판 728쪽.CD첨가.2000.5.30.
25.ㅇ [이리농악]문화재청.cinema해설집.2000.12.발간
26.ㅇ [경북지방의 상부소리] 문화재청. 2001.3.
27.ㅇ [민초의 소리]대전서구문화원. 2000.12.28.발간 250쪽
28.ㅇ [황새야 촉새야]대전중구문화원. 2001.5. 발간
29.ㅇ [전남지방의 상부소리] 문화재청. 2002.2.발간
30.ㅇ [보성의 민요]보성문화원.2003.2출간(CD첨부)
31.ㅇ [함평의 민요]함평군.2002.7.15 .CD첨부.405쪽
32.ㅇ [경기도 논맴소리 資料叢書]제1권. 전국문화원연합회 경기도지회(2002.12 출간.p.339)
33.ㅇ [광양의 민요]광양문화원.2002.12 CD첨부.
34.ㅇ [장성의 민요]장성문화원.2003.4.30.출간.411쪽.CD첨부
35.ㅇ [청양의 옛노래집]민족음악연구소.2022.8.p. (USB음원첨부)
36.ㅇ [충남지방의 상부소리]문화재청. 2003.3.
37.ㅇ [청양의 옛노래집]민족음악연구소,2022.7.25.p.244.(USB음원-3시간여분)
38.ㅇ[두레노동과 소리문화](이소라,주보돈,이종봉)
민족음악연구소학술지-2004.애드파워.2004.10월.462쪽.
39.ㅇ[강원지방의 상부소리]문화재청. 2004.10.11 발간.457쪽.
40.ㅇ [경기도 논맴소리 자료총서3]전국문화원 경기도지회.2004.12
41.ㅇ [순창의 민요]순창군 금과들소리보존회.2005.1.22.출간.357쪽.CD첨부
42.ㅇ [영암의 민요]영암군. 2004.12.30출간.396쪽.CD첨부
43.ㅇ [정선민요론]정선문화원.2005.10.31.457쪽.CD첨부
44.ㅇ [보령의 민요]대천문화원. 2005.12.27.출간.300쪽.CD첨부
45.ㅇ [경기도 논맴소리 자료총서4]전국문화원 경기도지회.2006.1.
46.ㅇ『경남지방의 상부소리』문화재청.2006.10.
47.ㅇ [경기도 모심는소리의 양상과 민요권(上)]CD첨부
전국문화원경기도지회.2006.12.31.p.382.
48.o [화성두레 기본 쇠가락]전국국악협회 화성시 지부, 2007.2.13
49.ㅇ [고양민요론]고양문화원. 2007.12.28.467쪽.CD첨부
50.ㅇ [경기도 모심는소리의 양상과 민요권(下)]
전국문화원 경기도지회.2008.12월.p.388.
51.ㅇ『북미인디언의 민요를 찾아서』민족음악연구소,2013.7.24,p.421
52.ㅇ『나요당 민요집』프로방스,2013.10.21.p.303.(CD첨부)
53.ㅇ『괴산 민요집』괴산군(괴산문화원),2013.10.30.p.404
54.ㅇ『홍성의 민요』CD와 소책자.홍성군.(결성농요보존회) 2013.12월
55.ㅇ『부여의 민요』CD와 소책자(부여문화원)2014.12월15일
56-57ㅇ『충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상,하)이소라,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2015.10.19.상권529쪽. 하권 679쪽.(첨부usb음원)
58.ㅇ『금산의 민요』usb음원첨부 소책자(금산문화원)2015.12월10일
59.ㅇ『논산의 민요』usb음원첨부 250쪽(논산문화원)2016.11월25일
60.ㅇ『충북지방 논매기소리 총서』이소라,장동호,변정민.
공주대학교‧민족음악연구소.2017.8.1. p.614.(첨부usb음원)
61ㅇ『전북지방 논매기소리 총서』이소라,장동호,변정민.
공주대학교‧민족음악연구소.2017.8.17.956쪽.(첨부usb음원)
62-63ㅇ『경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상,하) 상 606쪽(첨부usb음원),
하 625쪽. 이소라,장동호,변정민.
공주대학교‧민족음악연구소.2017.8.1. 614쪽.2017.9.18.
64ㅇ『경남 고성군 민요집』민족음악연구소.2017.10.10.p.276.
