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업과제명 |
1. CO2(MAG)와 MIG 아크 용접기 정비하기 |
소요시간 | |||
4 | |||||
목 표 |
① CO2(MAG, MIG) 용접기를 점검하여 외적 접속 불량을 수리 및 보수할 수 있다. ② CO2(MAG, MIG) 용접기 가동부의 고장 원인을 진단, 수리 및 보수할 수 있다. ③ 간단한 기계 및 전기적인 고장 원인을 찾아 부품을 교환 및 수리할 수 있다. | ||||
기계 및 공구 |
재 료 명 |
규 격 |
수량 |
안 전 및 유 의 사 항 | |
․CO2(MIG)용접기 ․CO2(MIG)용접 토치 ㆍ와이어 송급 장치 ․압력ㆍ유량게이지 ․1․2차 케이블 ․용접 보호구ㆍ공구 ․니퍼, 스패너 |
․연강판 (알루미늄판) ․솔리드 와이어 (Al 와이어) ․노즐 ․콘텍트 팁 ․CO2 가스 (또는 Ar가스) |
t4.5×150×200 (t4×150×200) YGW12, φ1.2 mm (A4043, φ1.6) 강 φ1.2 20kg(순도 99.5%) (140kg/㎠) |
1장 (1장) 1kg (0.5kg) 1개 1개 0.2병 |
① 정비 전에 메인 전원 스위치의 차단 상태를 점검하고 ‘수리중’임을 알리는 명패를 붙인다.. ② 사용 중 고장시 전원 차단 후 약 5분 후에 점검을 해야 된다. ③ 고장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부품 교환 및 보수를 해야 된다. ④ 공구는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하며, 사용 후 깨끗하게 정비된 상태로 유지한다. | |
그림 1 CO2(MAG)와 MIG 용접기의 접속도 | |||||
〈관 계 지 식〉
【CO2(MIG) 용접시 안전을 위한 주의 사항】 ⑴ 설치 : 용접기는 반드시 접지 시설이나 수도 파이프 또는 접지봉에 접지하며, 연결 전선은 규격품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가스나 가연성 액체 운반 파이프에 접지해서는 안된다. ⑵ 통풍 : 아연, 납, 구리, 카드뮴, 배관 용접 등 유독성 가스나 증기를 발생하는 용접장에는 통풍 시설을 확실히 해야 하며, 방독 마스크를 착용하고 용접하도록 한다. ⑶ 작업자 보호 : 용접 전에 보호구를 착용케 하여 화상 등을 입지 않게 하고, 차광유리가 부착된 헬멧이나 핸드실드를 사용하여 아크 빛으로부터 눈과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⑷ 용접기 관리 ① 사용전, 사용후 일상 점검 및 주간, 월간 점검 등을 실시하여 항상 사용 가능하도록 유지한다. |
CO2 용접기 관계 지식
【CO2(MIG) 용접시 안전을 위한 주의 사항】 ⑴ 설치 : 용접기는 반드시 접지 시설이나 수도 파이프 또는 접지봉에 접지하며, 연결 전선은 규격품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가스나 가연성 액체 운반 파이프에 접지해서는 안된다. ⑵ 통풍 : 아연, 납, 구리, 카드뮴, 배관 용접 등 유독성 가스나 증기를 발생하는 용접장에는 통풍 시설을 확실히 해야 하며, 방독 마스크를 착용하고 용접하도록 한다. ⑶ 작업자 보호 : 용접 전에 보호구를 착용케 하여 화상 등을 입지 않게 하고, 차광유리가 부착된 헬멧이나 핸드실드를 사용하여 아크 빛으로부터 눈과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⑷ 용접기 관리 ① 사용전, 사용후 일상 점검 및 주간, 월간 점검 등을 실시하여 항상 사용 가능하도록 유지한다. ② 용접기 내부는 6개월에 1회 정도, 스프링 라이너는 주 1회 정도 압축공기로 청소한다. ③ 토치로 송급장치를 끌거나 떨어뜨리지 않는다. ④ 토치 케이블은 사용시 일직선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일직선이 곤란할 경우 φ600 이상의 원호가 되게, 파도형으로 구부러졌을 경우 R300 이상되게 한다. (5) 화재 예방과 보호 : 용접 전에 주위에 가연성 가스나 유류, 가연성 물질이 있는 경우 안전한 곳으로 격리시킨 후 용접하며 격리가 안되는 곳에서는 절대 용접하지 않는다.
