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구약성서의 일반적 개론
[1] 구약개론의 의미
(1) 좁은 의미
(2) 넓은 의미
[2] 구약성서의 구분
(1) 명칭
(2) 분류
(3) 마길노트
(4) B.C 1200년 이전의 단편들
(5) B.C.1200-1000년 사이의 단편들
[3] 구약성서의 세계
[4] 구약성서의 형성과 정경화
(1) 구약성서의 형성사
(2)정경화 과정
1) 모세오경의 형성과정
2) 예언서 형성과정
3)성문서 형성과정
(3) 정경의 4가지 요소
(4) 정경의 조건
(5) 성경의 정경성에 대한 반론
(6) 정경으로서의 구약문서의범위와 3구분을 알 수 있는 문헌
[5] 구약성서의 외경과 위경
(1) 외경
(2) 외경의 종류
(3) 외경의 문학적 가치
(4) 외경의 비판
(5) 위경
[6] 구약성서 세계의 언어
(1) 메소포타미아 지방
(2) 나일강 유역
(3) 레반트 지방
[7] 고대 근동의 문서들
(1) 고대법전들
(2) 고대문서들
[8] 구약성서의 사본
(1) 기독교 이전의 사본
(2) 기독교 이후의 사본
[9] 구약본문의 전승사
[10] 구약 국역사
[11] 구약성서의 역본
(1) 헬라어 역본
(2) 아람어 역본
(3) 수리아 역본
(4) 라틴 역본
[12] 구약성서의 비평
(1) 본문비평
(2) 문서비평
(3) 양식비평
(4) 전승사
(5) 편집비평
(6) 그외 비평학 (경전, 구조주의, 문학적 방법, 수사비평, 사회적 비평)
제7장 주요개념 및 기타
[1] 하나님의 신명이해
[2] 오경의 신학적 이해
[3] 출애굽신학
[4] 제사예식과 절기
[5] 축일
[6] 신명기신학
[7] 신26:5-9
[8] 신6:4-5
[9] 사사기에 나타난 신명기적 역사관
[10] D와 Dtr의 관계
[11] 가나안 정복 모델
[12] 신명기 역사관과 역대기 역사관
[13] 역대기 신학
[14] 지혜신학
[15] 시편신학
[16] 주전 8세기 예언자
[17]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공통된 예언의 내용
[18] 남은자 사상
[19] 계약신학 [20] 계약의 종류
[21] 예언신학
[22] 묵시문학 [23] 야웨의 날
[24] 시편촬영
[25] 쿰란사본
[26] 아멘 - 엠 - 오페
[27] 탈무드
[28] 하비루
[29] 수 - 왕까지 신명기 역사라고 하는 이유?
[30] 전기예언서는 역사성이 짙은데 왜 예언서라 했는가?
[31] 6경설
[32] 4경설
제 1 장 구약성서의 일반개론
[1] 구약개론의 의미
(1) 좁은의미 : 성경해석의 준비와 예비가 되는 제목들을 다루는 것
(2) 넓은의미 : 구약의 내용을 이해 하는데 필요한 모든 연구를 취급하는 과목
1) 일반개론 : 성경의 본문과 성경 전체에 관계된 제목들을 취급하는 것
2) 특수개론 : 성경의 각 책의 저자, 연대 목적, 통일성 등 성경 하나 하나 의 책이나 각 부분에 관한 문제를 다룬것
개론을 처음 사용한 사람 : 안디옥파의 "아드리안"
일반개론과 특수개론을 나눈 사람 : "미카엘 발테르"
[2] 구약성서의 구분
(1) 명칭 : "율법과 예언서와 성문서 집"
(2) 분류
1) 히브리 성서 (24권)
ㄱ. 율법 : 창, 출, 레, 민 , 신
ㄴ. 예언서
a. 전기 예언서 : 수, 삿, 삼 왕
b. 후기 예언서 : 사, 렘, 겔, 소선지서(12권)
ㄷ. 성문서짐 : 시, 잠, 욥, 아, 룻, 애, 전, 에, 단, 스-느(1권), 대
2) 개역성서(39권)
ㄱ. 율 법 : 창, 출, 레, 민, 신
ㄴ. 역사서 : 수, 삿, 룻, 삼상.하, 왕상.하 대상.하, 스, 느, 에
ㄷ. 시가서 : 욥, 시, 잠, 전 아
ㄹ. 선지서(예언서)
a. 대선지서 : 사, 렘, 애, 겔, 단
b. 소선지서 : 호, 욜, 암, 옵, 욘, 미, 나 합, 습, 학, 슥, 말
(3) 마길노트(오축)
아 : 유월절 룻 : 오순절 애 : Ab월 9일 전 : 장막절 에 : 부림절
(4) B.C. 1200년 이전의 단편들
1) 시 : 라멕의 노래 (창4:23)
미리암의 노래 (출15:21)
우물의 노래 (민21:7)
2) 법률 : 십계명, 가나안, 시민법, 유목법전
(5) B.C. 1200 - 1000사이의 단편들
시: 가나안 정주(창9:25-27), 해달의 정지(수10:12-13),삼손의 수수께끼(삿 14:14-18), 드로마의 노래(삿5), 다윗의 무훈찬챵(삼상18:7, 21:11, 29:5)
[3] 구약성서의 세계
(1) 지리적 환경
고대 근동 지역의 기름진 새달 (Fertile Grescent Region)지역에 속하는 비교 적 비옥한 지중해성 기후에 속하는 지역이다.(남서쪽 이집트 경계로 부터 남동쪽 페르샤만까지 연결.
* 시카고대학.J.H. Breasted 교수)
(2) 지정학적 위치
북위20 - 40 동경 25 - 50 사이의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이 교류되는 지역, 정, 경, 문, 교, 군, 예술적인 면의 요충지야, 이곳과 관계를 가졌던 나라들은 이집트, 앗사리아, 바벨론, 페니키아, 시리아, 메데, 페르시아, 그리이스, 로마 등. 3대강(티그리스, 유프라테스, 나일)을 중심으로 일어난 문명들의 교류 통 로이기도 했다.
[4] 구약성서의 형성과 정경화
(1) 구약성서의 형성사
구약은 B.C.1200 - 2C에 걸쳐 기록된 책으로 본다
구약정경의 형성에 있어서 원동핵은 "야웨신앙"이었다. 그들은 이 신앙 때문 에 풍부한 문학을 낳았고 이 신앙을 보존, 전승키위해 애써 수집 편찬했다. 야웨신앙은 구약문학의 원천, 구심력, 집합체
(2) 정경화 과정
1) C.C>Torrey : 신명기 법전 (B.C. 600 - 650), 성결법전 (B.C.550 - 500),
제사법전(B.C.500 - 450)의 순으로 본다
2)R.Pgeigger : 요경은 B.C.400년 예언서는 B.C. 300 - 200년, 성문서는 B.C. 160 - A.D. 100년경에 정경화 되었다고 주장, 이런 비평학자들은 현 구약정경 39권이 마지막 확정된 것은 A.D.90년 Johanan ben Zakkai의 지 도아래 소집되었던 유대인학자들의 공식회의 Jamnia공의회 때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미 유대인 사회에서는 구약성서의 모든 책이 이미 영감과 권위의 책으로 받아 들여졌었고, Jamnia회의에서는 이미 받아들여진 책들 중에서 몇개의 책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유대인 전통에 비추어서 학문적인 토론 을 한것으로 보기도 한다.
1) 모세요경의 형성과정
ㄱ. 모세까지의 구전시대
ㄴ. 모세시대와서 일부분의 오경형성
ㄷ. 일부분 오경이다 전승이 이어져 다윗, 솔로몬시대에 완전히 형성
ㄹ. 정경화 B.C.400년경
2) 예언서 형성과정
ㄱ. 전기예언서는 여호수아, 혹은 사무엘이 기록했다고 하나 확실히 모르 며, 후기 예언서는 예언자 자신의 기록한것도 있고 그 제자들이 기록한 것도 있고 이렇게 기록시대가 있었다.
ㄴ. 이러한 예언자들의 말을 아주 존중히 여기는 시대가 있었다고 본다. 특히 그시대는 이스라엘의 포로시대이다. 그 이후 귀환시대, 말라기 이 후시대에서 수집되었다. 막카비2서 의하면 느헤미야가, 제2에스드라서의 의하면 에스라가, 각각 그때까지 내려오던 예언서를 편집하여 정경화 되기에 이르렀다고 한다.그러니까 주전165년이 넘지 않은것은 이때, 이 미 다니엘서가 출현했기 때문이다.
3) 성문서 형성과정
B.C. 200년에 시작하여 A.D.90년 요나한 벤자카이의 영도아래 얌니아 회의에서 정경으로 확정됨. 각책의 각권이 따로따로 인정된것이 특징. 이 중 에스더, 전도서, 아가서가 최후로 인정. 성문서를 정경으로 받아들여 진 조건은
ㄱ. 무명작
ㄴ. 수명이 길어오래 남아 있었다는 것
ㄷ. 히브리어 기록되었다는 것이다.
(3) 정경의 4가지 요소
1) 하나님의 권위
2) 영감
3) 한정된 범위(39)
4) 불가감성
(4) 정경의 조건
1) 책의 수명이 길어야 한다.
2) 무명작 이어야 한다.(에스라 이후)
(5) 성경의 정경성에 대한 반론
1) 마르시온
율법 중심의 유대교의 창조주 신은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사랑의 신과 양 립할 수 없다고 주장하여 구약의 정경성을 무시했다.
2) 아펠레스
구약이란 "믿을만한 가치가 없는 거짓말로 꾸며낸 우화집"이라고 악평.
3) 하르낙
"A.D.2세기에 구약을 거절한 것은 잘못이었는데, 교회는 훌륭히 이 잘못 을 바로 대처해 나갔다. 16C에 와서도 계속 구약을 고수한 것은 종교개 혁이 피할 수 없었던 일종의 운명이었다. 그러나 개신교가 19세기 이래 구약을 정경으로 보존하려는 것은 일종의 종교적, 교회적 마비증세의 결 과이다."라고 하여 구약은 더이상 기독교 경전이 될 수 없다고 주장
4) 불트만
"기독교 신앙을 위해서 구약은 진정한 의미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다" 라는 극언을 함.
(6) 정경으로서의 구약문서의 범위와 3구분 내용을 알 수 있는 문헌
1) 눅24:44(비교, 마5:17, 눅16:16)
2) 집회서 (Ecclesiasticus : Ben Sioach, Jesus ben Sirah)의 서문 (B.C.130 전후 기록)
"율법서의 예언서와 그 뒤를 이은 후대의 저서들"에 대한 기록
3) 탈무드의 Baba vathra(마지막 문). B.C. 1C- 2C
4) dbeory gkrwk Philo (B.C.20 - A.D.50) 의 저서. On the contemplative life (명상적인 삶에 관해서) 2장 475절에 언급
[5] 구약성서의 외경과 위경
(1) 외경(Apocrypha)
정경밖에 있는 비정경인 것을 뜻한다. B.C.2세기에서 A.D.1세기 사이에 쓰 여진 14권 혹 은 15권의 특별한 책들을 통칭하여 외경이라 한다.
5) 기타성문서
ㄱ. 예레미야의 서신
ㄴ. 므낫세의 기도
ㄷ. 에스더 부록
ㄹ. 다니엘서 부록
a. 앙자리야의 기도와 세 젊은이의 노래
b. 수산나의 역사
c. 벨과 용의 이야기
(3) 외경의 문학적 가치
1) 유대민족의 정치적 변천과 종교적 변화를 서술한 역사문학의 가치
2) 사회적 및 종교적 의무를 취급한 지혜 문학적 가치
3) 하나님의 영광과 대자연의 미를 묘사한 시문학적 가치
4) 민족의식과 애국심을 고취하는 민족문화으로 가치
(4) 외경의 비판
1) 정경과 반대되는 교리와 행위의 교훈
2) 배타적 민족주의를 고취하는 일방적 문학작품
3)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기록한 정확한 역사문화이라고 볼 수 없다.
4) 황당무게한 내용이 많아 건전한 신앙해칠 염려
(5) 위경 (Pseudepigrapha)
B.C.200년 부터 A.D. 200년 경사이에 기록된 유대문헌으로 구약의 정경과 외경에 들지 않은책, 로마 카톨릭에서는 외경으로 받아들인다.
1) 위경의 중요성 : 구약과 신약시대를 연결해주는 다리의 역할.
2) 종류
ㄱ. 에녹의 책
a. 에녹의 책
b. 에녹의 비밀
c. 바룩의 계시
d. 예레미야의 남아있는 말들
e. 모세의 승천
f. 이사야의 순교와 승천
g. 시빌라의 신탁
h. 에스라의 계시
i. 예언자들의 전기
ㄴ. 전설의 책
a. 아담의 유언
b. 아담과 이브의 전기
c. 희년의 책
d. 족장의 유언
e. 욥의 유언
f. 솔로몬의 유언
g. 노아의 책
h. 아리스테아스의 편지
ㄷ. 교훈의 책들
a. 솔로몬의 시편
b. 마케아베오 4서
[6] 구약성서 세계의 언어 (고대 근동지방)
(1) 메소포타미아 지방 (수멜어, 아카드어, 호리어)
1) 수멜어(b.c. 3500 - 2050)
고대 근동지방에서 처음 문자사용, 수메르인, 행정과 경제적 필요성 때문 에 문자 창안, 고어, 바벨론, 앗수르 문헌에서 나옴. 이 수멜어는 어는 문 자와도 혼합되지 않은 특별한 언어. 이 언어로 된 토판이 25만자 발견 95%가 일상생활에 관한 경제적인 텍스트 들이다. 1% 정도가 종교 윤리 문제 다룬 시 문학 형태
2) 아카드어(B.C.3000)
사르곤 1세가 퍼트린 언어. 후에 바벨론과 앗수르어로 나뉨. 문자로 기록 된 최고의 셈어. 바벨론 동편 Zagros산의 Begestum 바위와 Pebpol기념비 에서 최초로 발견
바벨론어 : B.C. 1782. 함무라비가 설립한 제국기간에 사용 (함부라비 법전)
앗수르어 : 바벨론의 영향받음. B.C.612년 제국 멸망과 함께 사라짐. 국제어 로 등장
B.C.14세기 경 고대 근동지방의 국제통용어로 사용. 히브리어 모어 중 하나
3) 호리어
텔엘 아마르나 문서와 BoghatkoY에서 발견된 비문에서 처음 확인. 이 언 어는 수멜어 아카드어 혹은 다른 인도 유럽언어와도 관계가 없는 언어다. 그러나 이 언어가 히브리어에 끼친 공헌은 b.g.d.k.p.t의 음을 부드럽게 하 는데 영향. 이 특징은 다른 셈어가 갖지 못한 히브리어의 특징이다.(B.C.14 - 15C누지토판에서 이 언어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에블라드어
ㄱ. 이집트어
형태상 함족어로 분류. 최종단계에는 곱틱어이다. 후에 이집트의 Christian들이 성서사본을 이 언어로 기록. 이사본들은 N.T.의 본문 비평 에 중요한 가치 지님.
(3) 레반트지방
팔레스틴을 지방으로 한 근동지방, 서북 셈족어로 분류. 아람어는 동쪽, 가나 안어는 서쪽에 영향
1) 아람어
앗수르 제국 시대에 아카드어 대신 국제외교어(공용)사용.(B.C.10C)창 31:47, 라반의 이야기. 에스라. 다니엘의 몇 부분과 렘10:11에도 나타난다.
2) 가나안어
Greek 인들은 페니키아어로 부르기도 했다. 우가릿 문서에 의하면 O. T. 의 시편, 지혜문학에 나타나는 여러 단어와 귀절들이 가나안 문학에 근거 (미리암의 노래(출15장), 발람신탁(출22 - 24장), 야곱축복(창49장).등).
3) 히브리어
여러언어 혼합, 아카드어, 가나안어, 아람어가 융화. 이스라엘인이 고센당 에 있을때 고유형태를 취한것으로 보임. 포로기까지 이스라엘에서 사용한 일상용어. 그후 차츰 종교 영역에 국한 시키고 일상용어로는 아람어를 사 용.
특징 : 시각적, 감정적 요소포함, 활기있고 역동적인 언어. 전형적인 셈어, 어간에 단어의 기본의미가 나타나있다.
[7] 고대근동의 문서들
(1) 고대법전들
1) 우르남무(Ur-Nammu)법전
우르의 제 3왕조의 창조자 우르남무의 법전
2) 에스눈나(Eshnuna)법전
Bilalama법전
3) 리핏이스탈(Lipit-istar)법전
주로 사회법으로서 38개정도 법조문 B.C.1801년경 메소포타미아
4) 함무라비(Hammurabi)법전
모세의 십계)명과 유사한 법조뮨이 들어있고 당시 사회는 귀족, 평민, 노 예의 상계급으로 되어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B.C>1728 - 1686)고대 바벨 론,
(2) 고대문서들
1) Nuzi(누지문서)
B.C.1500 - 1400이락에서 발견. 고대족장들의 생활양식을 말해준다. 특히 Abraham의 후손을 얻기 위한 방법등을 설명할 수 있는 서판.
2) Mari(마리문서)
Nuzi와 같은 시대 B.C.1700 - 1600 바벨론에서 발견. 족장들의 생활 스 타일을 알 수 있고 족장이름(이스라엘, 레위 베냐민)하피루에 대한 언급이 있다.
3) Ebla(에블라 문서)
1863 - 1974년에 발견. B.C.2500 - 2250 사이 문서. 족장들의 지명, 이름 등이 나타나고 있어 구약성서의 역사를 Abraham까지 소급할 수 있게 되었다.
4) The-tell-el Amarna(아마르나 문서)
B.C.14C초의 것. 이집트에서 발견, 가나안, 시리아, 왕들이 이집트의 바로 왕에게 보낸 편지들로서 "아페루(하비루"란 말이 나타난다.(출, 수 연관될 수 있다.)
5) Lachish(라기스 문서)
B.C 6 - 7C. 문서. 유다말기의 상황을 보여줌. 예레미야의 이름도 발견 되어 히브리어의 발달과정을 알 수있고 가나안 종교들도 함께 엿볼 수 있다.
6) 로제타석
1798. 나폴레옹군이 이집트 점령시 종군학자들이 발견. 헬라어 통솔 이집 트어 고대 이집트 상형문자로 새겨진 비석. 고대 이집트 문자 해석의 단서 가 되었다.
