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중앙소방안전학원 원문보기 글쓴이: 중앙소-
발화층 |
경보를 발하는 층 |
2층이상 |
발화층, 직상층 |
1층 |
발화층, 직상층, 지하층 |
지하층 |
발화층, 직상층, 기타의 지하층 |
② 우선경보방식
지하층을 제외한 5층 이상으로 연면적 3000[㎡]를 초과 하는 소방대상물
(나) 확성기의 설치층과 그 설치 위치에 대한 기준을 설명하시오
① 설치층 : 각 층
② 설치위치 :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설치
(다)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지 그 위치를 설명하시오.
- 바닥으로부터 0.8~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
11)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가) 비상방송설비의 계통도를 완성하시오.
3선식
(다)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몇[W] 이상이어야 하는가?
3[W] (실내 1[W])이상
(라)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에 우선적으로 경보를 발생하여야 할 층은?
발화층, 직상층, 지하층
12)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설치기준의 ( ) 안에 알맞은 말 또는 수치를 쓰시오. (7점)
𝗈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 ① )[W](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1[W]) 이상일 것
𝗈 음량 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 ② )으로 할 것
𝗈 기동장치에 의한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방송이 개시될때까지의 소요시간은 ( ③ )초 이하 로 할 것
𝗈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④ )[m] 이상 ( ④ )[m]이하의 높이로 설치할 것
- ① 3 , ② 3선식, ③ 10, ④ 0.8, ④ 1.5
13)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기동장치에 의한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방송이 개시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이하 로 하여야 하는가? 10초
(나) 10층 건물의 5층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에 우선적으로 경보를 발생하여 할 층은? 발화층(5층), 직상층(6층)
(다) 확성기를 실내에 설치할 때 그 음성입력은 몇 [W]이상이어야 하는가? 1[W](참고-실외3[W])
(마) 지하 3층, 지상 5층인 건축물이 있다. 아래와 같은 층에서 발화한 때에 우선적으로 경보해야 할 층은?
① 1층 - 1층,2층, 지하1~3층
② 지하2층 - 지하1~3층
③ 지하3층 - 지하1~3층
14) 비상경보설비에 사용되는 축전지설비의 절연저항시험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다음의 경 우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5점)
(가) 축전지 설비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 - 5[MΩ]
(나) 축전지 설비의 교류입력측과 외함간의 절연저항 - 20[MΩ]
(다) 축전지 설비의 절연된 선로간의 절연저항 - 20[MΩ]
15) 화재탐지설비의 배선방법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가) 감지기회로 및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250[V]의 절연 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때 몇 [MΩ]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0.1[MΩ]이상
(나) P형 수신기의 감지기회로 배선에서 하나의 공통선에 접속할 수 있는 경계구역은 몇 개 이하로 하여야 하 는가?
7개이하
(다)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위한 종단저항의 설치기준을 2가지만 쓰시오(단, 설치장소, 전용함 안에 설치할 경우의 설치높이, 설치위치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
① 점검 및 관리가 쉬운 장소에 설치할 것
② 전용함을 설치하는 경우, 그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m] 이내로 할것
③ 감지기 회로의 끝부분에 설치할 것
16) P형 1급 5회로 수신기가 설치된 건물이 있다. 각 수신회로의 성능을 검사하는 방법 4가지를 기술하시오.
(8점)(=P형 1급 수신기의 성능시험)
① 화재표시작동시험
② 회로도통시험
③ 저전압시험
④ 예비전원시험
17) P형 1급 수신기의 예비전원을 시험하는 방법과 양부판단의 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4점)
① 시험방법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이 사고 등으로 정전된 경우,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절환되며,
또한 정전복구시에 자동적으로 상용전원으로 절환되는지의 여부를 다음에 따라 시험할 것
①-1 : 예비전원시험 스위치를 누른다
①-2 : 전압계의 지시치가 지정치의 범위 내에 있을 것
①-3 : 교류전원을 개로하고 자동절환 릴레이의 작동상황을 조사한다
② 양부판단의 기준 : 예비전원의 전압, 용량, 절환상황 및 복구 작동이 정상일 것
18) P형 수신기외 R형 수신기의 특성을 다음 표에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6점)
형 식 |
P형 시스템 |
R형 시스템 |
신호전달방식(전송) |
1:1 접점 방식 |
다중전송방식 |
배관배선공사 |
복잡하다 |
간단하다 |
유지관리 |
어렵다 |
쉽다 |
수신반가격 |
저가 |
고가 |
19) P형 1급 발신기와 P형 2급 발신기에 대하여 서로를 비교 설명하시오 (4점)
① P형 1급 발신기
-P형 1급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
-스위치, 전화잭, 응답램프가 있다
② P형 2급 발신기
-P형 2급 수신기에 연결하여 사용
-스위치 기능만 있다
20) 공장이나 초대형 건물에서 P형수신기보다 R형 수신기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 4가지만 기술하시오. (8점)
① 선로수가 적어 경제적이다
② 선로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③ 증설 또는 이설이 비교적 쉽다
④ 신호의 전달이 확실하다
21) 다음에서 의미하는 기기를 쓰시오. (3점)
This Push button switch of push, Indicator panel's signal for telephone-jack nose use have telecommunication (이것은 푸시버튼 스위치를 눌러 수신반에 신호를 전송하고 전화잭을 사용하여 상호연락을 한다.)
- P형 1급 발신기
22) 비상용 전원설비로 축전지설비를 하고자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가) 연축전지의 고장과 불량현상이 다음과 같을 때 그 추정원인은 무엇 때문이겠는가?
고 장 |
불량 현상 |
추정 원인 |
초기고장 |
전셀의 전압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
① |
단전지 전압의 비중저하, 전압계 역전 |
② | |
우발고장 |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정지중에도 다량으로 가스발생 |
③ |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
④ |
- ① 과방전하였을때 ② 극성을 반대로 충전하였을 때
③ 불순물이 혼입되었을때 ④ 과충전하였을 때
(나) 연축전지의 정격용량이 100[Ah]이고, 상시부하가 15[kw], 표준전압100[V]인 부동충전 방식 충전기의 2차 정류값은 몇 [A]이겠는가? (단, 상시부하의 역률은 1로 본다)
(참고!) 축전지의 정격방전율은 연:10 알칼리:5
160[A]
(다) 축전지의 수명이 있고 또한 그 말기에 있어서는 부하를 만족하는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보통 0.8 로 표시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보수율
(라)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선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 등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충전방식은?
균등충전방식
23)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증폭기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9점)
①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용배선으로 할 것
②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 회로 전원감시용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할 것
③ 증폭기는 비상전원 부착용으로서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을 것
24)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증폭기를 설치하려고 한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6점)
𝗈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 (가) ) 또는 ( (나) )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 (다) ) 으로 할 것
𝗈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 (라) ) 및 ( (마) )를 설치할 것
𝗈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당해 비상전원용량은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유효하게( (바) )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가) 축전지 (나) 교류전압 옥내간선 (다) 전용 (라) 표시등 (마) 전압계 (바) 30
25)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가) 고압선과 이격거리는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또, 고압선과의 일정 이격거리를 두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① 이격거리 : 1.5[m]이상
② 이격거리를 두지 않아도 되는 경우 : 당해 전로에 정전기 차폐장치를 유효하게 설치한 경우
(나) 접속단자의 설치높이는 얼마인가? 바닥으로부터 0.8~1.5[m]이하의 높이
(다) 주요구조가 내화구조가 아닌 건물에서 화재로 인한 외피의 소손 우려가 있을 경우 케이블의 지지방법은?
4[m]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 등의 지지금구로 벽,천장,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
26)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의하여 당해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 록 4[m]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 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다만, 어떤 경우에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는가? 불연재료로 구획된 반자안에 설치하는 경우
(나)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몇 [m]이상 몇 [m]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0.8[m]이상 1.5[m]이하
(다)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어떤 것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표시등, 전압계
(라)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어떤 종류의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하는가? 무반사 종단저항
(마) 누설동축케이블의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 몇 [Ω]으로 하여야 하는가? 50[Ω]
(바)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로부터 몇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가?(단, 당해 전로에 정전기 차폐장치가 설치되지 않았다고 한다.) - 1.5[m]이상
27)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사용되는 무반사 종단저항의 역할을 쓰시오. (3점)
전송로로 전송되는 전자파가 전송로의 종단에서 반사되어 교신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함
28)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6점)
①분배기 : 신호의 전송로가 분기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매칭과 신호 균등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
②분파기 :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
③혼합기 : 두 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
분파기 |
분배기 |
혼합기 |
|
|
|
29) 무선통신 보조설비용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기준을 4가지만 쓰시오. (6점)
① 바닥에서 0.8~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
② 보호함 표면에 “무선기 접속단자”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③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 지상에서 유효하게 소방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④ 지상설치시 보행거리 300[m] 이내마다 설치하고 타 용도의 접속단자와 5[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30) 피난구 유도등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가) 피난구 유도등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할 장소를 4가지로 구분하여 쓰시오.