【용접기의 정기 점검】 ⑴ 용접기를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과 사용전, 사용후의 관리가 필요하며 안전수칙을 지키며 용접해야 한다. ⑵ 일상 점검 ① 이상한 진동이나 타는 냄새가 나는지 점검한다. ② 케이블의 접속부분에 발열 여부를 점검한다. ③ 전원 내부의 송풍기가 회전할 때 소음이 없는지 점검한다. ④ 케이블의 접속 부분에 절연 테이프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은 없는지 점검한다. ⑤ 제어 케이블의 단선된 부분이 없는가 확인한다. ⑶ 3-6개월 점검 ① 전기적 접속 부분의 점검 전원의 입력측, 출력측 용접 케이블의 접속 부분에 절연 테이프의 해체 상태, 접촉의 불량, 절연의 상태를 점검한다. ② 접지선 전원의 케이스에 완전 접지는 되었는지 확인한다. ③ 전원 내부 불순물 제거 정류기 냉각판 및 변압기 권선간에 먼지가 쌓이면 방열 효과가 낮아지므로 측면 및 상면을 열어 압축공기로 먼지를 제거한다. ④ 와이어 송급 장치 점검 송급장치의 롤러 마모 상태 점검 및 교환, 라이너 속의 이물질 제거, 토치 스위치 작동 상태 점검 |
< 작 업 순 서 >
1. 작업 준비를 한다. ㈎ 용접기의 이상 원인을 파악한다. ㈏ 고장 원인에 따른 수리 공구 및 부품을 준비한다. ㈐ 용접기를 점검할 경우 반드시 1차 전원 스위치(배전반)를 차단하고 ‘수리중’ 이라는 표식을 부착한다.
2. 고장 현상에 따라 원인을 진단하고 보수 및 정비를 한다.(표 1 참조)
표 1 고장 현상ㆍ원인 및 보수(정비) 방법
|
3. 정리 정돈하고 주위를 깨끗이 청소한다. ㈎ 공구 및 부속품을 정리하고 주위를 깨끗이 청소한다. |
작업과제명 |
2. CO2(MAG)와 MIG 아크 용접기 정비하기 |
소요시간 : 4 척 도 : NS | ||||||||||
․ 요구 사항 가. 반드시 1차 전원을 ‘off’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여 점검 및 정비한다. 나. 프린트 기판이나 확실하게 알 수 없는 부분은 절대 손대지 말고 전문가에게 의뢰를 한다. | ||||||||||||
평
가
기
준 |
평 가 기 준 |
만점 |
양호 |
보통 |
득점 |
비 고 | ||||||
작품평가 (65점) |
전원 표시등 점 검 ㆍ 교환 |
6 |
4 |
2 |
|
․득점 점수에서 안전수칙 위반 1건당 2점 감점
․득점 점수에서 소요시간 10분 초과마다 5점 감점 | ||||||
휴 즈 점 검 ㆍ 교 환 |
6 |
4 |
2 |
| ||||||||
수 랭 토 치 정 비ㆍ 교 환 |
6 |
4 |
2 |
| ||||||||
전 극 가 공 ㆍ토 치 조 립 |
6 |
4 |
2 |
| ||||||||
유 량 계 점 검 ㆍ 정 비 |
6 |
4 |
2 |
| ||||||||
케 이 블 불 량 점 검ㆍ정 비 |
6 |
4 |
2 |
| ||||||||
전자 밸브 작동 상태 점검 |
8 |
6 |
4 |
| ||||||||
고 주 파 발 생 장 치 정 비 |
8 |
6 |
4 |
| ||||||||
토치의 냉각수ㆍ가스 누설 정비 |
8 |
6 |
4 |
| ||||||||
토치 스위치 불량 점검ㆍ정비 |
8 |
6 |
4 |
| ||||||||
작업평가 (35점) |
작 업 방 법 |
7 |
5 |
3 |
| |||||||
작 업 안 전 |
7 |
5 |
3 |
|
작품 평가 |
작업 평가 |
시간 평가 |
총점 | ||||
재 료 사 용 |
7 |
5 |
3 |
| ||||||||
작 업 태 도 |
7 |
5 |
3 |
|
|
|
|
| ||||
정 리 정 돈 |
7 |
5 |
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