7) 에빕타
이스라엘이란 이름이 최초로 나옴
[8] 구약성서의 사본
(1) 기독교 이전의 사본 (The pre-chistian Manuscripts)
1) 사해사본 (The Dead Sea Scrolls : 1947년 발견)
B.C.2 - 1세기판, 본문비평에 중요
단어연구에 유용. 70인역 원본이란 추측도 있다.
ㄱ. 이사야 사본 (IQIS )
사해사본중 가장 중요 B.C.150 -100년 저작추정.
ㄴ. 하박국 주석 (IQpHb)
쿰란 공동체의 특색. b.c.100 - 50년 저작추정.
M.T.본문과 일치 합1-2다룸. 절과 절사이에 주석을 써 넣었다.
ㄷ. 히브리 이사야 사본 (IQISb)
이사야 40 - 66의 대부분 소유
기록연대는 B.C.50년경
# 사해사본의 중요성
단어연구에 유용(M.T.나 Lxx 보다 정확성)
Lxx와 대조결과 Lxx의 원본이라는 추측도 있다. 하박국서 주석은 큼란 공동체의 정보제공
이 사본은 그 어떤 사본에 의해서도 교정이 필요치 않음. 본문비평 에 가장 중요
2) 나쉬사본(Nash papyrus)
쿰란 사본 발견전에는 가장 오래된 구약사본으로 알려졌으나 지금은 사 해사본과 함께 고대 사본중의 하나.
1902년 W.L.Nash가 이집트에서 구입. 캠브리지 대학에 기증. 이 사본은 십계명(출20:2-7)의 일부와 쉐마(신6:4-9)기록. 기록연대는 B.C.100년경. Coross Albright에 의하면 B.C.30 - 50년
(2) 기독교 이후이 사본 (The Post-Christian Manuscripts)
1) 레닌그라덴시스 사본 (Codex Leningradensis : L)
"모세 벤 이쉐르 사본"
구약전권의 사본. 히브리 성경학자들의 표준 성경사본으로 사용.
2) 사마리아 오경(The Samaritan Pentateuch)
사마리아 원본에만 사용된 히브리어 율법서이다.
마소라 성경 이전에 어떤책에 기초한 책이다. 히브리 오경 사본의 수정판, 기록자에 따라 아비사 두루마리라고 한다.
3) 대여박물관 사본 (British Museum Oriental 4445)
오경사본으로 창세기, 신명기 일부상실 A.D.85년경
4) 카이렌시스 사본 (Codex Cairensis : c )
모세 벤 아쉐르가 기록 (895)
5) 성 피터스벅 사본(St. Petersberg Codex)
(3) 기타
1) 맛소라 텍스트 (Massoretic Text)
맛소라의 뜻 : 전통
ㄱ. 맛소라 학파들에 의해 편집된 히브리 성경
ㄴ. 자음 성경에 모음 부호 붙임 (벤. 아셀파의 모음법 확정)
ㄷ. 신교에서 받아들임(구교:Vulgate)
ㄹ. 본문비평에 중요한 자료
ㅁ. 맛소라 학파의 업적
a. 모음표시
b. 케티부 - 케레(본문은 그대로 놔두고 "주"를 달아 수정하여 읽는 방법)
c. 악센트 표시
d. 주해기록
[9] 구약 본문의 전승사
구약원전 히브리어 성경본문의 존재와 범위 : 구약(B.C.2C초 자료)외경 의 집회서 서문에서 확인
A.D.100년 : 자음 본문으로서 경전의 위치로 고정
(1) 코텍스 사본 (Codex)
오늘날의 책의 형태를 갖춤. A.D. 1C 이후
(2) 헥사폴라(Hexapla)
3세기 오리겐의 6단 대조 성경. 638마호멧교도 태움.
(3) 칼레(Kahle)
1890년 이래 발견된 카이로 유대교 회당 창고에서 6 - 7세기 사본 발견. 정리 와 연구로 중요성 인정
(4) 쿰란 사본
1947년 발견. 본문전승 연구에 중요한 역할(사해사본)
(5)마이모니데스(Maimonides) 12C유대교 학자
표준 구약 히브리어 성경본이 있다고 지적. 고센 - 고트슈타인에 의해서 A.D. 900년경 벤 아쉘가문의 맛소라 학자 아론 벤 야쉘에 위해 만들어진 알렙포 사 본이라고 함(the Aleppo Codex)
(6) 알렙포 사본 (The Aleppo Codex)
이스라엘 독립전 알렙포 지방 교회당에 보관 A.D.900. 1947년 반 유대인 폭동 때 1/4분실. 나머지는 현 히브리 대학 구약 원전 성경의 저본으로 사용.
(7) 제2랍버 원전 성서 : 중. 고. 혼성본문
야곱 벤하임이 편집하여 1524년 이태리에서 출판. 공인 구약히브리어. 원전 본 문 키텔(R. kittel)의 히브리어 성경본 B.H.I 판 2판의 저본으로 사용.
(8) B.H.K3
킷텔과 칼레(Kahle)가 레닌그라드 사본 (the Leningrad Codex)을 저본으로 출 판한 구약 원전성경(1927 - 1937)
1951년 알트와 아이스 휄트에 의해 사해사본 자료포함. 중보개선된 제7판 확 정됨.
(9) 레닌그라드 사본
러시아 레닌그라드 시립 공공 도서관에 소장된 벤 아쉘 가문의 구약완질 사본 필사년 1008. 3부 24책 다 포함.
(10) B.H.S.(Biblia Hebraica Stuttgarten Sia)
1968년 이래 (엘리거. Elliger).(루돌프 Rudolph)가 만듬. 레닌그라드 사본과 사본학, 본문비평, 연구자료 쇄신, 대 맛소라 자료 최초 활용된 히브리어 원 전 성경본 1976년에 완간 히브리대학 구약원전 성경 (T.H.U.B.)과 함께 가장 권위
[10]구약 국역사
시편 촬요 : 1898년 서울서 간행. 번역자 알버트 피터스(A.Pieters)
창세기 : 번역위원회 최초 공식 작품, 언더우드, 게일, 레이놀즈.
완역 : 1910.4.2.구약
구역 : 1911.3.9.신구약 합본., 구약 본문 히브리어 원전 25년간 번역
개역 성경 구약본문(현 공인)
1937.9.22. 피터스, 이원모 장로 개역 개선확정.
1938.9.3. 개역 완간 (1953년 한글 맞춤법으로 고쳐 출판)
공동번역 : 1977 부활절(신,구약 총망라)
[11] 구약성서의 역본
(1) 헬라어 역본 (Ghe septuagint or Lxx)
1) 70인역 (Lxx) Septuagint
이 번역 사업은 B.C.3C중엽 알렉산드리아에서 행해졌고 조심스럽고 문자 적인 번역. 편집순서가 히브리 정경과 다름.
Lxx사본은 헬라어판
B : 바티칸 사본 : A.D.325 - 350 신,구약 대부분 수록
시내산 사본 : A.D.325 - 400 신,구약 전부
A : 알렉산드리아 사본 : A.D.450 구약
a. 아퀼라 역본 : A.D .130년경 번역 M.T본문과 일치 지나친 문자적 번역
b.데오도숀 역본 : A.D.2C말 오경에 관심 초기 크리스챤들이 많이 사용.
c.심마케스 역본 : A.D 170년경 A를 재 번역 의미전달에 취중
d.오리겐의 육조경
Orgen이 작성 Lxx역본의 사용들 사이의 상이점 제거에 관심. 638. 마호 멧 교도들이 불태움
(2) 아람어 역본 (The Aramaic Targums)
1)탈굼(Targum)
B.C.100경 회당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히브리어를 아람어로 번역한 것.
ㄱ. 옹켈로스 탈굼(The Targum of Onkelos on the Torah)
모세오경을 아람어로
ㄴ. 오나단 탈굼 (The Targum of Pseudo-Jonathan on the Torah) ; 예 언서
ㄷ. 성문서 탈굼 (The Targum of the Hagiographa)
(3) 수리아 역본 (The Syriac Verion : Peshitta)
1) 페시타 역(Peshitta)
2) A.D. 150년 메데사에서 행해진 신, 구약 성서의 시리아어 번역서이다.
3) 문자적인 면과 자유스러운 면이 잉ㅆ다.
4) 가장 오래된 것은 A.D.464년의 것
(4) 라틴역본 (The Vulgate)
라틴어, 히브리어, 원문에서 번역.
제롬(Jerom)의 라틴어 번역판, A.D.405년에 완성 외경포함. 1546.4.18 트렌트 횡의에서 카톨릭 교회의 진정한 성경으로 공포, 그러나 어거스틴은 별로 인정 치 않음.
[12] 구약성서비평
(1) 본문비평(Textual criticism)
1) 목적 : 원문이 없고 사본만 있다. 좀 더 원문에 가까운 접근을 시도하는 방법, 본문의 원래 상태를 회복하는 것.
2) 이유 : 잘못된 텍스트들이 있기 때문이다. (R,E.Clements)
ㄱ) Umintentionel changes(의도적으로 한것이 아니것이 있다)
ㄴ) intentionel changes(의도적으로 한 것이 있다)
3) 방법 : ㄱ) MT, LXX, 시리아, 벌가타, 탈굼 등을 수집해서, 비교, 일치된 것은 통과
ㄴ) 다른 본문 나왔을 경우 검토
ㄷ) 이중 어느 것이 원문에 가까운가 결정
4) 기준의 원칙 :
ㄱ) 외적인 기준 a) 사본과 역본의 가치가 같지 않다.
b)본문가운데많이나온단어나문장을더가치를둔다 ㄴ) 내적인 기준 a)좀더 어려운 본문에 더 가치. 우선권을 둔 다 - 서기관들이 휩게 해석했기에
b) 좀더 짧은 본문을 더 선호
# 본문 비평은 내적인 기준에 더 치중하는 편
(2) 문서(문헌) 비평 (Literary criticism)
1) 정의 : 성서를 하나의 문헌으로 보고 문헌의 구성, 단어 등을 연구하는 것 - 저자, 연대에 큰 관심 (대표학자: 벨하우젠 (J.E.D.P)
2) 문헌비평의 실례 : ㄱ) 평행기사의 비교
ㄴ) 결합된 기사의 구분
ㄷ) 문헌 용어의 식별
ㄹ) 문학구성의 통찰
ㅁ) 다양한 관점의 확립
ㅂ) 구범적 주지의 추적
(3) 양식비평(Form Crticiwm)
1) 정의 : 문헌비평은 기록된 문서에서 시작하나 양식비평은 구두전승에서 시작하는데 구약성서 문학을 그 문학 형태와 장르의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해석하려는 방법, 문서의 장르를 연구하는 것 (대표학자: 궁켈 - 시편, 창세기연구)
2) 근본원리와 목표 :
ㄱ) 원리 : a. 구약성서 문학이 오래되고 복잡한 구두전승을 가지고 있다,
b. 장르의 역사, 구두전승, 관심
c. 각 장르의 특정한 배경, 삶의 배경을 연구
ㄴ) 목표 : a, 구약성서 문학의 완전하고 살아있는 역사를 재생,특히 발전 의 구두단계에 대한 통착을 획득하는 발전과정을 이스라엘의 삶의 상 황가운데 두고자 시도한다.
b,본질적으로 주석의 한 방법이다.
3) 분석의 단계 - ㄱ)구조
ㄴ) 장르(문학의 유형)
ㄷ) 배경(삶의 자리)
ㄹ) 의도
# 양식비평은 다른 비평과 연관지어서 사용해야 함
# 양식비평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 - 문서 이전의 구두전승이 어떻게 발전해 서 문서화에 이르러서 어떻게 본문이 형성되었는가를 알 수 있음
(4) 전승사 (Tradition History)
1) 정의 : ㄱ) 전승발전 과정을 재구성해 보는 것
ㄴ) 양식, 편집비평의 중간과정에서 전승과정에 관심을 가짐.
2) 전승을 형성하는 4가지 요소 :
ㄱ) 제사장무리(집단)
ㄴ) 전승의장소(세겜-계약전승, 예루살렘-시온전승, 북왕국 -출애 굽전승 등
ㄷ) 삶의 자리 - 사회학적 역학관계
ㄹ) 전통의 주제와 주지 - 폰라트. M, 노트.
3) 장점 : 이스라엘의 발전과정을 알 수 있다.
(5) 편집비평(Redaction Criticism)
1) 정의 : 전승이 어떻게 종합되어서 - 수정 - 편집되어서 최종 형태의 본 문을 형성했는가를 연구하는 작업, 편집원리, 목적 등에 관심.
(6) 그의 비평학(경전비평, 구조주의, 문학적방법, 수사비평, 사회적비평 - 공시 적방법들)
1) 경전비평(Canonical Criticiwm)- 본문, 문서, 양식, 전승, 편집비평, 즉 역 사 비평방법론에 따라서 어떤 주제나 사건을 파악함 (대표학자 : B.S,Childs)
# 역사비평방법론(통사적방법): 성서 원래 저자가 무슨 텍스트를 어떤 원리로, 어떤 의미로정했는지를파악함,성서이면에구두전승-문서- 현재(편집비평)까 지를 연구하는 방법(선택 - 어느것인가?)
# 공시적 방법: 어떤 주제, 사건을 보아서 연구하는 것(미래상관없이) 본문의 최종결론에 관심을 가진(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본문이 우리에게 주는 의 미를 찾는 방법 -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다.
# B.S. childs - '본문 자체만 읽지 않고 다른 본문과 같이 읽을 때 그 뜻(신 학적 의미)를 알 수 있다,"고 함
(2) 구조주의(Structuratism)
a. 불란서 언어 학자들이 사용
b. 역사비평방법론으로는 구두본문의 깊은 의미를 찾을 수 없다고 함.
언어의 구조 체계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함
c. 다소 무리가 따른다.
(3) 문학적 방법(Literary Approach)
a. 성경을 문학작품으로 보는 방법, 북미, 이스라엘, 영국에서 시도
b. 본문 자체의 중요성을 강조
c. 단점 : "문학작품을 연구하는 이론을 성서연구에 적용시킬 수 있겠느냐" 는 점
(4) 수사비평(Rhetorical criticism : 대표학자 - j.Muilen, burg)
a. 문서, 양식비평은 성서기원에만 관심을 두는가? 많은 가설이 있는데 왜 최종본문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가?
b. 방법 - 텍스트 나체안에 텍스트를 보면서 수사법을 모아서 중요한 수사 기능을 통해서 단란을 구분 - 구조분석 - 중심단어, 주제, 끄집어냄.
(5) 사회학적 비평(Sociological Approach :대표학자 R.R. Wilson)
성서연구에서 구약은 고대 이스라엘의 사회조직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사 회적인 문제를 조직화 한 것이 구약성서이다. 따라서 사회적인 상황을 알아야 만 본문의 의미를 알 수있다고 하는 것
제 2 장 구약신학사
[1] 서론
구약신학의 출발점은 구약의 목표가 신약에 놓여있음을 인식하는 것(프리젠)
1) 구약신학의 과제
구약을 신약이 증언하는 메시야 즉 예수그리스도와 불가분의 연속 선상에 서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
2) 구약은?
하나님의 위대하신 구원경륜의 역사를 통해서 예수그리스도가 무엇하는 직무인가를 인식케, 메시야의 직무를 통전하여'오실 그분'으로 종말론적 메시야를 약속하심.
3) 신약은?
구약에 약속된 그리스도가 바로 나사렛 예수임을 확증. 그러므로 창조로 부터 시작하여 새 계약을 향해 계속 진행되는 구원사의 경륜은 예수그리 스도의 사건에서 완성되고, 새 하늘과 새 땅으로 종말을 보게 됨
# 새로운 계약이 있기까지
아담과 행위계약, 노아와 무지개 계약, 아브라함과 할례계약, 모세와 율법계약, 다윗과의 왕권계약이 있었으며 바벨론 포로를 통한 하나님의 용서의 역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온전성 속에서 구약을 보아야 한다.
[2] 구약신학의 학문적 과제
윌러(Oehler)의 지적대로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경륜에 관한 "유기적이며 역사적 인식"을 획득하려는 것이다.
문법적 역사적 주석에 기초. 구약이 기록될 당시의 역사적 정황과 기록자들 의 조건을 고려하면서 신약과의 관련속에서 오늘날 재현하는 과제를 가진 역 사적 학문이다. 그리이스 고대 히브리 민족종교나 유대교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구약신학은 신약이 구약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떠나서는 성립할 수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건없는 해석은 공허하고, 해석없 는 사건은 맹목적이기 때문이다.(구속사를 탈 역사화 하거나 비신화화 하여 실존적 의미로만 환원시키는 것은 신구약 계시의 엄연한 역사성과 하나님의 구원 경륜의 주권을 손상시키는 일이다.)
[3] 구약 신학의 제문제
O.T 와 N.T는 서로 유기적인 관계속에 연속성과 불연속성이 있다.
1) 불연속성
구약을 낮게 또는 불인정하는 것 (마르시온, 하르낙, Bultmann,Baumg -artel)
2) 연속성
신구약사이에 나타난 통일성을 강조하는 것(다양성)
ㄱ) 기독론 적 : 그리스도가 중심(피셔)
ㄴ) 유형론 적 : 신, 구약의 유형이 같은것을 중심 (아이히로트)
ㄷ) 약속과 성취 : 구약이 신약에 성취됨(침멀리, 폰라드)
ㄹ) 정황의 문제 : 구약의 정황이 신약에 나타남(볼프)
(2) 구약신학의 방법론
1) 교위학적 방법론(Georg Loren)
수직적인방법. 하나님의 계시, Text 자체에 중범. 인간의 실증문제 무시. 주제는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구원등이 주축을 이룬다.
2) 역사적 방법(가블러, 브레데, 쉬텐탈, 야곱, 라이트)
행동하시는 하나님 종교사 중심의 연구. 과거의 의미와 현실에 주는 의미 에 관심. 역사성이 무시될 위험성.
3) 고백적 방법(아이스 펠트, 나이트, 프리첸)
주관적이고 계시중심적인 방법, 과거의 의미와 현실에 주는 의미에 괸심, 역사성이 무시될 위험성.
4) 교차 분할적 방법(아이히로트)
통일된 개념에 관심. 중심점 찾아 주제별로 연구 역사성 약화, 주관적이기 쉽고, 인위적인 면이 나타날 가능성, 각책의 개별성이 무시되기 쉽다.
5) 통시적 방법(폰라드) - 역사성 인정
구약의 역사를 시대적으로 꿰뚫는 관심에서 연구하므로 전승중시, 구속사 중심연구, 일반사와 구속사를 연결하므로 주관적으로 흐르기 쉽다.