-①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
② 직통계단, 직통계단의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
③ 출입구에 이르는 복도 또는 통로로 통하는 출입구
④ 안전구획된 거실로 통하는 출입구
(나) 피난구 유도등은 피난구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몇 [m] 이상의 곳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5[m]이상
(다) 피난구 유도등의 조명도는 피난구로부터 몇 [m]의 거리에서 문자 및 색채를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30[cm]
31) 유도등의 전원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7점)
(가) 유도등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의 종류 2가지를 쓰시오
① 축전지 ② 교류전압의 옥내간선
(나) 비상전원은 어느 것으로 하며 그 용량은 당해 유도등을 유효하게 몇 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는가?(단, 지하층으로서 도매시장의 경우이다.)
① 비상전원 : 축전지 ② 용량 : 60분이상
(다) 3선식 배선에 의하여 상시 충전되는 유도등의 전기회로에 점멸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어떤 때에 유도등이 반드시 점등되도록 하여야 하는지 그 경우를 3가지만 쓰시오
- ①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②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③ 상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는 때 ④ 자동소화설비가 작동하는 때
⑤ 방재업무를 통제하는 곳 또는 전기실의 배전반에서 수동으로 점등하는 때
(마) 유도등의 종류3가지 :
① 피난구유도등 ② 통로유도등 ③ 객석유도등
32) 자동화재 속보설비의 속보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속보기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몇[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5[MΩ]이상
(나) 상기 (가)번 문항과 같은 방법으로 교류입력측과 외함간을 측정할 때에는
몇[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20[MΩ]이상
(다) 사용되는 변압기(전자기기용 소형 변압기)의 정격 1차 전압을 몇 [v]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300[v]이하
33) 비상콘센트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비상콘센트 전원의 구성용량에 대해 설명하시오. (단. 단상과 3상을 구분하여 답하도록 한다)
구분 |
전압 |
용량 |
플러그접속기 |
3상교류 |
380[V] |
3[KVA]이상 |
접지형 3극 |
단상교류 |
220[V] |
1.5[KVA]이상 |
접지형 2극 |
(나)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절연저항값과 절연내력의 방법 및 판정방법에 대해 쓰시오
① 절연저항값 : 직류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20[MΩ]이상
② 절연내력
방법: 정격전압이 150[V] 이하인 경우에는 1000[V]의 실효전압을, 정격전압이 150[V] 이상인 경우에는 그 정격전압의 2를 곱하여 1000을 더한 실효전압을 가함
판정방법 : 1분이상 견딜 것
(다) 비상콘센트의 심벌(그림기호)를 그리시오.
34) 비상콘센트설비를 하려고 한다. 다음의 경우에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8점)
(가) 비상콘센트의 플러그 접속기는 구체적으로 어떤 형(종류)의 플러그 접속기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 접지형
(나)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가 7개이다. 이 경우에 전선의 용량은 비상콘센트 및 몇 개의 공급 용량을 합한 용량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 3개
(다)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절연저항의 측정방법 및 절연내력의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적합한 기준은 무엇인지를 설명하시오.
① 절연저항의 측정방법 : 전원부와 외함 사이를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20[MΩ]이상일 것
② 절연내력의 시험방법 : 전원부와 외함 사이에 정격전압이 150[v]이하인 경우에는 1000[v]의 실효전압을, 정격전압이 150[v]이상인 경우에는 그 정격전압에 2를 곱하여 1000을 더한 실효 값을 가하는 시험에서 1분 이상 견디는 것으로 할 것
35) 비상콘센트 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가) 전원 회로의 배선은 어떤 종류의 배선으로 하는가?
- 내화배선
(나) 전원으로부터 각 층의 비상콘센트에 분기되는 경우에 보호함 안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할 보호용 설비는?
- 분기 배선용 차단기
36) 비상콘센트 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지하층 및 지하층을 제외한 몇 층 이상의 각층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11층 이상
(나) 직류 500[V]급 절연저항계로 어디를 측정한 값이 20[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전원부와 외함 사이
(참고)밑출친 부분은 500[V]급 절연저항계로로 측정할 때 측정한 값을 물어보는 사례가 있어서 20[MΩ] 이
상 같이 기억하세요
(다) 3상 비상콘센트의 검상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을 쓰시오.
① 검상시험방법 : 소화활동장비를 접지형 3극 플러그접속기에 접속한다
② 판정기준 : 작동상태에서 회전방향이 정상일 것
37) 비상콘센트설비의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은 다음의 경우에 어디에서 분기하여 전용 배선으로 하는지를 설명 하시오 (6점)
(가) 저압수전인 경우
- 인입개폐기 직후에서
(나) 특별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인 경우
-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 또는 2차측에서
38) 비상콘센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비상콘센트 보호함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 보호함에 반드시 설치 또는 조치 하여야 할 시설기준을 3가지 쓰시오 (6점)
①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 설치
② 표면에 “비상콘세트”라고 표시한 표지 부착
③ 상부에 적색의 표시등 설치
39) 다음은 비상콘센트 보호함의 시설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5점)
𝗈 보호함에는 쉽게 개페할 수 있는 ( 가 )을 설치하여야 한다.
𝗈 비상콘센트의 보호함( 나 )에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하여야한다.
𝗈 비상콘센트의 보호함 상부에( 다 )의 ( 라 )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비상콘센트의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마 )등이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다.
가) 문, 나) 표면, 다) 적색, 라) 표시등, 마) 옥내소화전함
40) 25층 건물에 비상콘센트설비를 하였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원은 단상 220[V], 3상 380[V]이다) (11점)
(가) 비상콘센트설비의 설치목적은?
소방대의 조명용 또는 소화활동상 필요한 장비의 전원설비
(나) 비상콘센트의 전원선의 배선은 무엇이며 전체회로의 전선가닥수는?
배선 : 내화배선
가닥수 : 10가닥(단상 4가닥, 3상 6가닥)
(다) 비상콘센트는 제 몇 종 접지를 하여야 하며 또한, 접지저항값 [Ω]은?
제3종접지공사, 100[Ω] 이하
(라) 화재시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3𝟇3[KW] 역률 0.65인 송풍기를 설치할 때 흐르는 전류의 값[A]는?
I=
(마)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몇 개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2개
(바) 하나의 전용회로에 비상콘센트의 전선의 용량은 어떻게 선정하는지 구체적으로 답하시오.
-비상콘센트(비상콘센트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3개)의 공급용량을 합한 용량
41) 3상교류 220[V]인 비상콘센트 플러그 접속기의 칼받이의 접지극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며 접 지저항은 몇 [Ω] 이하인가? (4점)
접지공사 : 제3종 접지공사
접지저항 : 100[Ω] 이하
42) 예비전원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7점)
(가) 상시전원이 정전시에 상시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바꾸는 경우로서 그 접속하는 부하 및 배선이 같을 경우 양전원의 접속점에 반드시 사용해야 할 개폐기는?
자동절환개폐기
(나) 비상용 자기발전기를 구입하여 비상시에 대처하고자 한다. 부하는 유도전동기 부하이고, 기동용량이 50[KVA]이고, 기동시의 전압강하는 25[%]까지 허용하며, 발전기의 과도리액턴스가 24[%]라면 비사용 자가 발전기의 용량은 몇 [KVA]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36[KVA]이상
(참고) 공식은
(다)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은?
부동충전방식
43) 예비전원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7점)
(가) 자가용 발전기의 여자방식으로 일반적으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여자방식은?
자여자방식
(나) 예비전원으로 저압발전기를 시설할 경우,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개폐기 등을 시설 하여 한다. 어떠한 것들을 시설하여야 하는지 개폐기 외에 시설하여야 할 것들 3가지를 쓰시오
① 과전류차단기 ② 전압계 ③ 전류계
(다) 상시전원의 정전시에 상시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바꾸는 경우에 그 접속하는 부하 및 배선이 같을 경우, 양 전원의 접속점에 반드시 사용해야 할 개폐기의 종류는 어느 것인가?