(첨부usb음원)
65ㅇ『봉화군 민요집』봉화문화원.2017.12.26.p.319(첨부usb음원)
66ㅇ『울산 민요집』도미화국악예술원.2018.3.30.p.401(첨부usb음원)
67ㅇ『나요당 기증 제주민요 자료집』-음원,악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 2018.11.30.p.504(첨부usb음원)
68ㅇ『디지털 화성민요 자료집』이소라,화성문화원.2018.12.10.(음원 제공)
69ㅇ『옹진섬 민요집』-백령.대청.연평면편–옹진문화원(한국문화원연합회),
2019.10.11.p.281
70.ㅇ『옹진섬 민요집』-근해도서편– 옹진문화원(한국문화원연합회), 2019.12.1.p.293 (CD첨부)
71ㅇ『전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상),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0.8.14.p.721
72ㅇ『전남지방 논매기소리 총서』(하),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9.20.p. 687.(USB음원 첨부-12시간 여분음원)
73ㅇ『예천민요집』, 민족음악연구소,2020.11.27.p.419((USB음원 첨부-6시간 여분)
74.ㅇ『서신민요집』서산문화원,2020.12월.p.367.(USB음원 첨부-5시간 여분)
75.ㅇ『경북지방 논매기소리 총서』(상).이소라,임은진,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1.9.1.p.683
76.ㅇ『한국의 농요 제1집 개정증보판』이소라, 민족음악연구소. p.545
77.ㅇ『경북지방 논매기소리 총서』(하).이소라,임은진,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1.12.27.p.809
(USB음원 첨부-5시간 여분)
78.ㅇ『경기도 논매기소리 음원집』이소라,임은진,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2.8.19.p.1119.
(USB음원 첨부-20시간여분)
79.ㅇ『강원도 논매기소리 총서-부록:서울,인천,북한,제주-』이소라,임은진,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2.12.26.p.876.
(USB음원 첨부-11시간 남짓)
80. ㅇ 『부울경남,제주지방의 상부소리』이소라,임은진,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3.p.696.
(USB음원 첨부-16시간여분)
81. ㅇ 『상사소리 첫걸음』이소라,민족음악연구소.2023.8.p322.
82. ㅇ 『대구,경상북도 상부소리』이소라,임은진,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3.8.31.p.750.
(USB음원 첨부-10시간여분)
83. ㅇ 『음원첨부 경기도 상부소리』이소라,임은진,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4.7.8.p.765.
(USB음원 첨부-19시간여분)
84. ㅇ 『음원첨부 강원도 상부소리-부록 서울,인천(강화,옹진,내륙)-』이소라,임은진,장동호,변정민
민족음악연구소와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4.8.22.p.839.
(USB음원 첨부-24시간여분)
85. ㅇ 『공주의 농요』이소라,공주학연구원.2024.10.15.(USB첨부). p. 209
----------------------------------------------------
# 논문 [SR-B]
1.ㅇ “亨加,輯寧,龍光과 그 關聯曲”(석사학위 논문).1983.
-世祖實錄樂譜,時用鄕樂譜,琴合字譜,大樂後譜를 中心으로-
*민족음악연구소 학술지-2004
[두레노동과 소리문화] 323-412쪽 게재.
2.ㅇ “치리섬 別神祭”「문화재 제17호」(문화재관리국) 1984
3.ㅇ “전북 壬實郡 三溪農謠”「한국음악연구 제13․14집」(국악학회).1984.
157-174쪽.
4.ㅇ “민요”「조사보고서 166호」(문화재관리국).1985
5.ㅇ “남도 들노래”「중요문화재 해설(음악편)」(문화재관리국).1985
6.ㅇ “전래 현악기,타악기,관악기”「디자인」월간디자인출판부
1986 1,2,3월호 연재(55-59쪽/64-72쪽/76-79쪽).
7.ㅇ “한국농요의 歌唱方法”「임동권 송수기념논문집」(집문당).1986.4.
475-500쪽.
8.ㅇ “남해안 풍어제”「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1987
9.ㅇ “지신밟기 음악”「지신밟기」(문화재관리국).1987.17-54쪽.
10.ㅇ “오독떼기와 꺾음오독떼기”「민속학」(민속학회).1986
11.ㅇ “농사와 농요의 관계”「민속학」(민속학회).1987.8.p.157-162.