6) 새로운 성서 신학적 방법(J. Bright, B.C.차일즈)
신구약의 관계에서 연구
7) 사전 편수직 방법(R. 키텔)
언어 중심의 연구이므로 단어, 문장의 의미에 치중
8) 사회학적 방법(코스왈드)
사회적 관심에서 연구
[5] 구약신학사 개관
(1) 그노시즘(2세기)
구약의 내용을 비판하기 시작. 구약의 신은 악신
(2) 말시온(2세기 경)
Gnosticism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음.
1) 구약성서를 열등한 것으로 봄(구약의 하나님은 율법의 신)
2) 신약에서 유대적 요소를 제거하려고 함.
(3) 시몬
율법서, 선지서가 하나님으로 부터 영감된 것을 부인
(4) 사토니누스
예언들 가운데 어떤 것은 사탄으로 부터 생겼고, 어떤 것은 세상을 창조했던 천사들의 입술을 통해 주어졌다고 가르침.
(5) 발렌티누스
1) 구약 본문의 내용을 공격.
2) 오경과 선지서의 어떤 부분은 가짜.
(6) 프톨레미
1) 모세의 오경 저작설 부인
2) 오경의 편집 주장.
(7) 켈수스
오경의 저자는 여럿일 것이다,(오경의 편집 주장)
(8) 제롬
1) 다니엘서의 다니엘 저작설 주장
2) 오경의 모세 저작설 인정
(9) 아드리안
1) 개론(introduction)이란 개념을 처음 성경연구에 적용
2) 신인동형 동성론, 신인 동감설
3) 성경의 형태(from)를 역사적인 것과 예언적인 것으로 구분.
(10) 이븐 하젠
1) 구약 연대에 중요한 오류가 있다고 생각
2) 오경의 많은 부분이 에스라가 쓴 것이라고 주장
(11) 이븐 에스라(1092-1167)
1) 오경의 모세 저작성 인정(후에 삽입된 부분이 있지만)
2) 이사야서의 마지막 26장이 B.C 8세기에 쓴 것이 아니라 그 후에 다른
사람에 위해 쓰여졌을 것이라고 시사.
(12) 니콜라스
1) 알레고리 해석은 반대
2) 분명한 문자적 해석을 하려고 노력
(13) 마틴 루터
1) 성서 연구의 자유성 주장(교회의 전통으로부터)
2) 구약중 그리스도 중심. 신학에 맞지 않는 것은 빼어버림.
3)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주장.
(14) 칼빈
1) 성경의 영감설을 철저히 고수
2) 신, 구약 성경의 영적 통일성 주장
3) 성서 계시의 발전을 인정
(15) 크리스터만
1)" 독일 성서 신학"(1629)저술
2) 처음'성서신학'이란 용어를 사용
(16) 미카엘 발테르
1) 성경 영감론 주장
2) 일반개론과 특수개론을 분명히 구별
(17) 코카이우스
1) 성서 계시의 성경 규명을 구약 신학적 입장에서 처음으로 천명.
2) "계약신학"(The Covenant Theology)을 전개
3) 자연계약과 은총계약으로 구분.(유형론적 성서해석법)
(18) 스페너
1) 경건주의의 창시자
2) 성서신학을 가지고 개신교 스콜라주의를 공격
3) 성서신학을 가지고 교리의 정통적인 체계를 반박
(19) 스피노자
1) 초자연주의의 기독교 원리를 반대
2) 창세기부터 열왕기 까지의 책들을 에스라가 편집한 것이라고 한다.
(20) 리챠드 시몬
1) Canon의 역사적 발전을 주장
2) 오경의 모세 저작설 부인.
3) 구약의 역사서들은 공식 연대기에서 발췌한 것.
(21) 부싱
처음으로 성서신학이 교위학과 동등하다고 보여줌
(22) 젬러
1) 하나님의 말씀과 성경은 전혀 동일하지 않다.
2) 성경도 다른 문서와 같이 역사적 또는 비평적 방법을 가지고 연구해야 한다.
3) 히브리 성경은 그 내용이 역사적으로 발전하여 확정된 것.
(23) 아이히 호른(고등 비평의 아버지)
1) 현대 역사비판적 구약개론을 제일 처음 세움.
2) 역사 비판적 방법
3) 구약을, 기록 당시의 상황과 밀접한 관계속에서 읽어야 하며, 종교적인 면 이외의 연구를 강조한다.
(24) 가블러
성서 신학이 교의학에서 결별할것을 선언.
(25) 바우어
1)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을 구분
2) 가블러의 성서신학의 역사적 성격과 그 과제를 구체화한 최초의 성서 신 학자.
(26) 데베테
B.C.621년 요시아 종교개혁 당시 발견한 율법서가 곧 오늘의 신명기(12-26)와 동일하다.
(27) 파트케
1) 계시 발전강조
2) 헤겔의 정반합의 이론을 받아들인 최초의 사람
(28) 에발트
1) 창세기의 통일성을 강하게 옹호
2) 오경중에는 E문서, J문서, 혹은 신명기에 소급할 수 없는 단편들이 있다 고 주장.
(29) 후벨트(후(ㅂ)펠트)
1) 에발트의 견해를 수정, 소위"결정화 가설"
(The Crystallization Hypothesis)을 주장.
2) 창세기의 기본 문서는 두 저자의 문서가 합해진 것.(엘로힘I과 엘로힘II로 구분)
(30) 그라프
후(ㅂ)벨트의 견해를 수정, 첫째 엘로힘 문서가 가장 후기의 것.
(31) 헹그스텐 베르그(보수주의 대표자)
1) 고등비평적 방법에 반발
2) 계시의 발전을 부정.하나님의 계시는 처음부터 완전한 것.
3) 영해를 해석 방법으로 채택
(32) 호프만(폰라드에 영향을 끼침)
1) 구약성서를 "구원사(redemptive history)"라는 관점에서 관찰
2) 역사와 예언을 밀접히 연관시켜서 예수그리스도는 역사의 최종 목적지라 고 주장
(33) 욀러
1) 구약신학의 과제는 구약속에 담긴 종교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생겨났는지 를 밝히는데 있다고 보았다.
2)기독교를 계시사(史)의 궁극적 도달점이라고 단정
(34) 디스텔
1) 구약신학 연구의 3가지 방법을 제시
첫째, 역사 문화적 배경을 연구하는 방법
둘째, 종교철학을 응용하는 방법
세째, 구원사적 입장에서 구약신학을 연구하는 방법
2) 하나님의 계시가 가장 완전하게 나타난 곳은 예수그리스도
(35) 벨하우젠
1) "발달가설"주장(오경의 자교들을 분석)
2) P문서 최후대설 주장.
3) 이스라엘 종교사 연구는 곧 구약신학의 연구
(36) 리임
1) 벨하우젠 학설 반대.
2) 구약신학의 가치를 이스라엘 종교사 연구와 구별해야 한다고 주장
(37) 딜만
이스라엘 종교는 특이한 성경의 종교이므로 역사주의적 원칙을 천편일률적으 로 적용할 수 없다.
(38) 데이비드슨
1) 구약신학은 구약 종교의 역사적 발생학적 양상을 연구하는 학문
2) 구약신학의 과제는 장차 신약에 나타날 그림자요 대표로서의 구약역사와 제도 및 생활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
(39) 스미스
근동의 타종교와 비교,유비(類比)를 통해 히브리 종교의 본질을 찾으려고 함.
(40) 궁켈
1) "양식사학파"(Form-Geschichtliche Schule)를 형성.
2) 각각의 문학 양식들이 자라난 그 "삶의 자리"(Sitz-im-Leben)를 고찰함 으로써 히브리 종교사상의 근본을 찾아 낼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 대상으로 산문체 자료로서는 창세기, 시문학의 자료로서는 시편을 선정했다.
(41) 모빙켈
1) 제의(cult)사학파.
2) 시편의 모든 시는 제의적 목적에 따라 쓰여졌지 개인적 목적으로 쓰여진 것은 거의 없다고 주장.
(42) 스토이 에르나겔
1) 구약성서라는 것은 그 기능으로 볼 때 역사서술을 하는것이다.
2) 구약성서 신학의 성격은 구약역사 서술을 동시적이며 통시적으로 보아야 한다.
3) 하나님의 역사를 전부 궤뚫어 보고 함께 보아야 한다.
4) 이스라엘 종교사와 구약신학 회복 주장.
(43) 아이스펠트
1) 양식 비판과 문서비판(벨하우젠)을 같이 사용.
2) 역사적 해석과 신학적 해석, 인식과 신앙, 역사와 계시 사이의 엄격한 구 별을 주장.
(44) 젤린
1) 종교사 연구와 구약신학은 분리할 수 없는 기독교 신학의 분야라고 주장.
2) 그의 구약신학은 "종교사적 기초 위에선 구약신학"이다.
(45) 아이히로트
1) 역사의 현상 보다는 역사배후의 신앙세계가 가진 통일된 주제를 찾아서 그 주제따라 구약종교의 본질을 규명히 보려했다.
2) 구약성서의 중심사상을 "계약"이라고 보았다.
3) 구약 종교의 내용: 전체적으로 신앙세계인 것으로 보았다.
(46) 쾰러
구약의 중심사상을 하나님의 통치왕국(Divine Kingdom)의 개념, 즉 하나님의 주권 개념으로 보았다. "주"개념.
(47) 피셔
1) 구약성서의 그리스도 증거.
2) 구약종교의 완성은 기독교 안에서 이루어졌다.
(48) 프리젠
1) 교회와 구약과의 관계를 설명.
ㄱ) 구약성서도 기독교회의 경전이요, 하나님의 계시의 책.
ㄴ) 구약은 예수증거의 기본자료, 초대교회 신학형성에 중십적 역할.
ㄷ) 구약계시의 역사적 발전주장(구약=신약)
ㄹ) 구약 각문서의 사상적 구조를 밝힘.
2) 특히 J.E.D.P.의 사상적 구조를 밝힘.
J : 구원사상.
E : 선택사상.
D : 선민의 웅보사상.
P : 제의를 통한 종교사상.
(49) 바브
1) 성서에 대한 비평적, 분석적 방법을 비판하고 그 종교적 동기에 더욱 관심.
2) 구약의 독자성과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 및 경전성을 주장.
(50) 라이트
1) 행동하시는 하나님.
2) 구약 신앙은 홍해의 구원사건, 시내산 계약 사건과 같은 신의 "능력의 행 위"에 대한 낭송(recital)으로 구성된 것.
3) 즉 히브리인의 신앙을 신앙고백적인 것으로 만들어 버림.
(51) 야곱
1) 구약성서 신학을 역사적이고 서술적 원칙에 따라 파악했다.
2) 구약의 신앙은 역사상에 나타낸신 하나님의 행위에 대한 '응답'에 근거하 고 있다.
(52) 바움 게르텔
구약의 특성은 '약속'을 답고 있다는데 있다.
(53) 폰 라드
1) 알트노트(Alt-Noth)의 전승사 연구와 헤르만 궁켈의 양식사적 연구에 기 초하여 구원사적 방법 수립.
2) 육경(Hexateuch)은 서로 모순되고 피차 갈등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여러 전승층의 고백들이 배열된 것.
3) 계시는 그리스도 사건의 대표.
4) 구약성서는 하나님에 의해 결정된 역사를 증언하는 역사책이다.
5) 구약신학을 신앙고백 차원에서 이해.
(54) 나이트
1) 구약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평가.
2) 철저한 기독론적 해석.
3) 행동하시는 하나님을 강조.
(55) 바아르
1) 어의 (語義)를 추구하는 방법을 강조.
2) 성서적 진술(statements)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
(56) 챠일즈
1) 정경비평.
2) 기독 교회 정경을 성서해석의 합당한 본문으로 인정해야 한다.
제 3 장 모세오경 개론
[1] 오경의 명칭
Origen이 오경이라고 최초에 불렀다. B.C 400년경에 정경이 된 다음 율법 모세의 율법이라고 불리워졌다. 오경 (Pentateuch)란 말은 Origen(A.D.185 - 251)이 요4:25 주석에서 처음 사용.
본래는 연속적인 한작품. B.C 4C경에 오경으로 분류. 그 중 신명기 만은 별개의 책이었다. 오경의 정경인정후 오경의 저자는 모세라고 믿어왔으나 A.D.1C경 부터 의심과 반대가 일어왔다. (오리겐, 터툴리안) 11C 랍비 Ibn Exra,17C(영국철학자) 홉스(T. Hobbes)와 화란 철학자 스피노자(Spinoza) 등도 모세저작설 부인.
본격적인 비평연구는 18C 프랑스 의사 아스트룩(Jean Astruc)으로 부터 시작 그 이후 아이히 호른(G.E.Eichhorn 1752 - 1827), 드베테(DeWette), 후펠트(H.Hupfeldt), 아이스 펠트( Eissfeldt. 최신 문서설)에 까지 이른다.
(1) 벨하우젠의 학설(가설)
오경은 모세가 쓴것이 아니라 4가지의 중요 자료가 진화적으로 발달하여 형성. 신명기 기준으로
1) J문서 (B.C. 850)
2) E문서 (B.C.750)
3) D문서 (B.C.621)
4) P문서 (B.C.400 or 450)
J.E.D.P의 4자료와 그 연대순 결정을 그라프 벨하우젠의 학설이라 부름.
1) 벨하우젠의 업적
J.E.D.P문서의 시대적 순서확립. 이스라엘 종교사가 곧 구약신학의 연구.
[2]오경의 자료층
(1) 야웨(J)문서
하나님의 명칭Jahweh,기록장소 Judah(남왕국)라는 추측에서 부른 이름
야웨문서의 내용은
ㄱ) 원역사
ㄴ) 족장역사
ㄷ) 출애굽: 가나안 정착
ㄹ) 신학은 구원사상, 민족사상 : 이스라엘의 민족주의 창조, 평화사상강 조. 독특한 하나님의 구원사를 보여줌.
(2) 엘로힘(E) 문서 - 신정사상, 창조사상, 창조신앙.
E문서는 출3장, 시내산 계시 이전에 하나님을 엘로힘이라고 부른 사실과 기록장소가 북 왕국 에브라임이라는 사실에서 붙여짐. 인물 묘사와 장소의 흥미가 북 왕국과 관련 맺고있다. E는 완전 독립된 이야기의 저자라기 보다는 J문서를 거의 그대로 전승, 군데 군데 E 자신의 특수자료와 신학사상 삽입.
1) E의 문학적 특징.
ㄱ) 하나님 : 엘로힘.
ㄴ) 가나안 : 아모리인
ㄷ) 시내산 : 호렙산(조직적, 인물묘사 J보다 노골적)
2) 신학사상
강력한 신정통치, 초자연적 게시, 선민사상이 J보다 더 명확, 제사의식에 관심. 예배처소 분산
(3) 신명기 법전(D)
제 2의 율법, 반복이란 뜻.
요시아 왕 18년 (B.C.621) JeruSalem에서 발견된 율법서로 봄.
특색 : 야웨 유일신 사상. 예배처소의 통일성. 예언자적 이상.
(4) 제사법전(P)
"제의" 예배의식, 제사규례에 많은 관심(Priestyt Code)바벨론 포로 귀한 후 예루살렘에서 B.C470 - 400 사이의 기록
특색 : 예배처소 통일, 유일신 사상,제사의식.
(5) J.E.D.P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ㄱ) 성서가 편집된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환경을 알아볼 수 있다.
ㄴ) 이스라엘 종교가 발달된 과정을 알아 볼 수 있다.
2) 단점
구전의 단계를 무시했다.
[3] 오경의 비평사
에스라 시대에는 오경은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내리신 권위있는 계시라고 생 각했었다는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물론 그 이후로도 유대, 이스람, 기독교 까지 모세를 하나님에 의해 계시된 율법의 중보자로 받아들였을 뿐 아니라, 오경 전체의 저자를 모세로 생각해왔 었는데 요셉푸스나, 필로같은 사람은 모세가 어떻게 자기의 죽음을 묘사할 수 있었겠느냐 해서 의심을 했다.
(1) 비평의 시작(첫2세기)
1) 나사렛 교도 : 다메섹 요한의 인도 모세의 오경저작을 최초로 의심함.
2) 셀슈스와 프톨레이(145 - 180) 문학성의 통일성을 의심.
3) 클레멘트 : 모세가 입으로 반포한것을 글로 옮기는 과정에서 틀린 내용이 섞였을 것이라고 생각.
4) 에비온파 : 오경중에 모세의 것이 아닌것도 있다고 함.
(2) 3세기 - 종교개혁까지
1) 풀피리(232 - ?)
반기독교 변증가로써 모세가 오경의 저자가 아닐것이라고 함.
2) 쥴리안
모세의 창조설 부인
3) 제롬 (? - 420)
모세를 오경의 저자라 하든, 에스라가 편찬을 했든 연대는 "오늘"이라고 함. (창35:4,34:5-6로 논란)
4) 아나스타시우스
7세기말 안디옥의 감독, 창세기의 모순 발견
5)이븐하젠(994 - 1064.A.D.)
이슬람교회 옹호자, 오경 가운데 많은 부분을 에스라가 저작했다함.
6) 이븐에스라
창22:14,신1:1, 3;11등의 귀절을 통해 모세저작설 부인.
7) 이삭
랍비로써 창36:31은 적어도 여호사밧의 시대의 연대로 잡은자.
8) 안드레이스 보덴스테인
루터와 동시대 인물 1480 -1541.
모세의 죽음의 기록을 놓고 의심함.
9) A.Du.마이스(로마카톨릭 주석가)
창14:14,신34:1,창13:18,23:2 등에 나오는 지명이 모세시대의 지명이 아니라 후기 서기관들에 의해 쓰여진 것이므로 모세오경을 에스라의 편집으로 보 았다.
(3) 종교개혁부터 - 19세기까지
1) 안드레이스 마사우스(? - 1574)
에스라와 그의 협력자들이 영감을 받아 모세가 기록한 책에 어던 삽입을 가한것으로 봄.
2) 쟉크 봉페르
예언적 성질의 것은 후대인이 기록한 것이다.
3) 베네딕트 페레이라(1535 - 1610)
오경의 대부분이 모세가 기록했으나 가필되었다.
4) 토마스 홉즈
"리바이단(1651)"책에서 모세의 저작을 인정받으나 어떤부분은 모세에 관 하여 기록된 부분도 있다고 봄
5) 이삭페이레리우스(1655)
모세가 주요사건의. 읽기를 보관하고 있었으나, 분실된 후 지금의 것은 그 것을 발췌하였으므로 모세이후의 것으로 봄
6) 베네딕트 스피노자(1632 - 1679)
민12:3을 가지고 문제 삼았으며, 신명기 마지막장도 편집자 에스라가 기재 했으리라고 추측을 함.