자동절환 개폐기
44) 예비전원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8점)
(가) 밀폐형 축전지의 1셀당 정격전압은 몇 [V]로 하는가?
알칼리 축전지 : 1.2V, 연축전지 :2V
(나) 밀폐형 축전지의 1셀당 방전종지전압은 몇 [V]로 하는가?
알칼리 축전지 : 0.96V, 연축전지 : 1.6V
(다) 충전전원의 정전시 또는 축전지의 방전시험시 이외의 평상상태에서는 축전지를 충전 완료 상태로 유지하 고 축전지의 용량을 유지하기 위한 충전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충전하는 방식은?
부동충전방식, 트리클 충전방식 (세류충전방식)
(라) 1분간 2회선 작동함과 동시에 다른 회선을 감시하는 경우 및 10분간 2회선 작동함과 동시에 다른 회선을 감시하는 경우에 대한 예비전원용 축전지의 용량은 다음 조건에서 몇 [Ah]인가?
50[Ah]
[조건] 𝗈작동시간에 대한 용량 환산계수 : 0.5
𝗈2회선 작동전류 및 다른 회선 감시시의 전류 : 80[A]
𝗈경년 용량 저하율(보수율) : 0.8
(참고)
45) 예비전원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연축지와 비교할 때 알칼리 축전지의 장점 2가지와 단점1가지를 쓰시오.
장점) ① 충방전특성이 양호하다
② 방전시 전압변동이 적다
단점) ① 연축전지에 비하여 단자전압이 낮다
(나) 연축전지의 셀당 전압은 2.0[V]이다. 알칼리 축전지는 몇 [V]인가? 1.2[V]
(다) 유도등 20[W] 30등, 40[W] 70등의 점등에 필요한 축전지의 용량은 다음 조건에서
몇 [Ah]인가? 23.56[Ah] 해법 : [ 1/0.8 * 1.22 * (3400/220) ]
[조건] 𝗈 유도등의 사용전압 : 220[V]
𝗈 용량환산시간 : 1.22
𝗈 경년 용량 저하율 : 0.8
(마) 그림과 같은 충전방식은? 부동충전방식
(참고)부동충전방식의 개략적인회로도입니다. 문제에서는 그림이 주어져있지만 그림은 생략하겠읍니다
46)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공통선 시험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4점)
(가) 시험방법
-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의 적정여부를 다음에 따라 확인할 것
① 수신기 내 접속단자의 공통선을 1선 제거한다
② 회로도통시험의 예에 따라 회로 선택스위치를 차례로 회전시킨다
③ 시험용 계기의 지시등이 “단선”을 지시한 경계구역의 회선수를 조사한다
(나) 가부판정의 기준
-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수가 7 이하일 것
47)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음향장치에 대한 구조 및 성능기준을 3가지 쓰시오. (6점)
① 정격전압의 80[%]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②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폰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할 것
③ 감지기, 발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48)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5점)
(가) 연기감지기의 설치장소의 기준 3가지를 쓰시오
① 계단 및 경사로(15[m]미만 제외)
② 복도(30[m]미만 제외)
③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5~20[m] 미만의 장소
(나) 스포트형 감지기를 부착시 몇 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여야 하는가?
45도
(다)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몇 [m]이사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20[m]
49) 자동화재 탐지설비 수신기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5가지만 쓰시오. (10점)
①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 일람도를 비치할 것(단, 주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주수신기를 제외한 기타 수신기는 제외)
② 수신기의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있는 것으로 할 것
③ 수신기는 감지기, 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④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⑤ 수신기의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0.8~1.5[m] 이하인 장소에 설치 할 것
50) 자동화재 탐지설비를 유지 관리하는데 반드시 확인되어야 할 사항을 4가지만 쓰시오. (6점)
① 수신기가 있는 장소에는 경계구역 일람도를 비치하였는가
② 수신기 부근에 조작상 지장을 주는 장애물은 없는가
③ 발신기의 상단에 표시등은 점등되어 있는가
④ 비상전원이 방전되고 있지 않은가
51) 자동화재 탐지설비에 사용되는 감지기의 절연저항시험을 하려고 한다. 사용기기와 판정기준은 무엇인가? (4점)
① 사용기기 : 직류 500[V] 절연저항계
② 판정기준 : 50[MΩ] 이상
52)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송배전식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적응감지기 3가지를 쓰시오. (6점)
-송배전식 : 수신기에서 2차측의 외부배선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선의 도중에서 분기하지 않도 록 하는 배선방식
적응감지기
①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②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③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53)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공통선 시험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4점)
(가) 목적 :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의 적정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나) 방법 :
① 수신기 내 접속단자의 공통선을 1선 제거한다
② 회로도통시험의 예에 따라 회로 선택스위치를 차례로 회전시킨다
③ 시험용 계기의 지시등이 “단선”을 지시한 경계구역의 회선수를 조사한다
54) 종단저항의 설치목적과 감지기배선을 송배전방식으로 하는 이유를 말하시오 (4점)
① 설치목적 :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② 송배전식으로 하는 이유 :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55)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음향경보장치를 설치하려고 할 때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각 부 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몇 [m]이하로 하여야 하며, 또 소화약제의 방사개시 후 음향 경보장치는 몇 분이상 경보를 계속 할 수 있게 하야야 하는가? (4점)
① 25[m]이하 ② 1분이상
56) 연기감지기의 설치기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7점)
(가) 감지기의 부착 높이에 따라 다음 표에 의한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①~③에 해당되는 면적은 몇 [㎡]인가?
부착높이 |
감지기의 종류 | |
1종 및 2종 |
3종 | |
4[m]미만 |
① 150[㎡] |
② 50[㎡] |
4[m]이상 20[m]미만 |
③ 75[㎡] |
설치할 수 없다(참고) |
(나)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몇 [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0.6[m]이상
(다) 감지기 3종은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몇 [m]마다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 20[m]
57) 다음은 감지기의 설치기준이다. 빈 칸을 완성하시오. (8점)
(단위:[㎡])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의 구분 |
감지기의 종류 | |||||||
차동식 스포트형 |
보상식 스포트형 |
정온식 스포트형 | ||||||
1종 |
2종 |
1종 |
2종 |
특종 |
1종 |
2종 | ||
4[m]미만 |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 |
90 |
70 |
90 |
70 |
70 |
60 |
20 |
기타 구조의 소방대상물 또는 그부분 |
50 |
40 |
50 |
40 |
40 |
30 |
15 | |
4[m]이상 8[m]미만 |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 |
45 |
35 |
45 |
35 |
35 |
30 |
|
기타 구조의 소방대상물 또는 그부분 |
30 |
25 |
30 |
25 |
25 |
15 |
|
58) 다음은 감지기의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5점)
(가) 감지기(차동식 분포형의 것을 제외한다)는 실내로 공기유입구로부터(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나) 감지기는 ( )또는 반자의 옥내의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
(다)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라) 연기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마) 스포트형 감지기는( )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
-가)1.5, 나)천장, 다)20, 라)0.6, 마)45
59) 감지기의 설치제외장소를 4가지만 쓰시오. (8점)
① 부식성 가스가 체류하는 장소
② 목욕실, 화장실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③ 실내용적이 20[m^3] 이하인 장소
④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20[m] 이상인 장소. 다만, 행정자치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장소 제외
60) 감지기회로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9점)
(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은 몇 [Ω]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50[Ω]이하
(나) 감지기회로 사이의 배선방식은? 송배전식
(다) 수신기에서 100[m] 떨어진 장소의 감지기가 작동하였다. 이때 감지기회로(전선, 벨, 수신기 램프 등)에 소비된 전류가 500[mA]라고 하면 이 경우의 전압강하는 몇 [V]인가? 1.57[V]
(단, 전선의 굵기는 1.2[mm]이고, 전류감소계수 등 기타 주어지지 않은 조건은 무시한다)
(참고 : 단상2선식이므로 A=35.6LI/1000e 공식대입)
61) 하론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등에 사용되는 교차회로 방식의 목적을 쓰고, 간단한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시오 (7점)
목적 : 감지기의 오동작 방지
설명 : 하나의 경계구역 내에 2 이상의 화재감지기 회로를 설치하고 인접한 2이상의 화재감지기가 동시에 감지되는 때에 설비가 작동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62) 하론1301 설비에 설치되는 사이렌과 방출등의 설치위치와 설치 목적을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6점)
사이렌
① 설치위치 : 실내
② 설치목적 : 음향으로 경보를 알려 실내에 있는 인명을 대피시킨다
방출등
① 설치위치 : 실외
② 설치목적 : 소화약제의 방출을 알려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시킨다
63) 방전코일의 역할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4점)
-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 방전 및 콘데서 재투입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 방지
64) 제연설비의 배출기의 설치기준에 관한 다음( )안에 알맞은 것은? (6점)
(가) 배출기와 배출풍도의 접속부분에 사용하는 캔버스는 ( )이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배출기의 전동기 부분과 ( )부분은 분리하여 설치할 것
(다) 배출기 부분은 유효한 ( )처리를 할것
- (가) 내열성, (나) 배풍기, (다) 내열
65) 제연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다음( )안에 알맞은 것은? (8점)
𝗈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가 )[㎡] 이내로 할 것
𝗈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일반적인 경우 보행중심선의 길이가( 나 )[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𝗈 가동식의 벽, 제연경계벽, 댐퍼 및 배출기의 작동은 ( 다 )와 연동되어야 하며, 예상제연구역 및
제어반에서( 라 )으로 기동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가) 1000, 나)60, 다)자동화재감지기, 라)수동
66) 제연창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가) 구동방식 2가지를 쓰시오. - ① 솔레노이드 방식 ② 모터 방식
(나) 이 설비는 일반적으로 몇 층 이상의 건물에 시설하여야 하는가? 6층이상
(다) 배연구의 구조에 대하여 간다히 설명하시오.
