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종횟수야 어떤들 무슨 상관이겠습니까만은 시비를 걸어봤더니
저녁 타종이 33번 36번 설이 있더라구요.
33번으로 많이들 얘기하는데 아래의 글이 그에 대한 반론으로
36번을 하는것 같아 올립니다.
타종의 불교적 의미
불가에서는 범종·북·운판·목어를 사물(四物)이라 부른다. 범종은 지옥중생을 제도하기 위함이며, 북은 축생들이 듣고 해탈하라는 염원에서, 운판은 허공을 날아다니는 조류들을 위하여, 목어는 물 속에 사는 어류들이 그 소리를 듣고 해탈하는 염원으로 치게 된다고 한다. 범종은 원래 사찰의 대중을 모으기 위함과 때를 알리기 위해서 치던 것인데, 그것이 세월의 흐름과 함께 조석예불이나 의식 때 타종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종소리 그 자체에 신성한 의미를 부여하게 되었다.
안진호 편(安震湖編) {석문의범}에 의하면, 재래 사찰에서는 초경(初更)·이경(二更)·삼경(三更)·사경(四更)·오경(五更)에 대종을 울려 시간을 알렸다.
초경(하오 8시)에는 대종을 2번 쳤는데, 이것은 수행의 단계인 십신(十信)·십주(十住)를 나타냈으며, 이경(하오 10시)에는 3번 대종을 울려 십행(十行)·십회향(十回向)·십지(十地)를 의미했다.
그 외에도 사시(巳時: 상오 9시-11시)에는 대종 대신 마지쇠[摩旨金]을 쳤으며, 사찰의 재난 등 위급 시나 고승의 열반, 기타 중요 법요 시에는 반드시 대종을 쳐서 대중에게 알렸다.
이것이 재래 불가의 오랜 전통이었는데, 근래에 와서 이것이 잘못 전승되어 일부사찰에서 새벽예불 때 33번을 타종하고, 저녁예불 때 28번을 타종한다고 하며, 새벽의 33번은 33천의 문을 연다는 의미로, 저녁의 28번은 28천을 닫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 전해진 것이다. 아침예불시 대종을 28추 타종하는 의미는 28수[宿] 혹은 몸에 28대인상을 구족키 위함이며, 저녁예불시 대종을 36추 타종하는 의미는 사생구류(四生九流)가 분수(焚修)의 공덕에 의지하여 함께 정토에 태어나기를 발원하는 뜻으로 타종한다고 한국불교 의식의 원본이라 할 수 있는 {구감(龜鑑)}, {일용작법(日用作法)}, {석문의범(釋門儀範) 등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새벽의 28번, 저녁의 33번으로 전해진 것은 옛날부터 큰 도시에서 통행금지를 알리기 위해 치던 인경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인경은 순수 우리말로 원어는 '인정(人定)'으로, 통행금지 시간을 알리기 위해 33번 종을 쳤고, 새벽에 통금을 해제한다는 신호로 28번 타종한 것이 잘못 전해진 것 같다.
그리고 한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제야에 서울의 보신각종과 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성덕대왕신종(일명 에밀레종)을 33번 타종하는 것도 이 인경 풍습에서 유래된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