7) 비터
1711년 창조의 두병행기사(창1;1 - 2 -4a, 2:4b-3:24)에서 서로 다른 두 신 명이 독립적으로 쓰인것을 주목하여 최초로 신명을 기준으로 자료로 구분 함.
8) 아스트룩(불란서 의사 1753)
오경안에 야웨, 엘로힘, 이름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하고 오경의 이런 부분을 자연히 따로 불리해야 한다고 했으며
E 신명을 쓰는 문서를 - A(원문서)
J 신명을 쓰는 문서를 - B문서라고 명명함
# 모세의 저작설을 전면적으로 부인하지 않았지만 이때부터 구문설이 성립하 기 시작함.
9) 아이히 호른(1752 - 1827)
"구약개론"에서 아스트룩의 두문서 가설을 받아들여 그 문서를 각각 신명 의 두 문자로서 J, E문서라고 명명하고 기타 단편 자료를 확인했다.
#고등비평학의 아버지라고 불리움.
10) 일겐(구 문서설의 학자 1763 -1834)
아이히 호른의 제자로써 창세기에 17가지의 별개의 문서가 있다고 결론 짓고 E1- 10항 E-5항, J1- 2이 있다고 보았고 J의 통일성도 의심하여 J2의 가능성도 인정했다.
[4] 19세기의 중요문서설
(1) 단편설
19세기초가지 비터, 아스트룩, 아이히호른, 일겐의 구문서설은 E자료층이 2개, J자료층이 1개로 보았는데 더 나아가서 여러가지 단편(조각)들이 모아져서 이루어졌다는 설.
1) A.게데스(스코틀랜드 신부)
1800년대 각각 다른 학파에서 유래한 많은 조각들이 J와 E의 편집자들에 의하여 수집, 솔로몬 통치때에 지금의 모습으로 하나로 합해졌다고 보았다.
2) 파텔
오경은 주로 무관된 단편으로 편집하였다. (구문서설의 약점지적, 신명기 법전 중심으로 36개의 독립된 단편자료들로 성립.)
3) 더베테(1780 -1849)
오경안에는 시대를 달리하는 많은 법규들이 있으며 신명기 법전은 B. C.621년에 발견된 현재의 신명기라고 단언함. (율법, 자료들은 비교적 후 대에 삽입된것으로 봄)
(2) 보충설
엘로힘 기초문서를 가지고 후에 J와 미와 다른 자료가 보충되었다는 설 (단편설에 회의를 느낌)
1)에발트(1805 - 1875)
오경에는 한 기본적인 핵심문서가 있다고 보고 그것을 E문서라고 했고, 이 핵심문서 주변에 J자료들이 보완 첨가되었고, 후대의 편집자로서 오늘의 모습으로 편집했다.(183년에 주장. 후에 결정설을 주장함.)
2) 그람베르그(1829)
오경이 구전에서 성문화 과정이 있었을것일것이라고 했고 이것이 다윗과 히스기야 시대 중간인 어느시대에 형성되었다가 J와 E문서의 결합시에 보충되었다.(1835)
3) 파트케
율법은 모세시대의 것이 아니고 요시야 재위시위 발전된것으로써 출애굽기 법전의 일부들이 혹 있다.(신명기는 요시야 종교개혁이후, 마지막 부분은 포로기 이후에 기록된것으로 보았다.)
4) 블레크
오경의 많은 부분은 모세가 많이 기록했으나 E가 가필했고 여기에 J가 가필, 왕국 분열 이전에 편집되었고 신명기는 예레미야가 편집한 하나의 독립된 문학단위. 유다왕국말기에 신명기와 여호수아가 편집. 요시아때 발견된 것으로 보았다.
5) 프란즈 텔리취
1852년 창세기 주석에서 신명기와 출애굽 14 - 24는 실재로 모세의 저작에서 나머지 율법도 모세가 기록한 것이지만 법전에 편집된것을 가나안 정복후로 보았다.
(3) 결정설
1) 에발트(보충설을 주장했던 사람)
구문설과 보충설의 입장을 조합하는 설.
원래 모세가 기록한 단편으로 된 십계명과 율법이 있었고, 사사시대에 신명기의 일부가 단편적으로 기록되었다. 다윗 솔로몬 시대에 주로 연대기를 다룬 E1이 기록되었는데 분열 왕국시대에 신학적 내용을 다룬 E2가 기록되어 E1과 결합되었고, 제 3의 문서 J는 모세의 역사를 다룬것으로 8세기의 것이며, 제 4문서는 선지자 설화자의 예언적 성격을 띤것이며 제 5문서는 웃시야 요담때의 J전승을 이은것, 이것을 편집자가 주전 6세기경 포로기에 이상의 문서와 자료를 하나의 문학단위로 편집했다고 함.
2) 크노벨담스
E자료에 J자료가 결합되었으며, 신명기도 예레미야시대에 결합된것의로 보았다.
3) 쉬데타
E1,E2를 J가 하나로 편집했으며, 신명기가 다른 사람에 의해서 첨가되었다고 함
(4) 신문서설
1) 후펠트(1796 - 1886)
J자료의 단편설, 내지 보충설반박. E1이 원자료이며, E2는 그 후대이고 그리고 J인데, 이자료가 현재의 모습으로 합해졌으며, 신명기는 도입 자료로 보았다.(오경에서 편집자 역할 강조함.)
E1 - E2 - J - D.
2) 딜만
그는 연대 순서를 P,E,J, D로 보았다.
(5) 발달설
1) 바트케
율법의 국가성립 당시가 아니고 오랫동안 역사와 함께 발전된 역사의 산물이라고 하면서 오경도 이스라엘의 역사와 함께 히브리 종교가 발전하면서 발전된것이라고 보았다.(역사발달설 주장)
그래서 J와 E는 초기원시적 예배행위의 산물이고 D는 후기 예언적 가르침과 윤리적 교훈의 산물이며 P는 제의적 종교 발전시대를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2) K.그라프
후펠트가 주장한 E1 - E2 - J - D를 E - J - D - P로 수정함.
그런데 이 문서 발달설을 정리한 사람은 J.벨하우젠이란 사람인데 그는 초기에는 오경이 J와 E가 각각 독립된 자료로 전승되어오다가 J는 B.C850년 남 왕국에서 E는 B.C.750년 북왕국에서 편집, 그후 이 두자료가 B.C650년에 익명의 편집자에 의해서 JE로 결합되었고, D는 B.C621년 요시야 종교개혁의 산물로 보았으며, 이것이 또 다른 편집자에 의해서 B.C550년에 편집되어 JED가 되었고, P자료는 B.C500 - 450년에 제사장 그룹에 의해 형성되어 약 400B.C에 현재의 JEDP가 되었다가 B.C200년경에 비로써 오늘의 오경의 모습이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6) 최신문서설
J벨하우젠의 J - E - D- P를 다시 세밀하게 나누는 설
1) 아이스 펠트
스멘트가 J를 J1,J2로 나눈설에서 아이스 펠트는 J1를 속자료,(평신도 자료, L자료)라 불러 L이라는 기초를 붙이고 J2를 J라고 보았다. (L은 J,E보다 오래된것이며 부락 생활을 하는것이며, 가장 원시적인 유목생활을 하는것이며, 소박한 이야기를 자료로 하고 있기에 속자료라고 함.)
2) J. 모겐스텐
모세의 생애에 관한 기록과 이스라엘과 겐족속간의 관계를 기록한 K자료가 있을것이라고 주장함.
3) 푸페이퍼
L자료나 J1과도 다른 것으로써 창세기에만 있는 S자료가 있을것이라고 주장함.(N.유목자료라고 함)
4) E.첼린
J,E가 9세기, 8세기 작품이라는데 이의를 제기하고 고대성을 주장하여 솔롤몬시대를 주장함.
5) G.홀스처
주전 500년경 포로기 이후시대에 신명기가 편집되었으며 귀한 공동체가 요시야 종교개혁의 결과를 신명기에서 모세가 이미 제시한 것으로 묘사했다고 주장.
6) R.H.켄트
신명기의 연대는 요시야 이후인 6C로 제의.
7) A.웰크
신명기를 요시야 종교개혁보다 더 고대로서 오래된 자료가 신명기안에 많음을 주장함.
8) E.로베르트선
신명기를 사무엘시대로 소급하여 연대를 측정함.
9) 스칸디나비아 학파
구전되었던 자료들의 고대성과 그 구전된 자료의 계시성을 주장하는데 노력함.
10) R. E.클레멘트(영국인)
엥겔의 완전 구두전승에 반대하며 서로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문서부분과 구두전승 부분이 함께 전승되면서 영향을 끼쳤다고 함.
[5] 오경에 나타난 계약신학
(1) 노아와의 계약
창17 : 노아 전 세계, 전 생명.
조건 : 하나님의 일방적 약속, 무조건적 계약(편무계약)
(2) 아브라함의 계약
창15: -
내용 : 자손번성, 가나안 땅 수여
특징 : 하나님의 의무강조
(3) P문서에 나타난 계약신학
창17 :
내용 : 자손의 번성과 가나안 땅 수여(아브라함보다 후손)
(4) 모세의 계약신학
출19: - 24:, 19장 (3 - 6핵심)
내용 : 이스라엘의 불충성, 불복종에 따라 축복 저주
특징 : 인간의무 강조(쌍무계약)
(5) 다윗의 계약신학
삼하7:ㅖ8 - 17, 29:5
내용 : 하나님의 다윗선택, 왕으로의 연속성 약속, 시온 성전을 하나님의 거처화.
특징 : 하나님의 의무강조 편무계약(하나님의 일방적인 것을 가르친다.)
[6] 하나님의 신명과 오경의 신관
(1) 족장시대와 후시대
1) 엘(EL) : 최초 신명(창28:17 - 어마어마한 신적능력존재)
2) 엘사다이 (P문서사용 - 산 신(전능하신 하나님)
3) 엘 엘리온 : 가장높다(가나안 최고 신과 동일)
높으신 하나님(J.E.P문서에 없음) D에서만 나옴
4) 엘 올람 : 영원한 신
5) 엘 벧엘 : 창35:7, 벧엘의 하나님(함께하신 하나님)
6) 엘로이 : 창16:3 - 나를 살피시는 하나님
7) 엘로힘 : 창조주(E문서)- 복수사용. 신적능력 강조키위해 재판장으로 사 용(시81:16, 창1:1)
8) 야웨 : 신명의 마지막(모세때)구속주 하나님. 바벨론 포로시대대 사용.
출애굽사건때 "하나님이 스스로 있는자"로 사용.
(2) 모세이전 신관
1) 자연물에 잡혀있는 존재
2) 다신론적 견해중 하나님이 최고(창31:30)
(3) 모세이후의 신관
1) 모세가 유일신론 처음제기
2) 신.인 동형론적 표현
3) 하나님을 인격적인 하나님으로 봄.
4) 민14 승리하시는 하나님.
(4) 예언자 시대
1) 영으로써 하나님(초월신)
2) 유일신론 계속
3) 온 세계의 하나님(만국의 하나님 : 겔35:4)
4) 창조주 하나님(사40:12)
(5) 포로이후 신관
1) 유일신관 확립(P문서 기자에 의해)
2) 하나님과 세상 사이는 간격이 있다.
3) 삼위일체 신관태동
결론
1) 자신을 스스로 알리는 계시의 하나님
2) 이스라엘 백성과 역사적으로 직접관계 하시는 하나님.
3) 유일신론은 오랜시간 후 확립
4) 예언자 시대는 하나님을 종말(심판)으로 이해
5) 제2이사야때는 우주적 하나님.
[7] 모세오경의 각론
(1) 창세기
1) 주제
ㄱ) 구원의 약속 : 중재자를 자유롭게 선택하신 사건, 실천방법으로 계약 과 실현
(13,15:17)
ㄴ) 낙원의 첫사람에서 야곱의 12아들의 이집트 이주까지 이루어짐. 창세 기 기록자는 12지파의 기원을 설명하려고 햇다.
2) 작은 태마가 많다.
ㄱ) 권의 약속
ㄴ) 약속의 실현을 위해 중계역할을 할 사람을 통해 자유로운 선택
ㄷ) 이약속을 실천에 옮기는 방법과 계약과 실현
3) 내용
민족의 기원과 종교적인 기원을 상당히 상징적이면서 소박하며 설화를 통해 전달하려고 하고 있다.(선민사상, 구원사상)
4) 목적
인간의 악이라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역사적으로 입증
5) 구속사적 메시지(창조와 인간타락)
ㄱ) 창조
모든 존재하는 것. 특히 인간은 야웨 하나님이 창조하신 피조물이라는 것을 깨닫게 하는 것. 그러므로 삼라만상, 인간존재의 궁극적 의미는 창조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에서만 파악
ㄴ) 인간
피조물중 유일하게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음. 하나님과 교제 인격적 존재로서 인간 의 존엄성, 독특성 강조, 창조세계를 다스릴 직무.
ㄷ) 인간타락
하나님께 범죄, 실패이야기, 하나님이 준 자유의지 남용 - 인간의 본래적 자기 상실 이후 - 노아 홍수, 바벨탑, 족장들의 이야기 - 계속실패하는 "별수없는 인간"의 모습 보여준다. 그러나 끝까지 버리지 않는 하나님의 사랑과 구속의 의지와 경륜
6) 창세기의 홍수이야기
바벨론의 길가메스 사시의 영향 받음.
(2) 출애굽기
1) 하나님 나라에 대한 중심적인 사건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2) 이스라엘 민족 공동체, 제사 공동체의 기원을 역사적으로 밝히려 하는데 있다.
3) 출애굽기의 신관 및 신학은 창세기의 족장사와 그대로 연결되고 있다(창 12 - 50)
4) 창, 출의 거대한 역사관을 가지고 있다.
ㄱ) 히브리인의 역사관 : 시간과 역사를 통해서 역사를 이루신다고 믿음.
ㄴ) 야웨 하나님의 존재 : 역사행동에 대해 교훈하고 있는데 족장의 하나 님이 바로 지금 우리의 하나님이시다는 것이다.
5) 1 - 15의 목적 : 족장 약속이 출애굽을 통해 이루어졌다.(유월절 기원교 훈)
16 - 18의 목적 : 예언자적인 교훈, 제사장적 교훈(광야실패담), 심판사상
19 - 24의 목적 : 시내산에서 신성왕국 계시알림(하나님과 선민의 결합. 부활사건과 비슷하다.)
25 - 40의 목적: 법궤, 성막통해 선민가운데 하나님 거하신다.(제사장적 신정모습)
6) 출애굽을 통해 그들이 배운것이 있다.(출애굽사상)
ㄱ) 하나 공동체로써 경험 : 같은 조상, 역사, 종교 중 예언자 통해 민족 분열반대(신명기적, 예언자 사상)
ㄴ) 하나의 역사적 경험(같은 고생, 압박, 기적체험)
ㄷ) 하나의 율법을 통해 하나의 통치를 받음(십계명, 계약법전, 하나의 민 족으로서의 통치강조)
ㄹ) 하나의 땅 경험(아브라함 때부터 형성되어 온 하나님의 나라)
7) 계약의 개념
ㄱ) 하나님이 계약을 전달하는 방법(사람, 자연을 통해서 환상, 사건을 통 해서)사람의 수준에 까지 하나님이 내려오심.
a) 사람을 통해서(선택된 사람에게 약속을 통해서)
목적 : 약속을 통해서 하나님의 약속을 가르쳐 주시고 사람이 바로서게 함으로써 사 람을 통해 하나님 나라를 건설 하는데 있다.
b) 초자연 사건을 통해서
ㄴ) 계약의 중요 내용 : 율법이다.
그리고 계약은 시대를 따라 갱신되어갔다.(아다 - 아브라하 - 다윗 - 예수까지) 그리고 출애굽 약속도 (시내산 약속) 하나님께서 정치, 종교 사법의 진정한 통치자이며 모세가 그 대변자로써 역할을 했다. 그리고 그리스도에게까지 넘어갈 때 까지는 하나님이 왕이라는 사상이다.
8) 출25: - 40: 성막, 법궤의 교훈
ㄱ) 출애굽기는 24:18에서 역사가 중단되고 32: 1에서 34:35까지 역사가 계속. 중단 - 민10:11에서 역사가 다시 이어진다.
ㄴ) 출24:18에서 민수기10:11가지는 (출32 - 34제외)내용이 저부 제사장 계통의 기록이다.이중에 출25 - 40은 삽입자료로 법궤와 성막의 내용 이다. 민10:11까지가 제사장의 신앙이다.(역대기 신학이 들어가 있다)
ㄷ) 출25 - 40은 성막, 법궤에 임하신 하나님에 대해서 말씀하고 있다.
예언자들은 하나님이 어디계시다고 믿지않고 어디든지 계시고, 사 건을 통해서 하나님의 임재를 보여주신다고 믿음. 제사장들은 법궤를 통해 하나님의 임재를 보여준다고 함.
ㄹ) 출32 -34은 제사장적인 신학 - 금송아지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모세 의 제사장적 중보기도. 계약의 갱신)
9) 출애굽기의 중요성
ㄱ) 지상에서의 하나님의 나라의 모형을 보여주고 있다.
ㄴ) 선택된 민족의 전역사를 유일신 야웨 하나님의 지배와 보호를 받는 하나님의 백성의 품위로 장엄하게 들어올린 사건의 이야기이다.
ㄷ) 신정왕국의 창건과 법률, 규정, 환경의 변천, 법궤와 성막의 건조및 봉 헌으로 끝맺음.
ㄹ) 하나님은 성막을 통해 성막에 거하신다.
ㅁ) 성막의 봉헌과 함께 하나님께서 그곳에 계심으로써, 하나님의 나라는 시작된다.
10) 목적
예배를 위한 목적. 하나님의 구속행위를 예배의식을 통한 신앙적 간증
11) 구속사적 메세지
야웨 하나님은 출애굽기를 통해 세상역사 무대에 동참. 이스라엘을 애굽 의 압제와 종살이에서 구출하는"역사속의 구원자"로 부각. 출3:14 - 야웨 하나님의 역사적 주권을 천명하는 내용, 시공을 초월한 세상역사의 주인, 통치자임. 그러므로 과거의 하나님이 아니다.언제 어디서나 "하나님의 구원"이 필요한 역사속에 찾아오시는 하나님.