연기감지기 또는 열감지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하되, 손으로 여닫을 수 있을 것
(라) 이 설비가 설치되는 건물의 바닥면적이 500[㎡]일 때 배연창의 유효면적을 구하시오 - 5[㎡]이상
(다)의 배연창의 유효면적은 바닥면적의 1/100 이상이므로
500[㎡]*1/100=5[㎡]
67) 전선의 약호 명칭 기입 (4점)
NRI : 300/500[V] 기기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NR : 450/750[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68) 다음을 한글로 된 것은 영문약자로 표시하고 영문약자는 한글로 표현하시오. (5점)
(가) 기기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 NRI
(나) 접지용 비닐전선 - GV
(다) CT - 변류기
(라) ELB - 누전차단기
(마) ZCT - 영상변류기
69) 회로에 상시감시전류를 흘리려면 회로의 말단에 종단저항을 설치하는 이유 (4점)
- 감지기 회로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70) 누전경보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가) 1급과 2급 누전경보기를 구분사용하는 경계전로의 정격전류는 몇 [A]인가? 60[A]
(나)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한다. 각 극에는 무엇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개폐기 및 15[A]이하의 과전류 차단기
(다) CT 명칭은 무엇이며 이것을 점검하고자 할 때 2차측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명칭 : 변류기, 2차측은 단락한다.
71) 누전경보기의 설치기준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가)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몇 [A]를 초과하는 전로에 1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하는가?
60[A]초과(참고 : 2급은 60[A]이하)
(나) 변류기는 소방대상물의 형태, 인입선의 시설방법 등에 따라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하거나 또는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하는데 이는 제 몇 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를 말하는가?
제2종 접지선측
72) 1급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는 시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으로 무엇을 시험할 수 있는지 2가지로 구분 하여 설명하시오. (5점)
① 동작시험 : 회로시험 스위치로 각 구역을 선택하여 누전시와 같은 작동이 되는지를 확인한다.
② 도통시험 : 회로시험 스위치로 각 구역을 선택하여 변류기와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
73)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대한 절연저항시험은 어떻게 하는지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답하시오
(6점)
(가) 측정개소 -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 및 차단기구의 개폐부
(나) 측정계기 - 직류500[V]의 절연저항계
(다) 절연저항의 적정성 판단의 정도 - 5[MΩ]이상
74) 다음은 누전경보기의 정비 점검시에 행하는 점검사항이다. 이들 시험에 필요한 시험기 또는 측정기로 적당 한 것을 쓰시오. (8점)
(가) 누전전류의 검출시험 - 영상변류기
(나) 배선 및 충전부와 대지간의 절연상태의 측정 - 메거
(다) 경보 부저(Buzzer)의 음압시험 - 음량계
(라) 수신기에 의한 외부배선 및 Fuse, 표시등, 외부 부저(Buzzer) 등의 도통시험 - 회로시험기
75) 11층 이상인 건물의 소방대상물에 옥내소화전설비를 하였다. 이 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 중 비상전원 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설비의 종류를 2가지 쓰시오 (4점)
① 자가발전설비
② 축전지설비
76) 3선식 배선에 의하여 상시 충전되는 유도등의 전기회로에 점멸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어느 때에 점등되도 록 하여야 하는지 그 기준을 3가지만 쓰시오. (6점)
①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②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③ 상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는 때 ④ 방재업무를 통제하는 곳 또는 전기실의 배전반에서 수동으로 점등하는 때 ⑤ 자동소화설비가 작동하는 때
77)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를 설치하고 공기관에서 공기가 새어나오는가의 여부를 시험하려고 한다. 이 시험에서 사용하는 측정기를 쓰시오. (3점)
마노미터
78)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의 설치기준으로( ) 안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7점)
(가)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나)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각 변과의 수평거리는( ① )[m] 이하가하고, 공기관 상호간의 거리는( ② )[m](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③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m] 이하로 할 것
(라) 검출부는( )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
(마) ( )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가) 20, 나) ①1.5, ②6, ③9 (내화구조일때) 다)100, 라)5, 마)검출부
79) 후강 전선관 배관에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허용되는 전선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몇 [mm]가 적당한가? (3점)
1.2[mm]이상
80)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2종)와 연기감지기(광전식 1종)가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의 최대 부착높 이는 몇 [m]미만이어야 하는가? (4점)
①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2종) : 4[m]미만
② 연기감지기(광전식 1종) : 20[m]미만
81) 내화구조인 소방대상물에 설치된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가)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몇 [m]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20[m]이상
(나)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각 변과의 수평거리는 몇 [m]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5[m]이하
(다) 공기관 상호간의 거리는? 9[m]이하
(라)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m]이하
(마) 검출부는 몇 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하여야 하는가? 5도이상
82) 퓨즈의 역할을 크게 2가지로 설명하시오. (6점)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② 어떤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83) 다음은 비상조명등의 축전지 공칭용량, 충전전류용량 등의 시험에 관한 사항이다. ( )안의 수치를
채우시오. (4점)
(가) 공칭용량은 10시간율 전류(축전지에 지정된 공칭용량치를 10으로 나누어 얻은 수치에 상당한 암페어수)로 10시간을 방전한 후 10시간율 전류로서 공칭용량의 150%에 상당하는 충전을 하고 다시 5시간율 전류로 방전종지전압(전지당 공칭전압의 80%)까지 방전하는 경우( )시간 이상 연속방전이 되어야 한다.
(나) 충전전류 용량은 당해 비상조명등의 공칭용량의 150%에 충전을 한 것을 12시간 비상조명(방전)한 후 정격전압으로 48시간 충전을 하는 경우 당해 비상조명등을( )분 이상 비상점등할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
가) 1, 나) 20
84) 가스누설경보기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지구등을 포함한 가스누설 표시등은 점등시 어떤 색으로 표시하여햐 하는가? 황색
(나) 예비전원으로 사용하는 축전지의 종류는?
원통밀폐형 니켈카드뮴 축전지 또는 무보수밀폐형 연축전지
(다) 경보기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 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몇 [MΩ] 이상 이어야 하는가? 5[MΩ]이상
(마) 예비전원의 용량에 대하여 간단히 쓰시오.