12-15.ㅇ “주암댐유역의 민요”「문화재 제20-23호」(문화재관리국)
1987-1990
16.ㅇ “경기도지역의 모심기,논매기,지경닺이노래의 음조직”
「한국음악연구 제17,18집 합병호」(국악학회).1989
-1988년 5월 정신문화원 국악학술 세미나 발표-
17.ㅇ “집터다지는 노래의 유형”1988.10.20 민속학회 전국대회 발표
18.ㅇ “전남지방의 농요특성”「박물관대학 교재」(광주박물관).1989
19.ㅇ “平澤농악”「경기도 문화재 대관」(경기도청).1990
20.ㅇ “安山市의 농요”「내고장 안산」(내고장 안산 편찬위원회).1990
21.ㅇ “洪城 民謠”「홍성군지 증보판」(홍성군). 1991
22.ㅇ “칡고개 회방아소리” -서울 은평구청 민속공연 해설- 1990.
([서울의 민속놀이 제1집]한국예총 총연합회 서울특별시 지회,
1992.은평구편 “만요”로게재됨.115-128쪽)
23.ㅇ “마뜰농요” -서울 노원구청 민속공연 해설- 1990
([서울의 민속놀이 제1집]한국예총 총연합회 서울특별시 지회,
1992.게재됨.27-34쪽)
24.ㅇ “쌍상여 호상놀이(강동구 바위절마을)”[서울의 민속놀이 제1집]
한국예총 총연합회 서울특별시 지회,1992.5-26쪽.
25.ㅇ “서울 양천골 들노래”[서울의 민속놀이 제2집]한국예총 총연합회 서울특별시 지회,1994년 12월.5-20쪽.
26.ㅇ “피리의 숨쉬는 곳” -대학원 과제 제출- 1982.
“중광지곡에서 피리 연주의 숨자리 조사”[음악과 문화]창간호,
세계음악학회,1999. 57-96쪽에 게재.
27.ㅇ “화성군 팔탄농요”「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1990
28.ㅇ “줄메는 소리의 유형”「전남 문화재 제3집」(전남도청). 1990
29.ㅇ “日本 高槻市 田植之唄와 釜山市 水營 農廳農謠 모심는소리의
相互관련성”「해외출장보고서」(문화재관리국).1991
30.ㅇ “日本 빅타社 진도 씻김굿 CD版 해설”(빅타 레코드社). 1991
31.ㅇ “우리농요의 일본전파 소고”「월간 문화재」(문화재보호협회).1991
32.ㅇ “둔배미놀이 해설”-안산시청 전국민속 출품- 1991
33.ㅇ “안양시의 민요”「안양시지」(안양시).1992
34.ㅇ“모심는소리의 유형”「국교감 교원 연수교재」율곡교원연수원.1991
35.ㅇ “김포군의 민요,민속놀이” 「김포군지」 . 1992
36.ㅇ “담방구타령”「엽연초」(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1992
37.ㅇ “모심는소리의 유형과 그 형식”-국악학회 전국대회 발표- 1992.5
38.ㅇ “과천의 민요”「과천시지」(과천시). 1993
39.ㅇ “結城의 民謠”「결성면지」(결성면). 1993
40.ㅇ “암사동 상부소리 해설”(국악협회). 1993
41.ㅇ “坡州民謠, 歲時風俗, 民間信仰 ” -坡州郡誌 民俗篇-.파주군.1995.
42.ㅇ “한국과 일본의 교창식 모노래에 관한 고찰”(The study about the rice-planting songs of Korea and Japan)[The first conference & festival of the Asian pacific society for ethnomusicology]
아태민족음악학회,1994년 11월 13-18일 서울 개최 발표서.pp.42-43
43.ㅇ “고성농요,예천 통명농요” CD해설. 문화재관리국. 1994.12.
44.ㅇ “파주 금산리 농요” 파주군. 1994. 12.