(3) 레위기
1) 제사법과 정경의식의 구정을 한데 모은 예전서
2) 신정왕국의 거룩한 성격을 강조함.
출애굽기에 바로 뒤이어 하나님께서 그 가운데 머무시러 오심으로써, 이 스라엘 사람들이 어떤 백성이 되었는가를 설명하고 있다.(레11:44, 19:2, 20:26, 22-22참조)
3) 8 - 10장 : 제사장의 위임식
11 - 16장 : 정한것과 부정한것에 대한 규정기술
17 - 26장 : 하나님과 친교하는 방법으로써 어떻게 정결하게 지내며 도 덕률을 지켜야 하는가?
4) 레위기의 거룩함 : 그리스도의 신약교회의 거룩함과 같은 두드러진 특징 을 지니고있다.(요15:19)
(4) 민수기
1) 이스라엘 백성의 조직과 지도자는 누구였는가? 제사왕국을 유지발전시키 는데 누가 어떻게 공헌했는가?
== 구속사적 신앙의 교훈을 전하려고 하고 있다.
2) 제 1 부(1-10)은 시내산에 당도한 후 이곳에서 1년동안에 일어난 일들을 기록.
제 2 부(11-21)은 시내산에서 사해동북방 트랜스 요르단 모압평야에 이 르기까지의 38년간의 방랑기록
제 3 부(22-36)은 모압평야에서 요단강을 건너 팔레스틴의 침입을 준비 하고 있는 기간동안의 기록.
== 역사설화 계속이어짐. 25장 계시
레위기에 주어진 관습법, 전례법을 계속기록. 종교공동체의 형성과 실 천의 초기 기록을 다루고 있다.
3) 여기서 출32와 민10-25은 "선민의 걸려 넘어짐"의 기록 그리스도인이 신앙고백후에도 계속 실패하는 일들의 표상이다.
4) 민수기가 우리에게 가르치려는 정신 - 하나님의 권능과 약속을 믿는자의 행복과 믿지않고 원망하는 자가 받는 징계와 재난
5) 테마 - 야웨는 산 인격의 신. 선민 이스라엘과는 특별한 관계, 백성들에 게 율법과 규례에 복종할 것을 요구하시며 은총으로 그들을 이끄시는 하 나님이라는 것
(5) 신명기
1) Corrill,Kaiser - 원 신명기설 (Proto-Deuteronomium)
2) Nicholson
ㄱ) 호세아의 교훈과 유사성이었다.(호3:1,10:1-2, 11:10-11)
ㄴ) 야웨의 신명
3) O.s Romgkin, M.Vleinfeld
ㄱ) 교육적, 인도주의적인 차원들은 지혜적인 신학과 많이 닮았다고 주장.
ㄴ) 신명기적인 축복관이 지혜자의 신학과 닮았다.
4) 신학적 주제
ㄱ) 하나님의 사랑, 이웃사랑 : 선민의 정신을 가르킨다.
ㄴ) 이방의 오염을 배제하고 야웨께만 헌신하고 충실.
ㄷ) 야웨 이름의 신학 : 야웨께서 지정하신 장소에서만 예배
ㄹ) 가난한자를 돌보아야 하는데 출애굽기의 휴메니티 사상을 가지고 있 다.
ㅁ) 한 하나님, 한 민족, 한 제사 강조
ㅂ) "오늘"이라는 말을 강조
ㅅ) 순종사상
ㅇ) 계약에 의한 하나님 통치 사상(신명기 계약개념)
5) 신명기 율법의 특징
예배처소는 오직 한곳, 특정한 장소에서만 예배하고 다른 예배처소들은 모두 파괴해 버려야 한다.(12:11)
(6) 모세오경 내용 요약
1) 창세기(Genesis)
세상과 인류, 이방과 이스라엘 조상의 기원을 밝히려는 책. 이로써 이방 가운데 선택받은 이스라엘 조상(족장)의 역사의 시작이 야웨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된 것임을 교훈. 야웨는 창조주이며, 이스라엘 계약의 하나님. 창세기는 오경내에서 출애굽사건의 서론으로, 구약성서 전체의 서론, 세부적으로는 범죄와 형벌(Crime & Pumishment)이라는 구약전반의 신학적 주제로 교훈. 율법에 충실하여 야웨께 순종. 제사의 공의 실현 야웨의 선택적 사랑을 신뢰하라는 구약전반의 신학과 연결되고 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창세기를 경전으로 채택하여 이 경전을 통해 이스라엘 공동체 창조가 이 세계의 창조주 야웨에 위한 것임을 고백하려는데 목적이 있었다.
1) 원역사(Primeval, History) 창1:1 - 11:32
창세기의 전반부는 원역사 부분으로서 신관은 보편적 신관, 이스라엘의 창조신학의 신학적 근거, 창세기의 후반부와 명확히 구분되는 이 전반부는 족장역사 이전의 전 세계인류의 역사를 밝히며, 이를 통해 이스라엘의 조상인 아브라함에게까지 선민의 역사가 어떻게 이어졌는가를 역사적으로 교훈하려 했음. 창조주 야웨의 구속사적 행위, 율법과 제사의 강조가 궁극적 목적.
ㄱ) 창1:1-2:4a(천지창조, 안식)
확대된 보편적 신관에서 출발. 천지창조와 안식에서 이스라엘의 종교적 경배가 어떤것인가를 가르치며 경전이 시작되는것은 의미깊다. 초월적 신관에서 정리된 이스라엘의 하나님 개념은 이 세상과는 분리된 거룩하신 하나님이며 至高의 존재인 하나님께 경배하며 종교적 율법에 의해 그 안에서 안식하는 것이 이스라엘의 정체이며 이것이 인간읜 지혜의 시작임을 가르침.(제사장 신학 또는 지혜자신학과 연결)
ㄴ) 2:4b - 25(인간창조, 에덴창조 ), 3:1 -24(인간타락)
율법적 순종의 강조(신며기적 축복의 근원이 하나님께 있음) 범죄와 형벌, 구속사의 시작, 하나님의 내재적 신관의 모습 인간과 친교하시며 행동하시는 역사의 하나님 약속을 성취하시는 계약의 하나님, 심판하시나 궁극적으로는 구원하심. 남왕국, 다윗, 계약신학과 연결
ㄷ) 4:1 -26(가인, 아벨, 16-26 - 족보)
에덴 추방과 마찬가지로 범죄와 형벌의 주제, 그러나 그 주제는 구원으로 끝난다. 제사의 중요성을 언급하나 제사장적 교훈은 아니고 야웨와의 인격적 친교에서 비롯된 제사를 강조함. 인류초기 역사를 밝히며 인간의 부패성 고발, 야웨의 은총만이 소망(제사은총, 응답)
ㄹ) 5:1 - 28, 29,30 -32(아담의 족보)
연대기에 관심있음. 선택된 백성의 족보(셋), 야웨선택의 은통을 알리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것은 자손의 번성이 야웨의 축복(1:28)임을 교훈, 또한 야웨 선택의 줄기가 어떻게 이어지는가 하는 역사흐름을 이야기 하려함.
ㅁ) 6:1 - 8(네피림, 죄악상)
노아홍수, 서론, 인간타락의 극심함, 영적인 세계에까지 죄악의 물결이 밀려듬. 이 조악의 극심함은 야웨의 구속은총을 더욱 돋보이게 함(다윗계약신학)
ㅂ) 6:9 -22(노아방주 준비), 7:1 -22(노아구원), 9:1-17(노아계약)
초월적 하나님의 성결(구별)강조. 이것이 정결한 짐승으로 제사드리는 노아의 제사로 나아감(8:20-22), 이것은 제사장적 신학과 다윗계약신학의 혼합. 다윗 계약신학의 그림자로 노아의 계약의 나타남.
ㅅ) 9:18-27(함의 저주)
이방의 저주, 다윗의 정복신학의 신학적 근거. 셈족을 통해 야웨의 영광이 드러날 것의 예표
ㅇ) 9:28 - 10:32(노아의 족보)
축복과 심판의 근원이 이스라엘의 하나님 야웨께. 홍수 후 9:1의 야웨의 축복의 증거로 제시, 민족의 시작을 역사적으로 언급 노아에게 베푸신 구속적 은총이 온 열방에 퍼짐. 또 한 온 세계의 창대하신 초월적 하나님임을 선언하려함(계약, 보편) 10:32은 홍수 후 열국 백성
ㅈ) 11:1-9(바벨탑)
역사의 심판자이며 구원자, 역사속에 내재하시는 하나님임을 강조, 인간의 구원의 은총을 잊는 부패된 존재임을 설화적으로 교훈, 이방인들이 그들의 문명으로 야웨께 대적하려하나 멸망한 것 예언, 오직 이스라엘을 야웨의 구원의 능력만 의지하고 그 은총에 감사 다윗 영광이 이스라엘 위에 있음을 시사.
ㅊ) 11:10 - 32(셈의 족보)
앞서 노아의 족보에도 나오나 다시 반복하는 이유는 셋에게서 노아가 나왔고 노아의 자녀중 택한자인 셈의 후손의 택한 백성의 족보를 말하려 함. 이것은 12장 이후의 족장사와 연결 시키려는데 목적이 있음.
2) 족장사(Patiarchal History) - 창12:1 - 50:26
원역사에서는 전 세계의 보편적 하나님임을 주장하지만 족장사가 시작되는 12장부터는 분위기가 급격히 변화하여 이스라엘의 구속주로 야웨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해서 구약신학적으로 설명하자면 이스라엘의 구속주 개념이 출애굽사건 이후 이스라엘에게 야웨 신관으로 정착됐으나 후대 가나안 시대에 들어와서 보편적 신관으로 확대된 것으로 보여진다.
족장사에서 두드러지게 강조하는 것은 12:1-3의 아브라함 계약이며 이 계약을 이삭, 야곱, 요셉에 연결되어 출애굽 신학의 서론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계약신학적 흐름은 시간을 초월하여 약속하시고 성취하시는 하나님임을 교훈하며 이것을 이방 신관과는 달리 역사적 신관을 신학적으로 언급하려 하며 이 계약신학은 다윗계약 신학으로 흐르고 있다. 한편 초월적 신관은 그대로 계속되어 율법과 제사의 교훈이 그대로 흐르며 족장사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것은 북왕국 신학적인 교훈으로서 예언자적으로 율법의 윤리적 행함의 교훈이다.
Abraham(12:1-25:18)
ㄱ) 12:1-20(아브라함 계약과 그 부분적 성취)
야웨의 선택의 은총이 어떠한가 교훈. 바로왕의 두려움 앞에서 아브라함의 실수에도 불구하고 계약은 성취됨. 이방을 다스리고 아브라함을 구원. 역사적구원을 교훈함. 야웨신뢰
ㄴ) 13:1 - 38
야웨의 말씀에 순종함으로 성취가 구체적으로 실현. 18절에서 계약의 은총에 응답하시는 제사. 헤브론의 제사는 예루살렘 성전제사의 모형으로 가르침. 이중 6,11-12절은 야웨의 거룩성. 제사장 신학(가나안 구별)
ㄷ) 14:1 - 24
아브라함 계약중 땅의 약속이 아브라함 당대에 전쟁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언급. 이 부분을 세일산 자료(S)라고도 함. 이스라엘의 전통적 신학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1 4:13절의 히브리 사람의 조상으로 아브라함을 이야기 하고 있음
ㄹ) 15:1 - 21
다윗신학적인 야웨의 계약 강조(15:6)이 부분에서 8-21은 출애굽 신학과 직접연결 되는 것으로서 예언자적 신학(북왕국)의 영향이다.
ㅁ) 16:1- 16
1b - 2,4 - 14은 계약의 신뢰 강조(하갈). 하갈에게 까지 은혜 베푸시는 구속적 하나님 1a,3,15-16은 족보의 연대기적 흐름에 관심있는 제사장 신학, 하나님의 초월적 모습 강조
ㅂ) 17:1 -27
가나안 땅의 성별강조(17:8), 할례강조(할례가 야웨의 언약의 표징임을 강조, 다윗신학의 언약과는 다른 율법적 제사의 언약)
ㅅ) 18:1 - 33
야웨 약속의 재확인, 소돔과 고모라 심판과 롯의 구원(야웨의 심판은 매 세대에 걸쳐 있으며 선택된 백성에 의해 구원이 임함)
ㅇ) 19:1 -38
롯의 구원, 모압, 암몬의 기원, 구원은 받았으나 택한자의 약속의 유업을 받지 못했음을 강조함.
ㅈ) 20:1 - 18
북왕국 예언자의 신학, 야웨를 두려워 함을 신앙적으로 강조, 꿈강조, 아브라함을 선지자로 묘사 아비멜렉과 아브라함의 윤리적 결백성을 시사, 아브라함의 기도도 아비멜렉의 태가 열리는 것은 예언자적 능력을 보여줌(예언자의 신앙모습 반영)
이삭(21:1 - 24)
ㄱ) 21:1 - 34(이삭의 출생)
1a,2a,6b-7,25-26,28-30,32-33은 아브라함 계약의 성취(다윗 계약의 은혜로운 하나님) 1b,2b-6a, 8-24, 27,31은 성결, 제사 할례 강조, 이방인의 역사적 기원에 관심(이스라엘)
ㄴ) 22:1 - 24(이삭 번제)
1-10,12-13,19은 제사강조, 이방의 인간제사가 아니라 야웨께 성별한 제물로 번제할 것을 교훈. 11,14-18,20-24은 다윗계약 모리아 제단이 예루살렘 제단의 기원이 됨을 역사적으로 교훈 아브라함 계약의 완전한 성취 역사속에서 준비하시는 하나님(만민에게 복을 내리시는 야웨의 은총 찬양)
ㄷ) 23:1 - 20
사라의 죽음 막벨라굴 장사, 헷족땅이 선민의 장사지로 성별됨(마므레=헤브론) 가나안의 성별과 신학적으로 같은 맥락
ㄹ) 24:1 -67
이삭과 리브가 아브라함 축복의 계속, 약속의 성취를 바라보고 있다.
야곱(25:19 - 36:43)
ㄱ) 25:1 - 34
아브라함 장지의 성별, 이삭족보를 통해 선민역사의 흐름을 보임, 야곱과 에서를 통해 선택의 중요성 교훈 야곱과 에서의 팥죽 이야기도 약속의 유입의 성취와 그 중요성을 아울러 밝힘.
ㄴ) 26:1 - 35
아브라함 약속의 계승 이스라엘에게 이어짐(26:12백에나 얻었고)26:26은 땅의 확대
ㄷ) 27:1 - 46
야곱의 선택적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됨. 축복의 하나님 야웨께서 축복을 현실로 성취 열방중에 작은 자이나 야웨의 축복의 대상으로 선택된 이스라엘의 모습, 이것은 막내로서 선택된 다윗왕의 모습
ㄹ) 28:1 - 35:29
야곱이야기의 중심내용
ㅁ) 36:1 - 43
에돔의 역사 이방의 역사도 야웨께 있음을 강조하는 보편적 신관.
요셉(37:1-50:26)
ㅂ) 37:1 -36
a. 1-2a은 다윗신학과 제사장 신학의 공통관심 귀절
b. 2b, 5-11, 15-18a, 19-20, 22, 23b-24, 28a, 28c-30, 31b-32a, 34, 36은 요셉의 꿈을 통해 예언자적 신앙을 교훈, 요셉을 통해 야웨를 신뢰하고 야웨의 명령을 따를것 교훈
c.3-4, 12-13, 14b, 18b, 21, 23a, 25-27, 28b, 31a, 32b-33, 35은 요셉에게 나타나는 야웨의 은총을 나타내려 했음. 그러나 이것은 창세기에 흐르는 다윗신학적 흐름과는 별개로 족장역사의 성취라고 볼수는 없다. 요셉을 이스라엘 사람들은 족장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곱다음에 요셉이야기가 등장한 것은 요셉의 이방을 딛고 일어선 승리가 이스라엘의 야웨를 통한 계약적 승리를 잘 나타내 주기 때문이다. 요셉은 다윗의 모형으로 등장할 뿐이다.
ㄴ) 28:1 - 30
유다의 이야기는 족장역사의 흐름을 깨고 38장에 삽입돼 있다. 이것은 유다지파 출신인 다윗왕 계열의 시작을 언급하려는 다윗신학의 독특한 신학적 작업. 오히려 요셉의 이야기로 계속 언급될 수 없는 야곱의 12아들중 유다지파의 이야기가 38장에서 되고 있으며 이것은 오히려 요셉보다 더 아브라함 약속의 성취를 더욱 강조하고 있음을 중시해야 한다.
ㄷ) 39:1 -50:26
a.46, 46:5b-27,47:5-6a, 7-11, 27bh-28, 28b-33, 50:12-13은 요셉의 연대기적 역사언급, 애굽으로 내려간 이스라엘의 가족 명단, 야곱의 12지파 축복, 야곱의 장사 등 제사장적인 신학으로서 순수한 요셉역사의 연대기적 간략한 언급, 족보, 제사장적 축복과 성별에 관심있는 부분임
b. 40:1-23, 41:1-57, 42:1-37, 43:14,23, 45:1-28, 46:1-5a, 28-34, 47:12, 48:1-2, 50:15-26꿈의 해석. 베냐민 강조. 야웨를 두려워 함. 므낫세 에브라임 이야기 출애굽 신학과 연결하는 것은 북왕국의 예언자적 신학. 율법적 신앙 강조.
c.39:1-23, 42:38, 43:1-13, 15-23a, 24-34, 44:1-34, 45:1-28, 46:28-34, 47:1-4, 5-6a,6b,12,13-27a, 29-31,40:1-2,8, 49:16-28a, 50:1-11, 14는 야웨께 서 요셉를 형통케 하사 바로왕의 총리가 되게 하시는 은혜. 이방을 섭리하는 요 셉의 영광강조. 인격적 야웨의 모습을 교훈하려함.(남왕국)
2) 출애굽기(Exodus)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민족공동체, 제사공동체의 기원을 역사적으로 밝히려는데 있다. 출애굽기의 신관및 신학은 창세기의 족장사(창12-50)와 그대로 연결되고 있다. 즉 모세에게 호렙산떨기 가운데 나타나신 하나님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하나님(3:6)이라고 하는 것이며 이스라엘의 형성을 족장약속의 성취로서 구속주(이스라엘 외)에 대한 신학적 묘사이다.