2회선을 10분간 유효하게 작동시키고 동시에 다른 회선을 10분간 감시할 수 있는 용량
85) 다음은 경보기구의 표시등에 대한 설명이다. ( )안을 완성하시오. (7점)
(가) 전구는 사용전압의 ( ① )[%]인 교류전압을( ② )시간 연속하여 가했을 경우, 단선이나 현저한 광속변화, 흑화, 전류의 저하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나) 전구는 2개 이상을( ① )로 접속하여야 한다. 다만,( ② ) 또는( ③ )을 사용하는 것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주위의 밝기가 ( ① )[lx]이고 전면으로부터( ② )[m]떨어진 곳에서 점등이 확실히 식별되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가) ①130, ②20, 나) ①병렬 ②방전등 ③발광 다이오드, 다) ①300, ②3
86) 연축전지가 여러 개 설치되어 그 정격용량이 200[Ah]인 축전지 설비가 있다. 상시부하가 8[kw]이고, 표준 전압이 100[V]라고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축전지의 방전율은 10시간율로 한다.) (9점)
(가) 연축전지는 몇 셀 정도 필요한가?
표준전압/공칭전압 = 100/2 => 50셀
(나) 충전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는?
수소가스
(다) 충전이 부족할 때 극판에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설페이션
87) 누전경보기의 수신기 증폭부의 방식 3가지를 쓰시오
① 매칭트렌스 또는 트랜지스터를 조합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② 트랜지스터 또는 IC로 중폭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③ 트렌지스터 또는 IC와 미터릴레이를 증폭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88) P형 수신기와 R형수신기의 특성을 비교하여 4가지를 쓰시오
형식 |
P형수신기 |
R형수신기 |
신호종류 |
고통신호 |
고유신호 |
신호전달방식 |
1:1접점방식 |
다중전송방식 |
선로수 |
많이 필요 |
적게 필요 |
유지관리 |
어렵다 |
쉽다 |
기기비용 |
적게소요 |
많이소요 |
89) 예비전원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상시전원이 정전시에 상시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바꾸는 경우로써 그 접속하는 부하 및 배선이
같을 경우 양전원의 접속점에서 반듯이 사용해야할 개폐기는?
자동절환개폐기
(나)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은?
부동충전방식
90)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불등의 설치기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라.
(가)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어떤종류의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하는가?
무반사종단저항
(나)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몇[옴]으로 하는가?
50[옴]
91) 접지공사에서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방법 3가지를 쓰고, 이 중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은?
① 연결방법 : 용융접속, 납땜접속, 전극접지용 슬리브를 이용한 압착접속
② 내구성이 가장 좋은 방법 : 용융접속
92) 피난구 유도등 설치 제외 장소에 대하여 그 기준을 3자기만 쓰시오
① 옥내에서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바닥면적 1000[m^] 미만층)
② 거실 각 부분에서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출입구
③ 비상조명등, 유도표시가 설치된 가실 출입구 (거실 각 부분에서 출입구까지의 보행거리 20[m]이하)
93) 감지기 선로말단에는 종단저항을 접속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고,
감지기 배선을 송배전식으로 사용하는 이유에 대하여도 설명하도록 하시오.
① 종단저항 : 감지기 회로에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② 송배전방식 : 감지기 회로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94) 다음은 비상방송설비에 대한 기준이다. 안에 적당한 말은?
(가)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실내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 ( )이상일 것
(나) 음향조절기를 설치한 경우 음향조종기의 배선은 ( )으로 할 것
(다) 조작부에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 )의 높이에 설치 할 것
(라) 증폭기 및 ( )는 수위실 등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로써 점검이 편리하고
방화상 유효한 곳에 설치할 것
(마)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요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이하로 할 것
가. 3[W] 나. 3선식 다. 0.8~1.5[m]이하 라. 조작부 마. 10초
95) 비상용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4가지를 설명하시오.
①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④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96) 접지종별 저항값 및 접지선의 굵기의 빈칸을 채우시오
구분 |
접지 저항값 |
접지선의굵기 |
제1종 접지공사 |
10 [옴] 이하 |
6[mm2]이상 |
제2종 접지공사 |
150/1선지락전류 [옴]이하 |
-16[mm2] -고압 또는 25[KV]이하 다중접지식 전로와 저압 결합시 6[mm2]이상 |
제3종 접지공사 |
100[옴]이하 |
2.5[mm2]이상 |
특별 3종 |
10[옴]이하 |
2.5[mm2]이상 |
97)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자기의 수열부와 검출부의 구성요소를 쓰시오
① 수열부: 공기관
② 검출부: 다이어프램, 리크구멍, 접점, 시험장치
98) 어떤 고층건물에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설치기준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가) 경보방식은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 그 방식의 발화층에 대한 경보층의
구체적인 경우를 3가지로 구분하여 쓰시오
① 경보방식 : 발화층 및 직상층 우선경보방식
② 2층이상 : 발화층, 직상층
1층 : 발화층,직상층,지하층
지하층 : 발화층, 직상층 ,기타지하층
(나) 확성기의 설치층과 그 설치위치에 대한 기준을 설명하시오.
① 설치층 : 각 층
② 설치위치 :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이하가 되도록 설치
(다)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는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지 그 위치를 설명하시오.
0.8~1.5[m]이하의 높이에 설치
99) 누전경보기에서 CT 100/5,50VA라고 쓰여져 있다. 이 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CT의 우리말 명칭을 쓰시오
변류기
(나) 100/5에서 100의 의미와 5의 의미를 쓰시오.
100: 변류비 1차측 100[A]
5: 변류비 2차측 5[A]
(다) 50VA는 CT에서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설명하시오
정격용량
100) 수신기의공통선을 시험하는 주된 목적을 설명하시오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의 적정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101) 감지기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가) 차동감지기 중 일국소의 열효과에 의해여 작동되는 감지기는?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나) 정온식 감지기 중 일국소의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 되는 경우 작동하는 것으로써
외관이 전선으로 돼 있지 않은 감지기는?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다) 연기 감지기중 이온전류가 변화하여 작동하는 감지기는?
이온화식 감지기
(라)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중 공기관식의 주요 구성요소 4가지를 적어라.
리크구멍, 다이어프램 ,공기관, 접점
(마) 공기관식 감지기의 검출부 내부에 다이어프램이 부식되어 구멍이 생겼을 때 어떤 현상이 발생 되는가?
감지기의 동작이 늦어진다.
102) 다음과 같은 배선도가 나타내는 의미를 모두 쓰시오. (5점)
천장은폐배선으로 22mm 후강전선관에 2.5sq 기기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3가닥과 1.6mm 접지선을 1가닥 넣는다.
103) 감지기회로 종단저항 11 [kΩ] 배선 50 [Ω] 릴레이 550 [Ω] 일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4점)
1) 이 회로의 감시전류 [㎃].
2) 감지기가 동작할 때의 동작전류 [㎃]. (단 배선의 저항을 빼고 계산할 것)
104) 다음의 용어를 국문 또는 영문으로 쓰시오. (5점)
1) MDF : 주배선반 (Main Distributing Frame)
2) LAN : 근거리 통신망 (Local Area Network)
3) PSX : 구내 교환기 (Private Branch Exchange)
4) CAD :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제작 (Computer Aided Design)
5) CVCF : 정전압 정주파수 장치 (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105) 분산형 중계기의 설치장소를 쓰시오. (4가지) (5점)
① 전기피트가 좁은 건축물
② 아날로그 감지기를 객실별로 설치하는 호텔
③ 하론 패키지 또는 판넬 내부
④ 소화전함 및 단독 PBL BOX내부
ㅇ 댐퍼 수동조작함 내부 및 조작 스위치함 내부
ㅇ 스프링클러 접속 박스내 및 SVP판넬 내부
ㅇ 셔터, 배연창, 제연 스크린, 연동 제어기 내부
ㅇ 방화문 중계기는 근접 댐퍼 수동조작함 내부
종 류 |
정 의 |
계 통 도 |
집합형 전원공급 |
중계기 전원을 직근에서 공급 받을 수 있으므로 전압 강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
|
분산형 전원공급 |
Local에 설치된 기기의 전원을 수신기로부터 공급받으므로 거리가 제한되거나 전선의 굵기가 굵어진다. |
구 분 |
집 합 형 |
분 산 형 |
입력전원 |
AC 110V/220V |
DC 24V |
전원공급 |
① 외부 전원을 이용 ② 정류기 및 비상전원 내장 |
① 수신기의 비상전원을 이용 ② 중계기에 전원 장치 없음 |
회로수용 능력 |
대용량 (30 ~ 40회로) |
소용량 (5회로 미만) |
외형크기 |
대형 |
소형 |
설치방식 |
① 전기Pit실 등에 설치 ② 2 ~ 3개층 당 1대씩 |
① 발신기함에 내장하거나 별도의 격납함에 설치 ② 각 Local기기별 1대씩 |
전원공급 사고 |
내장된 예비전원에 의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 |
중계기 전원선로의 사고시 해당 계통 전체 시스템 마비 |
설치적용 |
① 전압 강하가 우려되는 장소 ② 수신기와 거리가 먼 초고층 빌딩 |
① 전기피트가 좁은 건축물 ② 아날로그 감지기를 객실별로 설치하는 호텔 |
106) 지하 공동구에 설치하는 감지기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3점)
① 불꽃 감지기
②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③ 분포형 감지기
107) 다음 회로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8점)
1) 감지기의 명칭.