( 첨부 Tape 제작 : ‘파주의 民歌’ 1994. 12. )
45.ㅇ “전통문화의 새로운 조명” 율곡연수원, 1994. 12/22
46.ㅇ “민요 실습 ”「중.고등 교원 연수」 율곡연수원,1995.2/7
47.ㅇ 제33차 ICTM (호주) 논문발표
48.ㅇ “원리 줄다리기 ” 화성군 1995.3/22
49.ㅇ “日本의 韓國型 모내기노래” 1995.7/5탈고.문화재연구소 제출
「문화재」1995년도 12월 게재
50.ㅇ “포천 민요” 「포천군지」 1995.12.7 탈고
51.ㅇ “파주 회방아 평토다지기”,“파주만가 조사개요” 및
파주만가 Tape 제작. 파주문화원, 1996.2.14. 제출
52.ㅇ “호미걸이 두레소리에 관하여”고양문화원
(동관선생 기념공연 해설) 1996.2.28
53.ㅇ “문화재대관 해설-농악,농요 ” 문화재관리국 1996.4.25제출
54.ㅇ “오돌또기와 오돌독, 오독떼기 ”
1996.5.30 탈고. [민요론집]제주도
55.ㅇ “모노래,민아리 및 오독떼기의 비교연구”
「국립국악원논문집」 제8집1996.12. 157-192쪽.
56.ㅇ “北靑 祝歌 미레돈돈類와 納西族 祝歌” 「남방문화 제2호」
1996.10.25 刊
57.ㅇ “탄자니아의 음킨도,헴베티 農謠考” 1996.11.30
비교민속학회 발표(1998년도 비교민속학회지 게재됨)
58.ㅇ「안산시지」 민요편 집필. 1996.12월 9일 탈고/[안산시사](중).
안산시사편찬위원회.1999.4.25. 773~784쪽
59.ㅇ 정신문화원 백과사전 –지방무형문화재 민요,농악부문-
22항 1997.6.1.탈고
- 산유화가 등 37건 -1997.12.31.200자 183매. 1998.1.7.탈고
60.ㅇ “高晶玉 著 [朝鮮民謠硏究]에 관하여”동문선.1998.7.20. 403쪽
61.ㅇ “梁祝 故事 및 그 韓.中민요의 가사와 선율관계”
[비교민속학]제16집.비교민속학회.1999.2.
255-270쪽 (1998.11.28. 비교민속학회 발표)
62.ㅇ “음악치료와 중국의 음악사상” 1998.7.7. 탈고
[나요당 민요집]프로방스.2013.10.게재(pp.228-249)
63.ㅇ “민요의 전파와 변환”[음악학 論叢]이혜구박사 구순기념.
이혜구학술상운영위원회.1998.9.25.325-344쪽.
64.ㅇ “징장”(경남 무형문화재 제14호)정신문화원 백과사전해설.
1998.10.28. 탈고
65.ㅇ “논김 양산도 攷”[농산노동요연구Ⅱ]민속원,
한국민요학회학술총서4.2007. 61-84쪽.
[한국민요학제7집]한국민요학회1999.171-198쪽.
(민요학회 발표 1998.11.21.).
66.ㅇ “동해안별신굿의 드렁갱이장단과 삼오동장단 및 거무장단”
[한국무속학]창간호.한국무숙학회.1999.87-94쪽.
(1999.4.17. 제1회 무속학회 발표)
67.ㅇ “親子唄(오야코우타)와 慶尙道모노래”제50회 한일문화강좌
1999.3.25 한일교류기금 주최
([한국민요학 제9집]한국민요학회.2001.179-214쪽 게재)
[한국사람,일본사람의 생각과 삶]경인문화사,2005.73~125쪽.
[나요당 민요집]프로방스.2013.10.게재(pp.190-227)
68.ㅇ “몬돌소리 考”[仁荷語文硏究 제4호]최인학정년기념논문집,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인하어문연구회.
1999.11.20.봉정식.509-528쪽.
69.ㅇ [연천군지](上) “민요편” 831~923쪽.2000.9.30.
70.ㅇ [구봉산자락의 삶터]의 “민요편” 1999.7.28.탈고.
대전시 서구문화원
71.ㅇ “이천의 달구소리춤” 춤월간지 [몸]1999.10월호
72.ㅇ “중국 사천성 허씨촌(許氏村)의 민요”[아시아문화 아시아음악] 중앙음악연구소․아시아음악학회.2001.1.20발행. 119-133쪽.