족장 약속을 통해 계시된 하나님(창12:, 15:)은 역사를 주관하시는 분이며 그 역사 행동이 출애굽 사건을 일으키셨으며 광야를 통과하여 시내산에서 족장약속의 재 계약인 시내산 계약을 맺으심(3:12, 19:1-6)을 밝히는 신학적 선포이다. 즉 창조주께서 족장을 선택하시고 계약하신 계약행동에 의해 출애굽사건, 시내산 사건을 통해 계약백성, 율법의 종교공동체로서 야웨의 거룩하게 구별된 선민이라는 것이다.
ㄱ) 출애굽 사건(1:1 - 15:21)
a.1:1-5,7,13-14,2:23b-25,6:2-30,7:1-13,19-20a,21b-22,8:1-3,11b-15,9:8-12, 11:9-10, 12:1-20, 28, 37a, 40-51, 13:1-2, 20, 14:1-4, 8-9, 15-18, 21a,22-23, 26-27a, 28-29연대기적 관심, 생육, 번성 등 제사적 관심, 이스라엘을 권념, 10가지 재앙 등 이방의 불결함. 유월절 제사의 기원, 제사적 성결, 이스라엘의 방과의 성별 강조.
b.1:15-22,2:1-14,3:1-6,9:15,21-22,4:17-18,20B-21,5:1-4,7:20B-21A,24,
9:22-23A,35,10:8-13A,20:27,11:1-3, 12:31-36,37B-39,13:17-19은 히브리 산파가 야웨를 두려워함. 예언자 모세를 준비하시는 하나님, 야웨의 현현, 모세가 야웨를 두려워 함. 모세의 예언자소명, 예언자적 역할 등 북왕국 예언자 신학의 흐름.
c.1:6,8-12,2:15-23a,3:7-8,16-20,4:1-16,19:20a,5:5-23,6:1,7:14-18,23-29,
8:4-11a,16-28,9:1-7,10:13b-19,28-29,11:4-8,12:21-23,29-30,13:21-22,14:5-7,10-14,19-20,21b,24-25,27b,30-31은 요셉과의 역사적 연결, 모세에게 은혜의 구원, 젖과 꿀의 땅 약속, 이방 정복약속, 야웨인 모세의 직접적 대화 인격적 관계 족장약속의 성취로서 이스라엘의 구속적 은총인 출애굽사건의 기적 이야기 언급은 남왕국 다윗계약신학과 연결된다.
d. 12:24-27, 13:3-16 신명기 신학과 분위기가 비슷 가나안 땅에서 율법과 절기 지킬것을 강조. 신명기의 신학적 서론.
ㄴ) 광야 방랑 전승(15:22-18:27)
a. 15:1-19, 16:1-3,5-38, 17:1a은 제사적 찬양, 단순한 역사적 사건 보도 안식일 강조. 야웨게 성별되지 못한 이스라엘의 불평에 대한 지적. 율법의 강조, 제사장 신학
b.15:20-21, 17:3-6, 8:16, 18:1-27은 야웨를 두려워 하지않는 이스라엘의 죄악지적, 모세의 예언자적 모습강조. 야웨를 통한 신정통지의 시작
c.15:22-25,27, 16:4, 17:1b-2,7은 야웨의 구속적 은총강조.
d.15:26, 신명기적 규례와 법도 강조.
ㄷ) 시내산 전승(19:1-40:38)
19:1-6(시내산 계약),19:7-25, 20:1-17(십계명), 20:18-21(재현현), 20:22-23(율법해설), 24:1-18(재계약준비), 25:1-40:38(계약갱신, 성막사건)
a. 19:1-19, 20:1-17,22, 24:15b-18a, 25:1-40, 26:1-37, 27:1-21, 28:1-43, 29:1-46, 30:1-38, 31:1-18a, 34:29-33,34-35, 35:1-35,35-40은 모두 율법이 시내산 계약의 산물이며 이것은 이스라엘의 제사와 성격의 강조로 나타난다. 그것은 십계명과 성막이며 이것의 불순종에 대한 징벌이 이스라엘에게 나타났 다.
b. 19:21-25, 20:1-17,18-21,23-26, 21:1-37, 22:1-30, 23:1-32, 24:3-8, 12-15,18, 31:18, 32:1-8,15-35, 33:1-6, 12:23, 34:6-9이것은 광야 방황 전 승과 민수기 방황전승과 연결. 이스라엘의 불순종에 대해 예언자적 심판강조. 그것은 야웨의 계약에 대한 불신앙 때문이다.
C.19:20, 24:1-2,9-11, 32:9-14, 33:7-11, 34:1-5,10-28모세와 직접대화 인격적 하나님 구속주 강조.
3) 레위기(Leviticus)
1-27장 모두 제사장적 신학을 보이고 있다. 출애굽기의 시내산 계약에 의해 주어진 제사법, 특히 20장의 십계명과 25-40장의 성막과 제사법에 대해 제사장적으로 세부적 관심을 피력한 신학이다. 신관은 처음부터 끝까지 초월적 신관이며 이스라엘에 임재하실 때는 직접 임하시거나 천사를 통해 임하시지 않고 제사 가운데만 임하시는 거룩하신 하나님이시며 이스라엘은 이 하나님께 야웨에 위해 구별된 제사법을 통해서만 나갈 수 있고 이스라엘의 불결은 제사를 통해서 성결해져야 하며 이스라엘의 삶도 야웨의 성결을 본받아 성결하게 영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광야 성막위에 임재하셨던 거룩하신 하나님에 대하여 제사적 성결로 응답하는 것이 이스라엘의 거룩성임을 교훈)
ㄱ) 내용구분
a. 1:1 - 7:38(희생제사에 대한 지시)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1:1-5:26), 제사장이 제사직을 수 행하는데 필요한 규례들에 대한 지시(6:1-7:38)
b. 8:1 - 10:20
시내산에서 첫제사의 시작에 대한 역사적 보도와 이의 과실에 따른 하나님의 형벌, 제사장에 대한 경고를 전하고 있다.
c.11:1 - 15:33
정결에 대한 규정, 부정한 동물이나 부정한 자는 제사에 참여할 수 없으며 이들은 따로 속건제를 드린 후에 제사에 참여할 수 있음
d. 17:1 - 26:46(성결법전)
제물과 식사규례, 성적규례, 일반규례, 이스라엘 밖으로 제거되어야 할 성적인 범죄, 사제의 성결유지, 제사에 드려질 제물, 절기, 성소에 대한 규례, 이방인에 대한 규례, 안식년, 희년, 상벌에 대한 제사장적 축복과 저주.
e.27:1-34
십일조와 서원에 대한 부족적 규례
# 결론적으로 이스라엘은 이방인과는 달리 초월적인 하나님께 의해 선택적으로 성별 되었으며 이것은 제사와 성결된 삶에도의 요구를 동반하는 것이다. 이들은 이방인의 제사규례나 삶을 벌고 야웨에게만 야웨의 제사법에 의해 제사해야 하며 이를 통해 이스라엘을 이스라엘 되게한 시내산 계약이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출애굽의 감격으로 이것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4) 민수기(Numbers)
광야전승으로서 시내산 계약을 통해 형성된 율법공동체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어떻게 율법에 순종 또는 불순종하는가를 역사적 설화를 통해 보여주며 야웨의 심판이 이스라엘안에 어떻게 임하는가를 예언자적으로 교훈하며, 동시에 야웨의 약속의 성취가 가나안 땅을 향해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보여주는 구속사적 신앙의 교훈을 전하려 했고, 또 한편 율법의 제사장적 성결이 이스라엘에게 요구되며 따라서 민수기 안에 제사의 교훈과 율법의 해설이 병행되고 있다.
율법적 관심 =ll= 신명기의 가나안 약속에 대해 역사적 성취에 관심. 특히 13장 정탐사건을 언급한 이후 가나안 약속성취로 분위기가 급전함.
ㄱ) 내용구분
a.1:1 - 10:10-28(시내산에서의 출발 준비, 10:11에 출발함.)
1:1 - 2:34 = 12지파 공동체 형성.
3:1 - 4:49 = 레위인 규정.
5:1 - 6:27 = 성결에 관한 하나님의 지시.
7:1 - 7:89 = 지파대표의 제사.
8:1 - 9:14 = 등잔, 레위인 유월절 규례.
9:15 - 10:28 = 출발준비와 절기지킬것 강조.
이 부분은 모두 시내산에서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을 준비하는 것으로서 출19장 이하 시내산 계시, 성막사건, 레위기 성결과 신학적으로 그대로 연결됨.
b.10:29-21:35(시내산에서 출발, 가데스바네아의 방황)
1)13:17a,21,25-26,32a,14;1-2,5-7,10,26-30,34-38,15:1-41,16:1a,1b-11,16-24, 27a,32b,35,17:1-28,18:1-32,19:1-22,20:1a,2,3b-4,6-13,22-29,21:4a,10-11 등은 율법의 조항 언급, 제사장 성결, 이방과의 성별, 이스라엘의 불평과 관련된거룩치못함 2)10:29-36,1-34,35,12:1-16,7b-20,22-24,26b-31,32b-33,14:3-4,8-9,11-25,
31-33,39-45,15,1b-2a,12-15,25-26,27b-32a,33-34,20:1b,3a,5,14-21,21:1-3,4b-9,12-
35 등은 북왕국의 예언자적 고발, 율법의 윤리적 행위 강조, 이스라엘의 불순종이 적나라하게 지적됨.
3)10:29-36,11:1-34,12:17b-20,22-24,26b-31,32b-33,14:3-4,8-9,11-25,31-33,
39-45,16:1b-2a,12-15,25-26,27b-32a,33-34,20:1b,3a,5,14-21,21:1-3,4b-9,12-35는 족장계약, 가나안 약속 성취하시는 하나님의 구속적 행위강조.
c) 22:1-36:13(율법적 관심이 주조)
모압땅에서 가나안 진입의 준비, 신명기의 역사적 배경이며 여호수아서의 역사와 연결된다.
1) 22:1, 25:1-19, 26:1-65,27:1-23,28:1-31,29:1-39,30:1-17,31:1-54,32:18-19,
28-33,33:1-56,43:1-21,35:1-34,36:1-13등은 율법적 계명의 언급 1:1-10:10까지의 신학으로 연결.
2) 22:2-41,23:1-30,24:1-25,32:1-17,20:27,34-42등은 율법의 윤리적 교훈과 야웨의 구속적 은총에 대해 같은 시각에서 사건을 보도하고 있다. 동시에 같은 역사적 사건으로 채택하여 교훈함.
5) 신명기(Deuteronomy)
역사적 배경으로는 민22:1-36:13에 겹치는 것(중복)으로서 모세의 예언자적 설교형식으로 율법의 준수를 전투적으로 설득하고 종교개혁(B.C.621)이 삶의 자리이며, 이때 이후 신명기적 개혁 신학에 의해 하나의 이스라엘 신학으로 주도되어왔던 것이다. 이것을 절대적 유일신관에 의해 가나안 땅에서 이방신이나 이방제사가 배격되어야 하며 야웨의 율법국가로서 야웨 제사만이 야웨의 지정된 장소에서 드려져야 하며 야웨의 이름이 그곳에 임재해 있다는 예언자적 유일신관의 강조이며 이러한 신학은 구약안에 신명기 신학으로 자리잡아 전선지서의 신명기적 역사관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ㄱ)내용구분
a) 1:1-4:43(족장약속)
모세의 첫번째 설교. 창-민수기 까지의 역사의 회고이며 이러한 역사언급은 신32:45-34:12의 모세의 죽음의 역사와 연결되어 뒤의 수-왕까지의 신명기 역사에 연결되고 있다. 이 부분 중 4:41-43의 성읍구별은 제사장 신학이나 나머지는 모두 신명기적 예언자 신학이다. 이것은 가나안 약속의 성취에 대한 서론이다.
b) 4:44-26:68(모세의 두번째 설교)
계약관계의 의의와 의무, 조건, 공포와 시행등 율법에 대해 세부적으로 해설한다. 이 부분에서 10:6-7은 제사장적 관심, 윤리적 관심, 그외의 모두는 신명기적 예언자 지적. 이것은 5:1-6:25의 쉐마와 십계명의 해설인데 특히 우상배제, 절기에 대한 규례(12:1-16:22),우상과 복술, 전쟁, 성결, 십일조에 대한 규례(17:1-26:19)등이 주 내용이다.
c)27:1-31:30
모세의 세번째 설교, 경고와 예언으로서 신명기 신학의 축복과 저주의 예언자적 선포이다. 이것은 신명기 역사관의 역사적 관점이의 기준이 되었다.(27:5-7a)특히28:1-30:20은 이스라엘의 포로기 역사를 예언했다는데 그 신학적 관심이 주목된다.
d) 32:1-30
모세의 노래, 이스라엘의 책임강조
e)32:44-33:29
모세의 마지막 권고, 모세의 죽음. 예고와 마지막 축복
f)34:1-12
모세의 죽음에 대한 역사적 기록(31:14-15,23,34ㅋ:1b-4,10-13은 구속의 은총 강조. 32:48-52,34:7-9은 제사장적 성결)
제 4 장 역 사 서
[1] 역사서의 각론
(1)여호수아
여러 모습으로 편집되어 오다가 포로 중기에 한꺼번에 기록됨.
1) 내용구분
1장 - 12장 - 점령
13장 - 21장 - 영토분활
22장 - 24장 - 부록
a.예언자적 관점
* 회개를 가르칠려고 함(죄를 지적하고 있음) - B.C.526년까지 끼침(여호야김)
* 왕정의 실패(모세 전통에서 떠나는 왕정) 그래서 예언서안에 넣었다. 이것을 통해서 예언자의 사상인 신정사상을 가르치려 했다.
b.여호수아 시대
- 모세 전통에서 떠나지 않았던 시대를 말함.
- 모세의 계약이 여호수아에 으해 가나안에서 성취됨. 사기왕성함(사사시대 와 서 모세 전통이 끊어짐. 수24장에 그 조짐을 보여주고 있다)
2) 강조점
* 하나님의 전능하신 사상
* 야웨의 전쟁사상
* 여호와는 이스라엘 군대 장관.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군대
(2) 사사기
장로 정치가 제사장 정치로 변함(지파전통)
1) 1:1-2:5
하나님 떠난 이스라엘 모습 보여주면서 모세 전통 끊어진것을 고발함.
2) 2:6(12사사 보여줌)
대사사 : 성경의 많은 분량 차지함.
소사사 : 성경의 적은 분량 차지함.
3) 특수한 틀을 가지고 있음. 범죄 - 진노 - 회개 - 구원
4) 예언자 신학의 범죄와 형벌의 주제가 계속따름
5) 해석의 중요성
서론 부분과 21장 25절 : "그들의 소견에 옳은대로 행하였더라"
6) 12사사
옷니엘, 에훗, 삼갈, 드보라, 기드온, 돌라, 야일, 입다. 입산, 엘론, 압돈, 삼손 (아비멜렉, 사무엘)
(3) 룻기
1) 룻 : 히브리어("물을 만고하게 마시라"의 뜻) 로는 확실치 않고 쉐아 아 카드어(앗수르 바벨론)에 보면"친구","동료"의 의미가 있다.
2) 배경 : 사사시대, 베들레헴에 산 나오미가 두아들과 남편들을 데리고 모 압에 왔다가 아들이 결혼하여 얻은 며느리
3)1:16-17이 중심귀절 - 룻의 결심
4) 저자 : 사무엘(랍비전통에는)로 보고 있다.
5) 고대전승이다. 고대관습이 후기책 등에는 많이 안나오는데 수혼법(형이 죽으면 형수와 결혼하는것. 사25:5,창38:1)이 나온다.
이삭줍는 관습 : 신24:19, 레19:9,23:22
성문에서 재판하는 것 신발을 던져서 권리 양도하는 것 등이 나온다.
6) 포로전기 중기에 많이 읽혀졌다고 한다(고대전승이지만)
ㄱ) 포로전기로 보는 학자
a. 이방들의 개종을 권유하는 목적으로
b. 다윗왕의 구속사를 가르치기 위한 것으로 이방인을 통해서도 다윗의 왕조를 이어나가셨다. 은혜로우신 하나님이시다.
ㄴ) 포로기중기로 보는 학자
a. 예언자의 남은자 사상의 지혜를 가르치기 위해서 이방여인등도 신앙 을 지키므로 복받은것 처럼 유대인들도 야웨신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
b. 지혜자들이 룻의 효성을 가르치기 위한것이었다고 한다.
c. 지혜학파에서 나타난 인간적인 사랑(하나님안에서)은 보상받을 수 있 다는 교훈을 주기 위한것으로 보고 있다.
7) 야웨종교의 보편성이 강하게 나타나며 진정한 종교는 깨끗한 마음과 올 바른 생활에 있는 것이지 민족성에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4) 사무엘
1) 내용구분
ㄱ) 1: - 7: -엘리와 사무엘
ㄴ) 8: - 15: - 사무엘과 사울
ㄷ) 10: - 삼하1: - 사무엘과 다윗
ㄹ) 삼하2: - 8: - 다윗왕위계승
ㅁ) 9: - 20: - 다윗의 궁정에서 일어난 사건
ㅂ) 21: - 24: 부록
2) 사무엘서의 중요암시 강조
* 지파전통에서 왕정 체제로 넘어가는 역사. 법궤신앙 타파와 사무엘의 예언자 적인 출현
* 사무엘이 왕을 세우는것은 왕정체제도 예언자 체제의 아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왕정적 신정)
* 삼상8장, 신18장에 나오는 왕위 권리와 왕의 의무를 지켜나가야 한다는것을 강조(왕도 율법아래에 있어야 한다)
* 영적 갱신추구하는 지방성전 체제와 예언주의 강조
* 사울왕과 다윗왕의 실패 장면 지적하면서 군주제도에 대한 심판사상
* 가나안주의와 혼합주의에 대한 예언자 학파의 쓰라린 감정을 보여줌
* 악한왕과 선한 왕을 비교하면서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는 다윗을 쓰시는 것을 예언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5) 열왕기
* 솔로몬 역사를 보여줌(분열왕국 사상, 단독왕국사)
* B.C561년에 기록
* 여호수아, 사사기는 전승적으로 지파전승이다(사무엘서는 지파전승도 있고 왕 정전승도 있다)
ㄱ) 지파 전승 : 반 왕국적이며
ㄴ) 왕정 전승 : 찬 왕국적이다.
* 전기예언서 중 신명기 사상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것은 열왕기서이다.
이 열왕기를 통해 메세지를 전하고 싶었다,(왕정의 실패)
1) 사울왕
삼상8:10-17 - 왕의 권리
신17:14-20 - 왕의법
== 왕 제도를 여기에 기준으로 표현하고 있고 십계명으로 평가하고 있다.