불꽃 감지기
2) 초전효과 PYRO 효과란?
온도 변화에 따라 유전체 결정의 전기 분극의 크기가 변화하여 전압이 나타나는 현상
3) 그 감지기는 연소 생성물 중 어느 것을 감지하는가.
불꽃
4) ① 감지기는 (공칭감시거리)와 (공칭시야각)을 기중으로 감시구역이 모두 포용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② 감지기는 화재감지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모서리))또는 (벽) 등에 설치할 것
③ 감지기를 (천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감지기는 바닥을 향하여 설치할 것
※ 초전 효과, 파이로 (pyro) 효과란.
- <물리> 온도 변화에 따라 유전체 결정의 전기 분극의 크기가 변화하여 전압이 나타나는 현상.
- 온도 감지기 따위에 응용된다.
1) 감지기의 명칭. 공기 흡입형 광전식 감지기 |
|
2) 그 감지기는 연소생성물 중 어느 것을 감지하는가. 연기
| |
3) 주요 설치 장소. 전산실 또는 반도체 공장 등
| |
4) 말단 공기흡입구에서 수신기까지 연기를 보내는데 걸리는 시간. 120초 이내
|
109) 저압 옥내 배선의 금속관 공사에 있어서 금속관과 박스 그 밖의 부속품에 관한 시설. (7점)
1) 금속관을 구부릴 때 금속관의 단면이 심하게 ( 변형 ) 되지 아니하도록 구부려야 하며 그 안측의
( 반지름 ) 은 관 안지름의 ( 6 ) 배 이상일 것
2) 아웃트렛 박스 (Outlet Box) 사이 또는 전선 인입구를 가지는 기구 사이의 금속관에는 ( 3 ) 개소 초과
하는 (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 굴곡개소를 만들어서는 아니 된다. 굴곡개소가 많은 경우 또는 관의
길이가 ( 30 )m를 넘는 경우 ( 풀 박스 )를 설치한다.
110) 영문은 우리말로 표기 우리말은 영문으로 표기. (5점)
1) 기기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 NRI 2) 접지용 비닐 전선 : GV 3) CT : 변류기
4) ZCT : 영상 변류기 5) ELB : 누전 차단기
111) 유도등 및 유도 표지의 용어의 정의 (화재안전 기준 적용). (5점)
1) 피난구 유도등 :
피난구 또는 피난 경로로 사용되는 출입구를 표시하여 피난을 유도하는 등을 말한다.
2) 복도 통로 유도등 :
피난 통로가 되는 복도에 설치하는 통로 유도등으로서 피난구의 방향을 명시하는 것을 말한다.
3) 객석 유도등 :
객석의 통로, 바닥 또는 벽에 설치하는 유도등을 말한다.
112) 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수신기에서 스위치 주의등이 점멸 되고 있다. 그 원인 2가지를 쓰시오. (6점)
① 주경종 정지 스위치 ON시
② 지구경종 정지 스위치 ON시
③ 자동복구 스위치 ON시
④ 도통시험 스위치 ON시
113) 비상콘센트 (단, 전압은 단상교류 220V 와 3상 교류 380V 사용) (10점)
1) 설치 목적 : 화재 발생 또는 비상시 소방대원 조명용 또는 소화활동 설비 전력 공급용
2) 비상콘센트 설비의 배선의 설치기준에서 전원회로 배선과 그 밖의 배선 종류에 대해 쓰시오
① 전원회로 배선 : 내화배선
※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또는 교유전압옥내간선, 전용배선으로 할 것
② 그 밖의 배선 : 내열배선
※ 2개 이상의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동시에 공급 받는 경우, 하나의 변전소로부터 상용 전원을
공급 받거나 상용전원 차단시 자동적으로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
3) 3상용 콘센트 3KW용 송풍기와 연결하면 몇 A 의 전류가 흐르는가. (단, 송풍기 역률 65%)
4) 접지공사의 종류는 무엇이며 그 접지 저항 값은 몇 [Ω] 이하로 하는가.
① 접지공사 종류 : 제 3종 접지공사
② 접지저항 : 100[Ω] 이하
114) 다신호식 감지기와 아날로그식 감지기의 형식별 특성 (화재신호 출력방식)에 대해 쓰시오. (5점)
1) 다신호식 감지기 :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화재 신호를 발한다.
2) 아날로그식 감지기 : 주위의 온도 또는 연기 양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치 또는 전압치 등의
출력 신호를 발한다.
115) 일과성 비화재보 방지대책 5가지를 쓰시오. (8점)
① 감지기 수의 제한 ② 축적형 감지기의 사용
③ 연감지기 사용의 억제 ④ 다신호식 감지기의 사용
⑤ 경년 변화에 따른 유지보수 ⑥ 아날로그 감지기와 인텔리전트 수신기의 사용
⑦ 설치장소의 환경에 적응하는 감지기의 설치 또는 교환
116)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축적형감지기를 사용하면 안 되는 곳 3가지를 열거하시오(6점)
즉 비축적형감지기 설치장소를 3가지 열거하라는 문제임
① 축적기능이 있는 수신기에 연결하는 경우
② 교차회로용 감지기를 사용하는 장소
③ 유류 취급 장소와 같이 급속한 연소 확대의 우려가 있는 장소
117) 예비전원설비에 대한 다음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부동충전방식에 대한 회로 (개략적인그림) 를 그리시오
나) 축전지를 과방전 또는 방치상태에서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충전방식은? - 회복충전방식
다) 연축전지 정격용량은 250[Ah]이고 상시부하가 8[kw]이며 표준전압이100[V]인 부동충전방식의 충전기 2차충전전류는 몇 [A] 인가?
118) 다음은 광전식 분리형감지기에 대한 물음에 답하시오 ( 5점 )
(1)감지기의 송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1M)이내 위치에 설치할 것
(2)감지기의 광축길이는(공칭감시거리) 범위 이내일 것
(3)감지기의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1M)이내 위치에 설치할 것
(4)광축의 높이는 천장 높이의 (80%) 이상일 것
(5)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6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
119).자동화재탐지설비의설계,도면확인,구조,기능,관련법령에따른확인사항5가지를 열거하시오. (5점)
①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연기 감지기 설치 관련
② 경보설비에서 발전기의 비상전원 적용 문제
③ 직상층, 발화층 우선경보 관련
④ 1종 연기 감지기의 설치 관련(높이에 관련됨)
⑤ 비상전원과 예비전원의 적용 관련
120) 전선접속시 유의사항을 3가지 쓰시오. ( 6점 )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적 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121) 유도등의 3선식 배선시 점멸기 설치시 반드시 점등되어야 하는 경우 5가지 쓰시오. ( 5점 )
① 자탐설비의 감지기,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② 방재업무 통제하는 곳 또는 전기실의 배전반에서 수동으로 점등되는 때
③ 자동소화설비가 작동되는 때
④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⑤ 상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는 때
122)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감지체제의 LAN 통신망을 구축하고자 한다. 근거리 통신망중 위상의 형상3가지를 구분하여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6점)
123) 저압 옥내배선의 금속관공사에 있어서 금속관과 박스 그밖에 부속ㅍ춤은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4점)
○ 금속관을 구부릴 때 금속관의 단면이 심하게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구부려야 하며, 그 안측은 반지름의 ( )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 아웃트렛박스 사이 또는 전선 인입구를 가지는 기구 사이의 금속관에는 3개소를 초과하는 ( )와 ( )에 가까운 굴곡개소를 만들어서는 아니 된다. 굴곡개소가 많은 경우 또는 관이 길이가 ( )[m]를 넘는 경우에는 풀박스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답) 6배, 직각, 직각, 30m
124)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공통선 시험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5점)
목적 : 공통선이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의 적정여부(7경계구역 이하)를 확인하기 위하여
방법 : ① 수신기 내 접속단자의 공통선을 1선 제거한다.