(1999.10.5. 탈고 / 1999.11.10.발표)
73.ㅇ “아리랑에 관하여” 홍성문화원 민속 특강 1999. 12/7
74.ㅇ“韓中日의交唱式揷秧歌”[비교민속학 제18집]비교민속학회,
2000.2월.61-74쪽.(1999.12.17 베트남 학술발표
75.ㅇ “경기도의 노동요 ”[경기민속지]Ⅲ세시풍속,놀이,예술편.
경기도박물관.2000.12.발간.470-531쪽.
76.ㅇ “의례음악”[경기민속지]제5권 제7장.경기도박물관.2001.12.9탈고
77.ㅇ "경기지방의 동요,흥민요,고사소리"[경기도민속지 7권]
경기도박물관 2004. 453-576쪽.
78.ㅇ“草原牧歌의初探”[비교민속학제19집]비교민속학회 2000.8.28발행.
271-288쪽
79.ㅇ “쾌장소리 류” [권오성회갑기념논문집] 2000.9.26.(2000.10월발간)
80.ㅇ “욕지섬 위만제와 들채소리”[한국 무속학 제2집]한국 무속학회 2000.12. 211-226쪽.
81.ㅇ “거제 별신굿”[거제시지]거제시.2001.1.27탈고.(“남해안별신굿 연구(거제도를 중심으로)”민족음악연구소 학술지-2004,[두레노동과 소리문화],413-462쪽 게재)
82.ㅇ “북한의 [조선민족음악전집]민요편과 자진아라리”
아리랑연합회 간행.(2001.4.12.탈고)
83.ㅇ “토지와 민요”[한국인의 풍류와 멋]토지박물관 2001.6월.(토지박 물관 강의교재 제3집) 135-147쪽.
84.ㅇ “아리랑과 그 출처에 대한 소고” <2001.10 카작스탄 CTAKS
(중앙아시아한국학회)주최 국제한국학학술 토론회ㅡ불참으로 미발표.
2001.12.[민요론집]제6집.민요학회편에 게재(303-320쪽)함.
85.ㅇ “왕재 호상놀이” 화성문화원.2001.9.23. 경기도민속축제용
86.ㅇ “경복궁타령 攷”[민속학연구 제9호]국립민속박물관.2001.p.235-264.
87.ㅇ“강화군민요”[강화군사]강화군사편찬위원회.2001.10.탈고. 88.ㅇ “글로벌축제화와 한밭문화제”전국문화원연합회대전지부 포럼.
2001.11.20.(포럼은 11.28)
89.ㅇ “민속음악과 예술”[비교민속학]제23집.비교민속학회.2002.8월.
103-135쪽.
[공동의 리듬,공동의 몸]일민시각문화9.일민미술관2017. p.26-43.
90.ㅇ“수영야류의 노래 고찰”[고전희곡연구]제5집.한국고전희곡학회
2002.8월.157-208쪽.(2002.8.30.동양고전극심포지움에서발표)
91.ㅇ"A Sharing of Musical Parts as a Manifestation of Cooperation and Joint Work in Korea"[A Search in Asia for a new theory of music]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Center for Ethnomusicology.2002.(481-495쪽.필자 30명)(February 17~23, 2002.발표를 묶은 책임.Center of the Philippines.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92.ㅇ “봉산탈춤의 놀량 연구”[공연문화연구]제7집.한국공연문화학회
2003.8.p.59-97.(2003.2.19.동양고전극심포지움에서발표)
93.ㅇ “영천의 아리랑”영천신문사.2003.5.20.탈고
94.ㅇ “京畿지방 논맴소리에 관한 연구” - 홀호리류와 두마디 오호야 의 비교 및 중국음악사상에 연관하여 -
2003.6.10 성균관대 예술철학 박사예심 발표.
95.ㅇ"대전 들말두레소리"대전시청.(2003.7.13탈고)
96.o “영산강유역의 논맴소리 아리시고나 攷”[농산노동요연구Ⅱ]
민속원,한국민요학회학술총서4.2007.195쪽.//
[한국민요학 제13집]한국민요학회.2003.12.
