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요리의 특징

한식의 특징 Ⅰ
인류는 옛날부터 불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요리를 하게 되었다. 또 살고 있는 곳의 기후 풍토에 따라 제각기 다른 요리 문화권을
형성하괴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어 서로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발전하여 왔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의
구분이 뚜렷하고 지역적으로 기후와 차이가 있어 각 지방마다 산물이 다양하게 생산된다.
따라서 자연히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살린 음식들이 고루 잘 발달되었다. 특히 조선시대를 보면 중국음식을 근간으로 하는 궁중 반상음식과
반가음식, 일반 대중들의 서민음식을 비롯하여 각 지역에 따른 향토음식도 특색 있는 발달을 하여 왔다. 음식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성과 사랑의 마음으로 즐버게 만든 음식이 가족은 물론 온 세상을 건강하게 지켜주는 원동력이 된다.
한국음식은 다른 나라 음식에 비하여 정성과 노력이 많이 드는 편이다. 음식을 만드는 과정이 바로 수련하는 것이고 그 과정 속에서
우리의 식생활 문화가 정립되고 존속되며 후세에까지 계승 발전될 것이다. 상차림은 밥을 주식으로 하는 일상 식에 있어서는 반찬의
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12첩 등으로 그 유형을 정하고 있다.
밥과 반찬을 한상에 모아 치리게 하되 7첩 이상이 되면 곁상을 곁들이도록 한 것은 조선조 이후에 정립되었다. 또한 돌상, 교자상, 주안상,
얼교자상 등 각기 용도가 다른 상차림의 음식 내용을 어느 범위에서 격식화 하엿고 제례상, 회갑연상이나 혼례용 큰상차림에 음식을
높이 고이는 풍습 또한 조선조에서 정립된 것이다.
한식의 특징 Ⅱ
1) 주부식의 분리
2) 곡류음식이 주식, 곡류음식의 가공 발달 : 밥, 죽 , 떡, 국수, 술, 엿, 식혜(음료), 고추장
3) 간을 중요시함 : 음식이 간이 기본적으로 되어서 제공됨(된장, 간장 등)
4)의례음식 발달(통과의례) : 유교사상의 영향
5) 수저 사용 문화 : 습성 음식 발달
6) 저장음식 발달(계절의 영향이 큼) : 짱아찌류, 젓갈류, 부각, 자반, 김장 등
7) 공간전개형 음식 서빙 : 한번에 모든 음식을 내옴.
출처 http://blog.daum.net/cjcjoon/18289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