② 회로도통시험의 예에 따라 회로 선택스위치를 차례로 회전시킨다.
③ 시험용 계기의 지시등이 단선을 지시한 경계구역의 회선수를 조사한다.
125) 펌프용 전동기로 매분당 13[㎡]의 물을 높이가 20[m]인 탱크에 양수하려고 한다. 이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펌프용전동기의 효율은 70[%], 역률은 80[%]이고 ,여유계수는 1.15이다.) [6점]
가) 펌프용 전동기의 용량은 몇 [kW]가 필요한가?
답)
나) 이 펌프용 전동기의 역률을 95[%]로 개선하려면 전력용 콘덴서는 몇[KVA]가 필요한가?
답)
126)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의 전압과 용량에 대한 표를 완성하시오. (6점)
구분 |
전압 |
용량 |
플러그 접속기 |
3상교류 |
|
|
|
|
| ||
단상교류 |
|
|
|
|
|
답) 3상교류 200[V], 380[V] 3[KVA]이상, 접지형 3극
단상교류 100[V], 220[V] 1.5[KVA]이상, 접지형 2극
127) 그림은 UPS설비의 그림이다. 이 그림을 보고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UPS의 우리말 명칭은? 답) 무정전전원장치
나) CVCF의 명칭은 무엇인가? 답) 정전압정주파수장치
나) 기호 A, B 부분의 명칭을 쓰시오. 답) A : 정류장치 (컨버터), B : 역변환장치 (인버터)
128)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제어반에서)기동용기의 기능을 시험하기 위화여 시험용 푸시버튼 스위치를 눌렸으나 작동하지 않았다. 이 경우 예측되는 고장원인을 4가지만 쓰시오.(단, 제어반 회로의 전기회로는 정상이다) (5점)
답)-제어반에 공급되는 전원 차단
-기동스위치 접점불량
-기동용 시한계전기(타이머)불량
-제어반에서 기동용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배선의 단선
- " " " " 배선의 오접속
_기동용 솔레노이드 코일단선
- " " 절연 파괴
129) 축적형과 다신호식 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의 형식별 특성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6점)
가) 다신호식 감지기 :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화재신호를 발한다.
나) 아날로그식 감지기 : 주위의 온도 또는 연기 양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치 또는 전압치 등의 출력을 발한다.
다) 축척형 감지기 : 일정농도 이상의 연기가 일정시간(공칭축적시간) 연속하는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므로서 작동하는 감지기(다만, 단순히 작동시간만을 지연시키는 것은 제외한다)를 말한다
130) 통로유도등에 관련된 것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6점)
가) ①~③에까지 빈칸을 채우시오.
구 분 |
복도통로유도등 |
거실통로유도등 |
계단통로유도등 |
설치장소 |
복도 |
① 거실의통로에 설치 |
경사로 및 계단참 |
설치기준 |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마다 |
②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마다 |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 할 것 |
설치높이 |
③ 바닥으로부터 높이 1[m]이하에 설치 |
바닥에서부터 높이 1.5[m] 이상 |
바닥으로부터 높이 1[m]이하에 설치 |
나) 통로유도등의 조도 및 조도측정방법을 쓰시오 .
◯ 바닥통로유도등 : 통로유도등 직상부 1[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 1[lx]이상
◯ 벽에 붙어 있는 통로유도등 : 밑에 바닥에서부터 수평으로 0.5[m] 떨어진 지점에서 측정하여 1[lx]이상
다) 통로유도등은 무슨 색깔로 되어 있는가? 백색에 녹색으로 피난 방향을 표시하는 등
131) 브리지 정류회로(전파정류회로) 와 파형을 그리시오. (6점)
가) 전파정류회로 나) 파형(콘덴서가 없을 때)
132) P형 1급 수신기와 감지기가 연결된 선로에서 선로저항이 110[Ω]이고, 릴레이저항이 790[Ω], 회로의 전압이 DC 24[V]이고 감시전류가 5[mA]인 경우 종단저항[Ω]값과 감지기가 작동할 때 흐르는 전류는 몇 [mA]인가? (5점) 08.1회
답)
133) 가요전선관 공사를 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에 사용되는 재료의 명칭을 쓰시오 (3점) 08.2회
(1) 가요전선관과 박스의 연결 - 스트레이트 박스콘넥터
(2) 가용전선관과 스틸전선관의 연결 - 컴비네이션 커플링
(3) 가용전선관과 가요전선관의 연결 - 스프리트 커플링
133) 그림은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과 관련된 부대 전기설비의 배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각 기기들의 연계작동순서를 설명하시오. (5점) 08.2회
화재발생⟶ 헤드개방⟶ 알람 체크밸브의 유수감지⟶ 압력 스위치 동작⟶ 사이렌경보, 소화설비반에 밸브개방신호 표시
134) 다음 그림은 누전경보기의 전원부 회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7점) 08.2회
(1) 전원부 회로의 완성을 위하여 Diode 블록의 ◯에 Diode를 그리시오
(2) 변압기 및 출력단의 A-B-C-D 단자를 각각 Diode 블록의 1-2-3-4에 연결하여 전원부 회로를 완성하시오
(3) ZNR의 역학에 대하여 쓰시오 : 낙뢰발생시 충격파로부터 수신기를 보호한다.
135) 지상 15층 지하 5층 연면적 7000[㎡]의 소방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음향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5점)
(1) 11층에서 발화한 경우 경보를 발하여야 하는 층 : 11층, 12층
(2) 1층에서 발화한 경우 경보를 발하여야 하는 층 : 1층, 2층 및 지하 전층
(3) 지하 1층에서 발화한 경우 경보를 발하여야 하는 층 : 1층 및 지하전층
참고)
135)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단자 A, B 에서의 합성 정전용량은 얼마인가? (3점)
136) 누설경보기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4점)
(1) 가스누설경보기는 가스누설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누설등이 점등되어 가스의 발생을 자동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점등되는 누설등의 색깔을 쓰시오 - 황색
(2) 가스누설경보기를 그 구조와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 )에 쓰시오
• 구조에 따른 구분 : ( 단독 )형, ( 분리 )형
• 용도에 따른 구분 : ( 가정 )형, ( 공업 )형
(3) 가스누설경보기 중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중계기 또는 가스누설을 검지하여 이를 음향으로 경보하고 동시에 중계기 또는 수신부에 가스누설의 신호를 발신하는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탐지부
137) 개방밸브에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 화재감지기회로를 교차회로방식으로 구성하지 않으려면 어떤 감지기를 적용해야 하는지 감지기의 종류를 5가지만 쓰시오. (5점)
답) - 정온식감지선형 감지기, 분포형감지기, 불꽃감지기, 복합형감지기, 광전식분리형 감지기
(다신호방식의 감지기, 아날로그방식의 감지기, 축적방식의 감지기)
138) 비상용 전원설비로 축전지설비를 하고자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7점)
(가) 연축전지의 고장과 불량현상이 다음과 같을 때 그 추정원인은 무엇 때문이겠는가?
고 장 |
불량 현상 |
추정 원인 |
초기고장 |
전셀의 전압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
① |
단전지 전압의 비중저하, 전압계 역전 |
② | |
우발고장 |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정지중에도 다량으로 가스발생 |
③ |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
④ |
- ① 과방전하였을때 (사용개시시의 보충전 부족) ② 극성을 반대로 충전하였을 때
③ 불순물이 혼입되었을때 ④ 과충전하였을 때 (부동충전전압이 높다)
(나) 연축전지의 정격용량이 100[Ah]이고, 상시부하가 15[kw], 표준전압100[V]인 부동충전 방식 충전기의 2차 정류값은 몇 [A]이겠는가? 160[A]
(단, 상시부하의 역률은 1로 본다)
(참고!) 축전지의 정격방전율은 연:10 알칼리:5
(다) 축전지의 수명이 있고 또한 그 말기에 있어서는 부하를 만족하는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보통 0.8 로 표시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보수율
(참고 : 경년용량저하율 = 보수율 - 사용년수의 경과, 사용조건등의 변경에 의한 용량변화 보정값, 0.8)
(라)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선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 등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충전방식은? 회복충전방식
<참고>
138)그림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와 수동발신기 및 종단저항의 연결을 나타낸 것이다. 잘못된 부분을 고쳐서 제시된 미완성 도면을 완성하시오. 단, 감지기의 종단저항은 수동발신기 단자에 부착하고, 각 단자에는 단자면을 기록하도록 한다. (5점)
139) 피난구 유도등의 2선식 배선방식과 3선식 배선방식의 미완성 결선도를 완성하고, 2선식 배선방식과 3선식 배선방식의 차이점을 2가지만 설명하시오 (6점)
140) 다음과 같은 기계기구의 용어를 문자기호로 쓰시오. (4점)
(1) 유입차단기 : OCB (2) 누전경보기 : ELD
(2) 영상변류기 : ZCT (4) 열동계전기 : THR
141) 다음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등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 (6점)
(1) 소방전용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 또는 복사에 적합한 것으로서 소방전용의 것으로 할것. 누설동축케이블은 ( )의 것으로서 습기에 따라 전기의 특성이 변질되지 아니하고, 노출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피난 및 통행에 장애가 없도록 할 것
(2)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당해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 )이내 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 시킬 것. 다만, 불연재료로 구획된 반자안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3)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로부터 (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것. 다만, 당해 전로에 ( )를 유효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4)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 )을 견고하게 설치할 것.