91-114쪽.(2003.8.2.탈고/2003.8.22민요학회발표) 97.o "민요권의 의미"2003.11.22.(민족음악연구소 제1회학술세미나발표)
(민족음악연구소 학술지-2004,[두레노동과소리문화],67-106쪽
98.o “양평군의 노동요”[양평군지]중권.2005.11. 711~759쪽
99.o "집터다짐소리""모심는소리""모찌는소리"[세시풍속]
국립민속박물관,2003.12.14탈고
100.o "남원농악"등 [백과사전]정신문화원,2003,12
101.o <화성의 민요>[충,효,예의 고장 제2권]화성시사편찬위원회,2005.12월
102.o “논산의 노동요”[논산시지]제4권,민속과 현대문학./
논산시지편찬위원회,2005.12.320-360쪽.
103.o "강원도 회다지소리의 음조직“
동부민요보존회 2004.3.20발표.179-207쪽.
104.o "수영야류의 노래와 동래야류"수영고적민소보존회,2004.6.12발표 105.ㅇ "경기지방의 논맴소리에 관한 연구"-홀호리 류와 두마디 오호야 소리의 비교 및 두레논매기의 문화적 의의를 중심으로 - 2004.8월.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예술철학전공 박사학위 논문.(민족음악연구소 학술지-2004,[두레노동과 소리문 화],107-319쪽 게재)
106.ㅇ "강원도의 말멕이 풍속과 앉은 달고“[Toraja Symposium & Fieldwork] 2004년도 비교민속학회 국제학술대회.2004. 7.23~30
107.ㅇ "영암 갈곡 들소리"[전남문화재 제10집]전남도청2004.12.30.
108.ㅇ "캄보디아 전통혼례에서의 머리짜름노래“
중앙대 아시아학회 2005.6. 발표.
"The Songs sung when cutting hair in wedding
ceremony of Khmer"
109.ㅇ "등타령" "산유화" [세시풍속] 국립민속박물관,2005.7.14.탈고
110.ㅇ "화성의 민요, 줄다리기, 지정 및 비지정 무형문화재,
민속 개관“[충,효,예의 고장]화성시사 坤편,화성시,2005.12.
73~87쪽,219~266쪽,292~299쪽,490~533쪽
111.ㅇ 「민속음악(서천군의 노동요)」 『서천군지』제4권,서천군사지편찬 위원회.2009.5월발간, 249-288쪽.
112.o “민속예술”[대덕구사]제2권.대전시대덕구청.2006.5.19.p.293-313.
113.o “하남의 노동요”[위례문화]2006.8호.하남문화원. 45~67쪽.
114.o “대전지방 민요의 종류와 그 특징”[대전문화 제15호]대전시.
2006년 12월22일 213~230쪽
115.o “안양 민요”[안양시사]안양시.2006.10.3. 탈고
116.o 「민속음악」『서천동자북 문화 ․ 역사마을가꾸기』서천문화원,
2007,12월pp.266~334.
117.ㅇ [보령시지](中).민요편 2010.10.15. 949~988쪽.
118.o “디지털논산”19종 원고 송부 2008.3.26.(총 62매)+3종 9매 (2008.5.20)=71매
119.o “아카 민요 등과 정선아라리”[심포지엄 ‘정선아리랑의 세계문화적
가치’] 2008. 6.17. 주최 강원도민일보 86~112쪽
120.o “디지털 안산 민요편” 25개항목 200자 75매- 송부 2009.1.5.
121.o “열소리 민요권”(지역문화3차),2009.가을
122.o “농요연구와 현장의 베일" 2011.8.12.민요학회(부산 외국어대학)
123.o “영동군의 논맴소리 고찰”2011.10.7.난계학술토론회
124.o “베트남 북부 블랙몽 족과 자오족 민요고찰”(이소라,이윤선)
비교민속학 제46집 (2011.12월간행)161~178쪽
125.o “홍성의 농요와 홍성학”[<내포의 중심,홍성학>의 현황과 과제]
청운대학교,2012.5.13.탈고(2012.5.30.발표) 29~48쪽
126.o “홍성의 농요,결성농요”[내포의 중심,홍성학]선우.(청운대학교 홍성학 연구사업단 편저)2012.8.31.219-241쪽
127.o “논맴소리 ‘대허리’ 고찰”-대허리 곡의 전파지역,존재양상 및 단허리 곡과의 선후관계-[민속학연구]2012.6 제30호 국립민속박물관 69~89쪽.
128.o「개상질소리의 유형과 그 전파영역」[민속학연구]제32호.