ㄱ) 사울은 대신관계에서 실패했다(버림받음)
ㄴ) 세금을 많이 걷지 않음(백성에 대한 선정을 베품)
왕으로 실패한 것은 지파동맹에서 왕정으로 넘어올때 지파동맹에서 지 지를 못받았다.
ㄷ) 베냐민 지파 출신. 그 부분만 통치함(전 이스라엘 통치하지 못함)
ㄹ) 실패한 사건
a.삼상13장 : 제사사건
b.아말렉과의 전쟁사고(전멸하지않음)
2) 다윗왕
ㄱ) 대인관계에 실패함.(대신관계만 성공하면 하나님께서 버리지 않음을 보여준다)
ㄴ) 하나님께 묻고 행함(삼상23:1-30, 삼하5: 법궤운반, 성전건축)
ㄷ) 실패 - 성전 건축하기 위해 세거둠, 밧세바취한 사건. 이로써 삼하 11:27보면 하나님 보시기에 악하였다. 삼하12:10 풍랑이 일어나는 것 을 보여준다.(압살롬의 반항, 시므이도 다윗을 미워함. 이스보셋 반란)
3) 솔로몬 왕
ㄱ) 대인 대신관계다 실패함.
a.대인 : 성전지으면서 세금착취 왕후 아도니아 살인
- 제사장 딸 장군의 아들도 숙청9성전7년건축, 왕국13년건축, 180,000명의 일꾼동원시킴(왕상5장)
- 1,000여명 후궁, 사치스러운 생활
- 우다지파는 세금면제(북쪽 지역인에게만 세금부과)
- 두로왕 히람에게 땅을 내줌(빚을 갚기위해)
- 이때와서 다시 노예생활 시작되고 있음을 신명기 신학자들 이 보뎌주고 있다.
- 야웨종교를 통치 이데올로기로 사용해 백성들을 억압하려고 함.
- 특별한 사람에게만 부가 독점되고 불평생김.
- 계약정신에 위배됨
b.대신 : 이방 여인과 결혼해서 이방신 숭배, 산당건축, 산당제사묵인.
4) 르호보암 왕
ㄱ) 북쪽인들은 이왕을 인정하지 않음
ㄴ) 우리의 왕이 되달라고 원로인들이 원했지만 거부, 세금부과.
ㄷ) 혼합주의 생김.
ㄹ) 대신 대인관계 악화.
ㅁ) 여로보암이 남쪽에서 일어남. 예언자 아히야가 일어나 예언.
5) 아합왕
ㄱ) 나봇의 포도원 갈취
ㄴ) 이방여인 이세벨과 연인사이.
ㄷ) 우상숭배.
6) 신명기 역사가들이 본 역사관점
ㄱ) 대신 대인관계를 다같이 보았다.
ㄴ) 신명기 역사가들이 고유적으로 역사평가. 고유한 귀절을 보여주고 있다.(왕상15장, 왕하16장, 18장)
ㄷ) 아모스서에도 나타남. - "공의를 정의같이 하라"
7) 여호수아 - 열왕기까지 중요한 사상
ㄱ) 수직관계에서 반란 - 하나님과의 약속을 어겼다.
ㄴ) 왕정체제하에서 출애굽 정신이 소멸되어 버렸다.
ㄷ) 대신 - 우상숭배
애인 - 공의를 행하지 않음
ㄹ) 왕을 통해서 신정이 골고루 이루어지는것을 이상하고 있었다.
(6) 역대기
포로시대배경
유대인이 직면한 중요한 종교적 직제의 문제를 현실적으로 효과적으로 처리, 신명기적 사관과 거의 일치, 이미 정치적, 왕권제도를 상실한 백성은 새로운 메시야 사상을 가지고 있다.
목적
예루살렘과 유대인의 공동체에 향해있다. 즉 진정한 이스라엘은 남왕국이며 바른예배, 참된제도의 확립을 권장함에 있다.
1) 열왕기와 역대기의 차이점
역대기는 제사장 나라가 되어야 할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불충하고 음란한 백성이 되었으므로 하나님은 심판을 내리시고 택한 백성이지만 가차없이 벌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열왕기 저자는 자기 민족이 역사를 회고하면서(반성) 그토록 하나님의 징계의 채찍을 맞은 것은 그들의 하나님 야웨를 배신하고 다른신을 섬겼기 때문임을 강조하고 있다.
2) 역대기의 신학적 관점
ㄱ) 열왕기는 바벨론 포로에서 이스라엘의 역사가 끝났다고 하나, 역대기 기자는 새롭게 시작한다고 한다.(회개 강조, 이스라엘죄목, 구원에 대해서 말한다.)
ㄴ) 이스라엘 회복의 관점.
a.혈연 공동체의 회복
b.신앙공동체의 회복 - 야웨 종교의 신앙회복
(7) 에스라
"포로에서의 귀환과 성전재건", 엄격한 유대주의 후기 배타주의와 모세율법에의 열광적인 충성이 다음시대 박해를 견디게 했음을 보여준다.
(8) 느헤미야
제2 에스라서로 불리기도함(Lxx)에스라와 분리는 라틴어로 번역될때 부터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을 두번째 방문할때까지의 이스라엘 민족사다. 주로 느헤미야의 회상록.
(9) 에스더
1) 연대
10:2에의하면("메대와 파사의 열왕의 행적에 기록되어 있지 않느냐") - 고레스왕이 죽은후(B.C.465년)에 기록됨.
2) 특징
ㄱ) 신명이 한번도 안나옴.
a.이유 : 에스더서는 제3차 포로귀환이 끝난다음 남아있는 사람들이 써서 읽었다. 부림절을 지켰다. 이들이 돌아가기 싫었는데 이런 사람들에게 지혜자들이 교훈하기 위해서 기록한 것이다.
b.그러기에 하나님의 이름, 유대인 종교를 가르칠 정도의 신앙수준이 있 는 이들이 아니고
c.특히, 이방땅에 살고 있기에 신명을 말하면 핍박받을 요지가 있기 때 문이다.
ㄴ) 기도 등 종교적 용어 안나옴.
ㄷ) 4:16금식
ㄹ) 9:31 금식과 부르짖음이란 말이 한번씩 나옴.
ㅁ) 4:14 하나님의 섭리를 뜻한 말씀이 나옴.
ㅂ) 부림절이 어떻게 해서 생겼느냐의 기원과 하나님의 섭리를 가르침.
ㅅ) 남은자 사상을 가르침(신앙과 이방과는 상관이 없다 - 신앙을 지키면 승리한다)
ㅇ) 실제 역사사건임을 알게해준다.
ㅈ) Historicity(역사성)이 농후하다(성경에서 역사성이 농후하다 할때는 실제사건 임을 말한다.)
a. 등장 인물들이 사실성이 있다.(있음직한 인물)
b. 궁정에서 일어난 사건들이 사실성이 있다.
ㅊ) 에스더와 모르드개 사이는 사촌오빠 사이다.
a.에스더 : 바벨론에서 태어난 사람(포로에서 10년후에 출생함)
b.모르드개 : 제1차 포로기간에 잡혀감(당시에 아마 70세된 노인인것 같다)
ㅋ) 유대인들의 처세교훈을 가르침(겸손, 충성되게 행하라)
a. 절제하라(일반지혜)
야웨를 경외하라. 위험스러운 상태에서 야웨경외하고 기도하면 구 원 받을수 있다.
b.와스디와 에스더
이상형으로 가르침. 하반과 모르드개를 비교해서 교훈함.
제 5 장 시 가 서
[1] 시가서의 각론
(1) 욥기
1) 언제 사람인지 알수 없다(자체에서는) 그러나 사사시대까지 올라갈 수 있다.
2) 연대 : 포로중기 때나 예레미야시대로 본다.
a. E.Koning,H.Gunkel,R.H Pfeiffer : 예레미야시대 때로 본다.
b. A,Dillmann : 포로중기 때로 본다
c. 이유 : 반 지혜적 지혜가 나타난다. 이것은 이스라엘의 성령의 포로 중기의 고난에서 나타난 것이기에.
3) 그러나 욥은 오래된 사람이다.
4) 저자 : 예레미야로 보고 있는이도 있다. 확실히는 알 수 없다. 지혜자 가 운데 전승적으로 내려온것을 퍼뜨렸다.
5) 목적 : 희망적인 목적
6) 포로초기에는 의인 고난받지 않고 축복을 받는것으로 알고 왔으나 여기 서는 의인도 고난 받을 수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
7) 내용구분
a.1-2장 : 산문으로 - 욥의 고난의 서론
b.3-31장 : 시로(세 친구의 이야기)
ㄱ) 3장 - 욥의 불평.
ㄴ)4:31 - 친구와의 담화 부분
가. 4: - 14: 첫번째 대화
나. 15: - 21: 두번째 대화
다. 22: - 31: 세번째 대화(소발은 제외됨)
ㄷ) 32: - 엘리후의 이야기
ㄹ) 38: - 42:6 - 욥기의 신정론(하나님이 직접 말씀하심)
ㅁ) 42:7 - 욥의 회복
8) 주제 : "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할 수 없다"(하나님앞에 잠잠하라)
9) 엘리바스는 죄는 고통받는것을 이야기 함. 전통적인 유대신앙에서 말함. 빌닷은 죽음의 신 이방 종교차원에서 말함.
10) 소발은
a. 철학자의 차원에서 말함.(인간은 어차피 고통이라는 것이다)
b.숙명론으로 말함.
11) 12:6 - 14:21, 욥이 하나님과 변론하기를 원하고 하나님께 맞을까봐 두 려워하고 하나님의 위대함을 인정하고 있음.
12) 첫번째 대화에서는 욥이 친구에게 대듬.
두번째 대화 : 좌절하기 시작함. 세 친구와 논리가 질서 정연하게 들림 (9:26부활 사상이 처음나타남. 이원론적 사상)
세번째 대화 : 엘리바스는 하나님에 대하여서 모독하는 발언함(인간의 고난에 대해서 이해심이 없다. 너는 회개해야 한다.- 정통적인 ) 이
암흑속에서 욥은 하나님을 확신할려고 함.빌닷은 숙명론을 이 야기 함(신은 높고 인간도 어차피 더러운 자이다. 욥이 지혜자인척 하는것을 꾸짖음)
13) 27: - 31: 인간의 제한성을 깨닫는 것이 참된 지식이다.
14) 32:1-37: 엘리후는 유대종교의 바탕에 섰는데 하나님의 구속주 개념에서 말함.
ㄱ) "너를 시련해서 연단하신다"(욥기에서 가르치는 것으로는 틀린것이 다.)
ㄴ) 하나님, 앞에서 즉 구속자 앞에서는 겸손해야 한다.(욥기에서 말하는 경건이 아니다.),
15) 38: - 42:(신정론에서)
ㄱ)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에는 절대적인 거리가 있다.
ㄴ) 교만이 비천으로 바뀌고 영은 겸손으로 가득차야 한다.
ㄷ)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이 깨지는 것이 좋은 신앙임을 가르치고 있 다.
ㄹ) 하나님은 이해할 수 없다. 침묵요구
ㅁ) 욥기에서 말하는 지혜는 하나님 앞에 침묵하는 것만이 가장 큰 경건 이다.
ㅂ) 욥의 의가 아무것도 아닌것을 안 다음 하나님께 받아들여진다(회복)
ㅅ) 갑절의 축복
여기서 하나님의 은혜)라는 것이 얼마나 큰 것임을 욥을 통해 깊이 나타난다.하나님의 은혜가 풍성하다는 것은 나의 모든 것을 배설물로 여길때이다.
(2) 시편
1) 다섯권으로 되어있음.
a. 1권 : 창세기와 관련있다.(창조와 인간에 대해서)
b. 2권 : 출애굽기와 관련있다.(구속)
c. 3권 : 레위기와 관련있다.(예배)
d. 4권 : 민수기와 관련있다.(지상의 순례)
e. 5권 : 신명기와 관련있다.(하나님의 말씀)
2) 기록자의 구분
a. 다윗의 73개 기록
b. 아삽이 12개(50.73-83, 역상 15:17, 16:5)
c. 고라의 자손 10개(42,44-49,84,87,88),(민16,26:11,대상19:19,대하20:19)
d. 솔로몬2개(72,127)
e. 에스라인 헤만1개 (88),에단1개(89)
f. 모세 1개(90)
3) 내용구분
a. 메시야시: 2,8,16,22,31,40,41,45,68,69,102,110,118
b. 창조시(엘로힘 시): 8,19,29,33,104
c. 역사 시편(야웨시편) : 78,105,106
d. 회개시 : 6,32,52
e. 묵시적인 시 : 46,72,89
4) 궁켈이 나눈 내용
a. 찬송시 : 113,117,137,148,150,33,96,98,105,149,95,118,76,115
b. 시온의 노래(왕국, 다윗계약) : 46,48,66,76,87,122
c. 대관식 시 : 93,97,99,(선교헌신 예배때)
d. 민족회개 시 : 44,74,79,80,83
e. 제왕 시 : 2,18,20,21,45,72,100,101,132,144
f. 개인 탄식시: 3,5,6,13,17,22,25,26,27,28,31,35,38,39,42,43,51,54,55,57,
59,61,63,64,69,70,71,86,88,102,109,120,130,140,141
g. 개인 감사시 : 18,30,32,34,40,41,66,92,116,118,138,100,107
h. 신뢰 지혜의 시
ㄱ) 신뢰 : 11,16,23,27,62,63,91,121,125,131
ㄴ) 지혜 : 36,37,49,73,78,112,127,128,130
i. 율법시 : 1,19,119
j. 순례시 : 121,120-134(성전순례시)
5) 종교적 교훈
ㄱ) 야웨의 유일성
하나님의 속성이 정의, 사랑, 선 등의 인격적인 속성을 가진분이라 함 은 결국 야웨만이 절대적인 신이라는 것(시77:13, 시147:5)등
ㄴ) 인간의 연약성
시100:3, 시119:73, 104:27, 103:14, 103:15
ㄷ) 하나님을 계시하는 자연
시104:17,18, 22:21, 104:12, 92:12, 147:8, 33:7, 135:7등
(3) 잠언
* 저자
- 솔로몬으로 알려져 있으나(1:-22:16, 22:17-24:34:)현자가 기록한 말이다.
- 25:1 - 28:27는 히스기야의 신하들이 다시 수집.
- 30: - 아굴의 잠언
- 31: - 르무엘의 잠언
* 1:9 - 9:18 - 솔로몬의 제1잠언집
10: - 22:16 - 솔로몬의 제2잠언집1
* 22:17 - 24:32 - 현자의말 1집
24:23 - 24:34 - 현자의말 2집
1) 내용
ㄱ) 1:1-7,- 서론
ㄴ) 1:8 - 7:27 - 지혜에 대한 질문과 토론(토의)
ㄷ) 2:1 - 7:27 - 지혜의 귀중성과 보상
ㄹ) 8:1 - 9:18 - 지혜에 대한 찬양
제1집에서는 지혜의 본질에 대해서 가르친다. 지혜는 하나님께만 있다. 모든 지혜는 하나님을 경외하는데서 시작된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가 가장 지혜로운자이다. 은보다 지혜를 취하면 모든것을 다 얻을 수 있다.
현인의 말 : 제1집은 관원들이 가져야 할 지혜에 대해서 말을 함(궁중에 서 왕자들을 교육, 관원들을 키워 내는곳이 삶의 진리이다.) 제2집도 이 에 대한 토의 사상.
ㄱ) 히스기야의 서기관의 집
a. 25: 왕과 신하와의 관계 - 왕에게 가르치는 지혜
b. 26: 미련하고 어리석은 자
c. 27: 친구
d. 28: 생활잠언
e. 29: 왕이 일반백성에게 재판할 때 가지는 지혜
ㄴ) 30: 아굴의 잠언
ㄷ) 31:10 - 31 - 현처에 대한 찬양
2) 신학
ㄱ) 왕궁지혜(히스기야 잠언은 더욱 그러했다.)
궁중에서 왕자교육, 관원교육 등
ㄴ) 세속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님께 제사드리는 문제, 계약, 안식의 개념이 없다.
ㄷ) 인격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겸손, 충고, 신중, 이해심, 의로운 행실, 부지런함, 정직, 말조심, 감정 조정, 부자와 빈자문제, 윗사람 아래사람 문제, 술, 여자.
ㄹ) 어린사람에게 가르치는 분위기
"아들아"(22번 나옴)
ㅁ) 인과응보 사상이 있다.
신명기에 나오는 인과응보의 사상과는 다르다. 하나님의 섭리로여겼기에(자기가 신중하고 절제하면 성공한다. 교만하고 거만하면 실패한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에서 나오는 열매 등이다(신중, 절제)
ㅂ) 하나님에 관해서 전면적으로 내놓고 말하고 있지 않다.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들을 어떻게 한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세계의 인과응보를 감찰하시는 자유로운 분으로 나타남)
ㅅ) 종교적인 요소가 조금있다.
여호와 겨외, 축복, 여호와 지식이라는 용어가 조금 나온다.
ㅇ) 창조에 대한 지혜를 가르치고 있다.
지혜가 창조이전에도 있었다.(창조섭리와 지혜는 하나이다. 창조섭리 에 따라사는 지혜가 최고의 지혜이다.)
= 좌우로 치우치지 않는 삶. 하나님을 경외할때만 가능함.
* 하나님 경외 : 하나님을 바라본다는 상태를 말함.
3) 본문 설교할 때 주의할점
ㄱ) 본문을 길게 잡지말라
짤막하게, 짤막하게(격언을 모아놓은것이기에 2,3절씩,3,4절씩)
ㄴ) 예언자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율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게 가장 좋은 진리입니다.", "이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렇게 말해주어야한다.
교인들로 하여금 고개를 끄덕끄덕하게 만들면 된다.
ㄷ) 예화, 속담을 섞어가면서 하면 좋다.
철학자의 말을 사용하면서 성경의 지혜는 더 우월하다는 것을 강조해 야 한다.
잠언의 강조점은 "성공과 행복"
(4) 전도서
1) 원책명 : 전도자
"다윗의 아들 예루살렘왕 전도자의 말" - 그래서 솔로몬으로 보고 있다.
2) 랍비의 전승에
아가 - 청년, 잠언- 중년, 전도서 - 말년에 기록했다고 본다.
= 학자에 의하면 히스기야가 기록한것 이라고 보고 있다.
3) 분위기
회중들을 앞에 놓고 집회할때 지혜를 가르치는자가 선포하는 분위기
4) 하나님에 관한 지혜를 알기에는 유한한 인간은 부족하다에서 시작된다. (욥기와 같은 반지혜적이다)
5) 구약의 전통신앙에 대해서 반대하고 있다.