(5)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 )으로 하고, 이에 접속하는 공중선, 분배기 기타의 장치는 당해 임피던스에 적합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답) (1) 난연성 (2) 4[m] (3) 1.5[m], 정전기 차폐장치 (4) 무반사 종단저항 (5) 50[Ω]
142) 매분 15[㎥]의 물을 높이 18[m]인 물탱크에 양수하려고 한다.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5점)
[조 건] ▲ 펌프와 전동기의 합성효율은 60[%]이다. ▲ 전동기의 전부하 역율은 80[%]이다.
▲ 펌프의 축동력은 15[%]의 여유를 둔다고 한다.
(1) 필요한 전동기의 용량은 몇 [KW] 인가?
(2) 부하용량은 몇 [KVA] 인가?
(3) 전력공급은 단상변압기 2대를 사용하여 V결선으로 공급한다면 변압기 1대의 용량은 몇 [KVA]인가?
답)
(143) 자동화재 탐지설비와 관련된 다음 각 물음의 ( )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 (6점)
(1) ( )라 함은 감지기 또는 발신기(M형 발신기는 제외한다.)등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 옥외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로겐화물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배연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2) ( )라 함은 감지기 또는 발신기(M형 발신기는 제외한다.)등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 옥외 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로겐화물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배연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3) ( )는 감지기로부터 최초의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주음향장치 또는 부음향장치의 명동 및 지구표시장치에 의한 경계구역을 각각 자동으로 표시하여야 하며, 이 표시중에 동일 경계구역의 감지기로부터 두 번째 화재 신호 이상을 수신하는 경우 주음향 장치 또는 부음향장치의 명동 및 지구표시장치에 의한 경계구역을 자동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화재등 및 지구음향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4) ( )는 축적시간동안 지구표시장치의 점등 및 주음향장치를 명동시킬 수 있으며, 화재신호축적 시간은 5초 이상 60초 이내 이어야 하고, 공칭축적 시간은 10초 이상 60초 이내에서 10초 간격으로 한다.
(5) ( )는 아날로그식 감지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예비표시 및 화재표시를 표시함과 동시에 입력신호량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작동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조정장치가 있어야 한다.
(6) ( )라 함은 감지기 또는 발신기(M형 발신기는 제외한다.)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답) (1) P형 복합식 수신기 (2) R형 복합식 수신기 (3) 2신호식 수신기
(4) 축적형 수신기 (5) 아날로그식 수신기 (6) P형 수신기
144)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 중 다음 각 항목의 물음에 답하시오. (6점)
(1) 다음의 각 방출 방식별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 개소를 쓰시오.
▲ 전역방출방식 : ( 방호구역 )마다 설치한다.
▲ 국소방출방식 : ( 방호대상물 )마다 설치한다.
(2) 기동장치 조작부의 설치 높이의 기준에 대하여 쓰시오. - 바닥으로부터 0.8[m]이상 1.5[m]이하
(3) 수동식 기동장치 부근에 자동복귀형 스위치로서 수동식 기동장치의 타이머를 순간 정지시키는 기능의 스위치(비상스위치)를 설치하는 목적에 대하여 쓰시오 - 소화약제의 방출을 지연시키기 위함이다
145) 소방펌프용 전동기의 명판에 코일에 사용되는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를 기로호 표시하고 있다. 다음 표의 빈칸을 완성하시오. (5점)
답)
146)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2000[㎡] 이상인 소방대상물의 옥내소화전 설비에 설치하는 비상전원의 종류 2가지와 설치기준 5가지를 쓰시오. (7점)
(1) 비상전원의 종류 : 답) ① 자가발전설비 ② 축전지설비
(2) 설치기준
답)
147) 3상 교류 380[V] 비상콘센트 플러그접속기의 칼받이 집지극에 시행하여야 할 접지공사의 종류와 접지저항 값을 쓰시오. (3점)
• 접지공사의 종류 : 제3종 접지공사
• 접지저항 값 : 100[Ω] 이하
참고)
148) 가스누설경보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7점)
(1) 가스누설경보기가 가스누설신호를 수신한 경우
① 수신개시로부터 가스누설표시까지의 소요시간 : 60초 이내
② 가스누설표시로 사용되는 누설등의 색깔 : 황색
(2) 예비전원으로 사용하는 축전지는 어떤 종류의 축전지인지 그 명칭을 구체적으로 쓰고, 그 용량의 기준에 대하여 쓰시오.
① 명 칭 :
원통밀폐형 니켈카드뮴축전지 또는 무보수밀폐형 연축전지
② 용 량 :
• 1회선용 : 감시상태를 20분간 계속한 후 유효하게 작동되어 10분간 경보할 수 있을것
• 2회선용 이상 : 연결된 모든 회로에 대하여 감시상태를 10분간 계속한 후 2회선을 유효하게 작동시키고 10분간 경보를 발할 수 있을 것
(3) 가스누설경보기의 충전부와 외함간, 절연된 선로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① 충전부와 외함간 : 5[㏁]
② 절연된 선로간 : 20[㏁]
149) 지상 20[m] 되는 곳에 300[㎥]의 저수조가 있다. 이곳에 10[HP]의 전동기를 사용하여 양수한다면 저수조에는 약 몇분후에 물이 가득 차겠는가? 단, 전동기 효율은 70[%]이고, 여유계수는 1.2이다. (4점)
150) 수신기로부터 배전거리 100[m]의 위치에 모터사이렌이 접속되어 있다. 이 모터 사이렌의 명동될 때 사이렌의 단자전압을 구하시오. 단, 수신기의 정전압 출력은 24[V], 전선의 굵기는 2.5[㎟]이며, 사이렌의 정격전력은 48[W]라 가정하고, 전압 변동에 의한 부하전류의 변동은 무시한다. 또한 2.5[㎟] 동선의 1[Km]당 전기저항은 8.75[Ω]으로 한다. (5점)
151) 초고층빌딩이나 대단지 아파트 등에 사용되는 R형 수신기용 신호선으로 쉴드(Shild Wire)을 사용하는 경우 쉴드선을 서로 꼬아서 사용한다. 이에 따른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신호선으로 쉴드선을 사용하는 이유를 쓰시오. - 전자유도장해 방지
(2) 신호선으로 사용하는 쉴드선을 서로 꼬아서 사용하는 이유를 쓰시오. - 두선에서 발생하는 전자유도 자속이 상호 상쇄 되도록 하기 위하여
(3) R형 수신기용으로 사용하는 쉴드선의 종류 2가지를 문자기호와 함께 쓰시오.
① 비닐절연비닐시스 내열성 제어케이블 (H-CVV-SB)
② 비닐절연비닐시스 난연성 제어케이블 (FR-CVV-SB)
(4) R형 수신기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 중 PCM변조방식에 대하여 쓰시오. - 화재신호를 1과 0의 디지털신호로 변환(7~8Bit의 Pulse로 변조)시키고 신호선을 통해 송수신하는 통신방식
152)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 케이블에 표기되어 있는 기호의 의미를 보기에서 찾아 [보기]를 참조하여 쓰시오. (6점)
15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공사완성시에 행하는 현장시험방법 중 배선의 기능시험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5점)
답) ① 절연저항시험 ② 절연내력시험 ③ 회로도통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