국립민속박물관,2013.6월. 5~27쪽
129.o 「거금도의 헹게타령과 거금8경」[제4차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자료집 202013.8.23. 48쪽~53쪽.
130.o 「괴산의 모심는소리와 논매기소리의 문화권」[괴산정신문화세미나]
괴산 600주년 세미나.2013.10.14(괴산군청).pp.21~40.
131.o 「결성농요에 대하여」2013.11.11청운대학교 강의(파워포인트2007)
132.o 「The song of alternating twp parts when planting rice, and the lovesong」2014APSE(Mahasarakham University,Thailand).2014.Jan.8.
133.o 「올러가세 류 논매기소리 고찰」『한국민요학』제40집.한국민요학회 2014.4.30.pp.145-168.민요학회제출)
134.o 「전북과 태국 까라신지방의 벼베기소리」『비교민속학』
제53집.2014.4.비교민속학회, pp325-345.
135.o 「세계 속의 결성농요」2014.5.13(수) 청운대학교 특강용
136.o 「소박한 멋, 전원의 맛이 조화된 농요」-예천통명농요-
[문화재사랑]2014.06. vol.115. pp34-35
137.o 「함창지방의 모심는소리와 논매기소리」『논매기소리 연구 및 전자문 화 지도 작성에 관한 심포지엄』한국지리학회 2014.11.24pp.35-43
138..o 「아리랑 등재후의 기(奇)현상」『비교민속학』2015.(『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체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비교민속학회 117-125쪽.
139.o「홍성군지-민요」『홍성군지』2016.12.31.제3권(전통과 현대생활)
266~282쪽.(2015.June2제출).
140.o 「신안군의 저헐레소리」『섬의 시대, 바다의 시대를 열다』2015년
제6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자료집3 pp.192-196쪽.
141.o 「아파치 소녀의 성인식」『제2회 국제샤먼예술학회』2015년8월
26-27일 국립부산국악원 pp.107-115쪽.
142.o 「금성면 화림리 일노래」『달빛을 먹고 자라는 월봉산 마을이야기』 2015년12월28일.pp.174-183.
143.o 「결성 개상질소리와 농경생활 문화권」『2016 결성농요로 만나는
홍주농경생활문화의 인문학』2016.청운대학교
144.o 「리듬과 가락으로 솟는 조상의 얼,개상질소리」『천년 홍주학 멘토 북』2016.12월. 청운대학교.111~119쪽.
145.o 「성산읍 민요와 무형문화재」『2016년 한국민요학회 제58차 춘계
전국학술대회』2016년5월27-28일한국민요학회
146.o 「방게현상과 바닷길」『2016년 해양학회』2016.7.7-10
147.o 「18世紀の Arirang」『한일공동학술회의』2016년8월8일 일본 효고 현 兵庫縣 간자키군神崎郡 후쿠사키초福崎町(발표지 pp.7 ~ 26)
148..o 「서울 마들농요의 발굴 녹음에 얽힌 이야기와 전승실태」『2016년
한국민요학회 제59차 추계 전국학술대회』2016년11월12일. 한국민요학회 2016년 추계 전국학술대회 발표pp. 37-42.(원고제출은 2016.10.29.)
149.o 「중국 윈난성 나시족의 모심는소리」『아시아문화연구소-중앙아시아 학회 공동개최 동계 워크숍』2017년 2월10일 발표.(광주 국립아시아문화 전당)
150.o 「산아지소리」「절로소리」「호미소리」「풍장소리」
「질꼬내기소리」「어화소리」「목도소리」「망깨소리」
「강원도아리랑」9개항목 해설『한국민속예술사전』
- 국립민속박물관2016.12.9.발행 -
o <공주지역 전승아리랑에 대한 토론자> 및 ‘강원,충청지역 민요 무형문화재의 성격과 전승실태’에 대한 종합토론 좌장. 2017.5.27.(토) 한국민요학회 2017년제60차 춘계 정기 학술대회.세명대학교 학술관
151.o 「만경강 유역의 노래, 만경 산타령」『2017년 제8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 회』자료집3.2017.7.5.pp.129~134.
152o 「인도네시아 토라자의 마바동과 강원도의 말멕이 풍속」『2017APSE 아 태민족음악학회 학술지』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2017.8.29.
[APSE, Asia-Pacific Society for Ethnomusicology,
28-30 August 2017 Indonesia] Faculty of Performing Arts, Indonesia Institute of the Arts Yogyakarta. pp.182-186.
"Ma'badong of Toraza, Indonesia and Malmegim of the Jeongseon Area, Korea"
o 「좌혜경 오키나와 민요와 제주민요에 관한 토론문」『한국민요학회 2017년 제38차 하계 전국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한국민요와
세계민요- pp.62-63.
153 .o 「나요당 민요자료의 아카이브에 대한 요청」『한국민요학회 2017년 제 61차 추계 정기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민요자료의 아카이브와 자 원화 방안- 2017.11.25.한국민요학회
154.o 「강화군 긴 달고류 논매기소리와 논김방아타령」민속종합, 민요학회 인 천 발표2018.11.10. - 긴 달고류 논매기소리와 논김양산도 -
155.o 「충북 무형문화재 <진천 용몽리농요>의 개선점,『한국민요학회 2019 년6 월15일 발표집』전북대학교
156.o 「제주도 원님놀이 노래와 경남지방 장원질소리」『전국 해양학자대회 발 표집3/제11분과』2019.7.5.제주도
157o 「부여의 얼굴, 부여 민요」『 부여학 2019년 』
부여문화원,2019.9.30. 발표
158o 「저러구한다 곡의 문화영역과 영동군」『 난계학술대회 2019년 』 2019.10.5. 발표
159o 「순천 민속박물관 전시 그림 2제」『 민속학회 2019년 』 2019.10.19.순천 발표.
160o 「만당과 잠자리 동요」『이혜구 기념학술지』국악학회 (2020.4. 발표 예 정이던 것이 코로나 사태로 2020.9.12. Zoom인터넷 화상 발표 함. (원고완성은.3.18).『한국음악연구』제68집.한국국악학 회.2020.12.pp.37-54.
161o 「신안군의 아리시고나 관련곡과 논맴소리 아리시고나 류」『한국의 향 토민요(논매기‧상부소리)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제작, 제2차 심포지 엄』2020.6.12.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pp.11~29.
162o 「영산문화와 북부 창녕군문화」『창녕 마을대동굿 이야기 그리고 노 래』 2020.9.5. 창녕군농악단연합회 제6회 워크숍 강의. pp.3 – 24.
163o 「논매기소리 <전례>류의 분포지역과 그 중심」『향토민요 제2차년도 심 포지움』2021.5.7.
164o 「실모소리와 시흥‧안산」『지역별 논매기소리 DB 및 콘텐츠 구축과 인문‧자연환경 연구』-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2022.5.12. pp.1~6.
165o 「1980년대이후 국내외 민요녹음현장과 과제」『2022년.2월26일 한국민요학회 발표』
166 o「제주도 메살름소리」『제12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목포대회 자료2집 2022.8.5. pp.554~559.
167o 「경남의 상부소리 꽹쇠지역과 논매기소리」『지역별 향토민요 DB구축 및 지역문화 콘텐츠 연구에 관한 심포지움』-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공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2023.5.18. pp.105~.
o「가레 류 논매기소리」『제1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완도대회 2023.7.7. 자료2집 pp.444~448.
168 o「달고 끝의 '우야'소리」『중앙아시아 학회 2024. 동계 워크샾 자료집』 2024.1.19-20
169o 「Jeonrye, a song sung when weeding a rice-paddy and Abdok-guk, an old nation」『(2024. <아시아지역 농요>를 주제로 한 공동 국제 학술대회).국가유산 체제 전환과 무형유산 패러다임의 변화』 무형유산학회, 무형문화 유산원 등. pp.337-346. 2024.4.20.
170o 「회닫는 ‘우야’지역의 논매기소리」『소리와 기억의 공간 : 향토민요와 문화 콘텐츠연구 학술대회 』공주대 지역개발연구소.2024.5.16. pp.1~25.
171o 「목포시 대양동의 만가(輓歌)」『제14회 전국해양문화학자 해남대회』2024.7.5. 제4분과 발표.
172o 「논매기소리 ‘요해’형과 상부소리」『한국의 향토민요: 전통속의 울림,미래의 자산』 공주대 지역개발연구소.2024.12.6
공주대 고마나루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