역사가 하나님의 활동 무대라는 것이 전통신앙인데 전도서는 역사뒤에 감추어져 있다고 말한다.
= 경험, 인간지적에 확신을 가지고 있지 않다.
6)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확실하게 확신하고 있지 않다.
7) 역사의 과정도 의미없다.
8) 인과응보도 사실이 아니다
9) 지혜는 불행을 극복하는데는 필요하다.
10) 왕과 관원에게 지혜는 무기보다 낫다. 생명을 구원해 주고 성공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그 지헤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8:16) 숨겨져있어 답답하다(9:13-16)
11) 가난한 지헤가 있다.(10:1), 지혜가 많을수록 번뇌도 많다.(1:18)
12) 신앙은 어차피 불안하다.
13) 인간의 낙관적인 주의에 의심하고 있다. 인간은 우연과 운명으로 복합되 어있다.
14) 재난이 의인에게로
현자의 재산이 우매자에게로 간다. 사망은 이 모든 우연과 운명의 종지 부를 찍는다. 가장 큰 지혜는 인생을 고통, 수고와 두려움으로 사는 것이 다. 인간에게는 의도 없다는 것이다.
15) 세상은 악으로 가득찼고 인생은 비참하다-위로자도 없고 도울자가 없다.
a. 해결하기 어렵고 모순되는 것이있다,
b. 사람이 동물보다 나을 것이 없다.
c. 세상 전체가 수수께끼다.
16) 지혜는 인간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 있다.
17) 만사는 때가 있다.
18) 하나님은 인생을 이해하지 않으시고 멀리 계신다.
19) 하나님은 이해할 수 없다.
20) 하나님은 하늘에, 인간은 땅에 있다.(5:2)
21) 하나님은 두려워 하는 것 뿐이다.(3:14, 5:6)
22) 인생과 이 세상은 하나님의 작은 선물이다.
23) 인생의 가장 중심에는 생명이 있고 생명과 더불어 작은 선과 행복을
주신다.
24) 인생은 지나가는 작은 행복을 즐기라
25) 인생은 즐기라는 말이많다.(7:14, 8:15, 9:7-9, 11:9,5:17-19, 2:24,3:2이하)
26) 해아래서 수고하는 것이 헛되다.
27) 인생의 작은 행복을 하나님의 은혜로 받아 들일것을 권고하고 인간의욕 심에서 계산된 작은 계획을 버리라. 인생의 도처에 있는 즐거움을 하나 님의 선물로 받으라
28) 인생의 작은 즐거운 것들을 즐기고 하나님를 경외하라.
(5) 아가
1) 제목 : "노래들 중에 노래" - 히:빼어난 노래
2) 유대전통 : 아가 - 젊었을때, 잠언 - 중년때, 전도서 - 말년에(솔로몬)
3) 1:1 - 2:7 신랑에 대한 신부의 사모함
2:8 - 3:5 사랑이 증거하고 솔로몬이 소녀를 예찬함.
3:6 - 5:1 솔로몬에 대한 예찬과 신부에 대한 예찬(약혼식 부분)
* 4:8 신부찬양(결혼했는것)
5:2 - 6:9 남편(목동)이 떠남-신부가 신랑을 사모하는 노래(포로중기에 속함)
6:10 - 8:4 신부의 아르다움을 찬양(떠나있는 남편이 신부를 그리워하는 내용)
8:5-14 다시만나서 참사랑의 영원함을노래(포로후기의 회복되는 하나님 찬양)
4) 마지막까지 논란이 되었다.
랍비 : "아가를 술집이나 파티하는 장소에서 세속노래로 증거는자들에게 는 내세가 없을것이다."
5) 솔로몬의 저자로써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사랑을 이야기 하는것으로 받아 들여져서 경전에 남게됨
6) 솔로몬의 애가는 원래"솔로몬에 관한"이다. 솔로몬에 관하여 지은 노래로 보는 것이 좋다. (문법적으로는 솔로몬의 저자는 받아들여 질수는 없다.)
7) 솔로몬 1005잠언(왕상4:32)
아1:9 - 신랑을 말에 태움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왕상10:28
8) 술람미여인 : 흑인여인(구스) - 이런 못난 우리를 하나님은 사랑해 주셨 다는 것을 보여준다.
애굽의 영향
a. 애인사이를 오빠, 누이로 부른다
b. 나무 아래서 사랑을 나눔
c. 머리카락을 가지고 애정 표현함.
d. 여3:29, 엡5:21-23, 계18:23,21:2,9, 22;17
= 교회에 대한 말씀이다.(신부 = 영해해석)
10) 감각적인 비유가 많다.
(애인을 정원사, 목동으로 표현, 과일 및 향유등이 많이 나온다)
110 영해를 할 수 밖에 없다(비유적 해석. 솔로몬 = 하나님)
오리겐 - 개인의 영혼으로 보고있다.(술람미 = 성도)
= Allegorical Interpretation
제 6 장 예 언 서
[1] 구약의 문서 예언자 연대표
1) 왕국분열(930)
ㄱ) 북 이스라엘
요나(760년경), 아모스(760-744), 호세아(750-725)
ㄴ) 남 유다
이사야(740-701),미가(753-690),스바냐(639-21),나훔(663-21),예레미야 (626-585),하박국(630-600),오바다(587),에스겔(593-570),다니(609-530) 학개(520-18),스가랴(520-18,490-75),말라기(444-400), 요엘(444이후)
[2] 구약의 예언자
(1) 분열왕국시대 이전
1) 아브라함 - 창20:7
2) 아론 - 모세를 위한 선지자 출7:1
3) 모세 - 민12:5-8(하나님과 대면하여 명백히 말함)
4) 드보라 - 여선지자, 삿4:4
5) 무명의 선지자 - 삿6:8
6) 사무엘 - 삼상3:1
7) 하나님의 사람 - 제사장 엘리의 아들들이 죽는다고 예언함(삼상2:27-36)
8) 사무엘 시대의 선지자의 무리 - 라마 나욧지방의 사무엘의 제자들(삼상 19:18-20:1)
9) 나단 - 다윗왕 때(1011-970)
삼하7:2-17, 12:1-25
10) 다윗왕 때, 삼상22:5, 삼하24:11-29
11) 실로사람 아히야 - 솔로몬왕 때(970 - 930)
왕상11:29-40
(2) 분열왕국 시대9북왕국 이스라엘에서 활동한 예언자)
1) 실로사람 아히야 - 여로보암 1세(930-910),상11:29-39,14:1-18
2) 유다출신의 무의 예언자 - 여로보암 1세, 왕상13:1-32
3) 하나니의 아들 예후 - 바아샤왕(909-886)
4) 엘리야 - 아합왕(874-853), 아하시야왕(853-852), 왕상17: - 왕하2:
5) 한 선지자(거짓 선지자) - 아합왕 때, 왕상20:14이하
6) 이믈라의 아들 미가야 - 아합왕때, 왕상22:13-28
7) 엘리사 - 아하시야(853-852), 여호람(852-841), 예후(841-814), 여호아하스 (814-798), 요아스(798-782), 왕상19:16이하, 왕하13:21
8) 엘리사의 선지생도들 - 왕하4:1, 4:38, 6:1, 9:1
9) 호세아 - 여로보암 2세(782-744), 호세아서 1:1
10) 아모스 - 여로보암2세, 아모스서 1:1, 7:10
11) 요나 - 여로보암2세, 왕하14:25
12) 오뎃 - 브가왕 때 (752-732), 대하28:9-11
(3) 분열왕국시대(남왕국 유다에서 활동한 예언자)
1) 스마야 - 르호보암(930-913), 대하11:2-4,12:5-8
2) 오뎃의 아들 아사랴 - 아사왕(911-870), 대하15:1-7
3) 하나니 - 아사(911-870), 대하16:7-10
4) 하나니의 아들 예후 - 여호사밧(873-848), 대하19:2-3
5) 야하시엘 - 여호사밧, 대하20:14-17
6) 이믈라의 아들미가야와 거짓 선지자들 - 여호사밧, 왕상22:5-28
7) 도다와후의 아들 엘리에셀 - 여호사밧, 대하20:37
8) 엘리야 - 여호람(853-846), 대하21:12-15
9) 여호야다의 아들 스가랴 - 요아스(853-796), 대하24:20-22
10) 이사야 - 웃시야(791-740), 요담(740-736), 아하스(736-716), 히스기야 (716-687), 이사야 1:1
11) 미가 -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왕 때, 미가1;1
12) 나훔 - 주로 요시야왕때 활동, 660-615년에 기록.
13) 하박국 - 요시야(641-609)
14) 여선지자 훌다 - 요시야, 왕하22:14-20
15)스바냐 - 요시야, 습1:1
16) 예레미야 - 요시야, 여호아하스(609), 여호야김9609-598), 여호야긴9597),
시드기야(597-586), 렘1:1-3
17) 우리야 - 여호야김(609-598), 렘26:20-23
(4) 바벨론 포로기
1) 에스겔 - 바벨론에서 예언활동, 593-570
2) 오바댜 - 가나안 땅에서 예언,587
3)예레미야- 정복당한 유다에서(렘40-42)와 애굽에서(렘43-44)활동, 587-583
4) 다니엘- 느부가네살(605-562)와 파사의 고레스(539-529)등의 바벨론과 파 사에서 활동
(5) 바벨론 포로후
1) 학개 - 520-518, 가나안에 귀환한 후(스5:1)
2) 스가랴 - 520-518,490-475, 가나안 땅에서 학개를 도와 예언한 후 중단했 다가 다시 예언함
3) 노아댜와 그외의 선지자 - 느헤미야가 성을 세우는데에 반대하여 예언함 (445경)느6:15
4) 말라기 -440-400
5) 요엘 - 시대 불명(느헤미야 시대이후, 말라기와 동시대 444년 이후?)
[3] 구약에 나타난 예언의 특징
(1) 이방인에게도 예언이 있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예언은 다르다.
1) 이방인의 예언
ㄱ) 세속적, 기계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ㄴ) 도덕적 종교적 경험을 주지 못함.
ㄷ) 그들의 신의 두려움을 가르쳐 줄 뿐이다.
ㄹ) 윤리적, 역사적 치유문제가 없다.
ㅁ) 회개, 소망선포가 없다.
ㅂ) 미래일을 알아맞치거나 신을 가르칠 뿐이다.
2) 이스라엘의 예언
ㄱ) 이성적 사고에서 이루어짐
ㄴ) 역사 속에서 전통적으로 전승
ㄷ) 윤리적, 소망, 회개 가르침
ㄹ) 목적 : 현실을 치료하는게 있다.
(2) 유대와 이스라엘의 삶의 배경
1) 사무엘 이후부터 본격적인 예언활동 시작
2) 예언자들이 생겨나면서 직업 예언자들이 등장함(사무엘시대부터)
3) 최초의 직업예언자 - 나단(궁중에서 역할), 건전한 직업예언자
4) 나중에 가서 거짓 예언자들이 나타남 - 전쟁에 나가면 승리할 것을 많이 예언했다.(왕의 범죄, 숭배에 대해서는 침묵, 아첨을 행함)
5) 예레미야시대 때에도 하나냐란 거짓 예언자가 나타남
6) 왕 밑에서도 돈을 받으면서 기복적인 예언을 함
* 참 예언자들도 있었다 - 돈을 거절, 여러곳에서 예언
ㄱ) 학파를 형성한 것이라고도 본다(사무엘, 엘리사) - 연결되었다.
(미가 - 예레미야)
ㄴ) 하나님 말씀만 전파하기로 함.
ㄷ) 심령이 뜨거웠다.
ㄹ) 평온할 때도 하나님 심판 예언함.
ㅁ) 제사 부패성, 백성의 죄를 짊어지고 기도함.
ㅂ) 분명한 소명의식이 있었다.
ㅅ) 희망 선포
[4] 예언서의 각론
(1) 이사야
1) 생애 및 활동
ㄱ) B.C740년, 웃시야 죽던해 소명받음.(704-701까지 예언활동 했다고도 하고, 680까지 예언활동했다고도 함)
ㄴ) 웃시야 - 요담 - 아하스 - 히스기야 내려오면서
ㄷ) 소명받은 이유
아하스 왕 때문에(악한 왕)
친 앗수르 정책을 쓰면서 바알 우상 섬김. 바알제단 세움, 힌놈의 골 짜기에서 어린아이를 바알에게 제물드림.
ㄹ) 북이스라엘이 쳐들어옴(왕하16장)
ㅁ) 깨닫지 못화고 성전문 폐쇄 - 에돔에게 고통을 당함.
ㅂ) 대하28장 - 앗수르의 디글라 필레세로 하여금 침략시킴 - 어려움(기 근) 이사야를 보내면서 구원받을 것을 예언함.
ㅅ) 후에 히스기야 왕을 만나 종교개혁을 일으킴.
ㅇ) 히스기야 왕도 회개치 않자 앗수르 쳐들어 옴.(산헤립) 그러나 구원받 음
a.704년 쳐들어 옴 - 기적이 일어남- 앗수르 본토에서 반란이 일어남.
- 예루살렘 구원
b.이때 히스기야 애굽왕과 동맹 - 실패
c.히스기야 죽은 다음 므낫세왕이 일어남(악한왕)-이때 예언하지 않음
2) 이사야서의 내용구분
ㄱ) 1-39장 : 이사야의 당시의 예언
ㄴ) 40-66장 : 이사야 후의 사건에 대한 예언
3) 이사야서의 구분
ㄱ) 제1이사야(1-39)
ㄴ) 제2이사야(40-55)
ㄷ) 제3이사야(56-66)
*학자들의 견해
a.J.Doderlein 1789년 40-66장을 이사야쓴것이 아니고 6세기 경에 이사 야의 전통을 이은 사람이 썼다고 함.
b.Derhard Dugm이라는 사람이 40-55장 제2이상야, 56-66장 제3이사야 로 구분(C.F.Kent도 같이 주장함)
c.그러나 보수주의자들은 하나로 보고 있다.
이유 : 가.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하나님"이란 말이 25번이 나오는데 골고루 나온다.
나. 대로의 사상
다. 남은자 사상
라. 시온 사상
마.임산한여인의고통 바.여호와의입이이렇게말씀하셨다. 그러나 나누어질 수 있는 요소가 많이 있지만 보수주의자 들은 이사야가 한 군데에서계속에 예언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다고 보고 있다.
4) 이사야의 신학
ㄱ) 여호와는 그 백성에게서 정의와 의를 요구하시는 거룩하신 하나님이 시다.(6:3,6:6,17:7)
ㄴ) 죄는 여호와께 대한 반역이다.(1:2-3)
ㄷ) 여호와는 그들을 사랑하시기 때문에 회개하고 신앙으로 돌아오기를 요구하신다(1:10-15)
ㄹ) 여호와께 대한 죄와 반역의 결과는 심판이다.
ㅁ) 심판을 넘어서서 남은 자가 구원받으리라(8:18)
5) 이사야서의 중심사상
ㄱ) 야웨의 주권사상(역사를 주관하신다)
ㄴ) 하나님의 열방심판(우주적 신관)
ㄷ) 야웨의 거룩하심
도덕적 부정에 대한 소극적 이탈에 계시는 하나님의 거룩이 아니라 부정을 몰아내시고 야웨의 도덕적 정결을 나누어주신다.- 칭의사상을 말하고 있다.
ㄹ) 원죄문제
ㅁ) 야웨의 신앙강조
하나님 앞에 바로 서는 것만이 역사와 인간의 치유의 길이다.
ㅂ) 종말론적인 묵시사상
(2) 예레미야
1) 생애 및 활동
ㄱ) 626년 요시야 왕13년때 소명
ㄴ) 아나돗 지방에 힐기야의 아들
ㄷ) 세속화된 모습을 보며 소명받자마자 준엄한 예언함 - 고향에서 배척 당함.
ㄹ) 율법서 발견으로 요시아왕을 도와 예언함
ㅁ) 후에 여호야김이 일어나 쿠테타로 왕이 됨 - 여호와하스가 쫓겨남.
ㅂ) 605년 예언이 성취 - 많은 사람들이 예레미야를 따름
2) 인물
ㄱ) 구약의 뛰어난 인물
ㄴ) 선지자로써의 책임을 가지고 이스라엘 역사의 완전단절이 왔을 때에 도 단절되지 않고 계시는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고 해석해 주었다.
ㄷ)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 고난의 종을 예시한 인물, 그 백성과 고난을 같이함.
ㄹ) 삶으로 표현한 신학자였다.(고난의 현장에서 그의 삶으로 표현함)
3) 예레미야의 예언구분
ㄱ) 626- 621 : 이스라엘의 죄악(호세아 영향받음) - 초기 때
ㄴ) 621-609 : 종교개혁 - 요시아왕 사망, 신명기적예언
ㄷ) 609-605 : 요시아 사망 - 갈게 미스 전투까지
a.성전신앙 공박
b.계약지키지 않은 곳엔 책망
c.실로 성전과 같을 것이다
d.제사회복 강조
ㄹ) 605-598 : 갈게미스에서 제1차 포로될 때까지
a. 하나님께 탄식하며 회의를 가짐(11장, 12장, 13장, 15장, 19장, 20장)
ㅁ)598-587 : 제1차 포로에서 예루살렘 멸망까지
a.느부가넷살에 의해 멸망될 것을 예언
b.70년만에 돌아올 것을 예언
c.바벨론에게 화목하라
ㅂ) 애굽피신 - 583년 사망
4) 신학사상
ㄱ) 유다의 심판
a.우상숭배
b.힌놈골짜기에서 바알, 몰랙 위한 어린이 제사드린것 지적(7장,19장,
32장)
c.하늘의 여왕 섬기는 것 말함.
d.도덕적 부패
e.바벨론을 들어서 심판
ㄴ) 영적인 내면성 강조
a.내면적 마을에 순결성 없이 외부적 할례 소용없다.
b.외형적인 제사 하나님 받지 않으신다.
c.새마음과 새 계약사상 강조 (미가의 영향받음)
ㄷ) 하나님 말씀에 대한 신학사상
a.하나님 말씀 전하는것을 소명으로 앎
b.외면적 제사보다 말씀을 통한 내면적 갱신강조
c.하나님의 아심에 대한 사상강조
d.예정사상(복중에 있는 자기아심, 하나님은 세상일을 아심)
e.죄, 회개 심판, 용서 사상
이스라엘이 고침받은 것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서만 가능
f. 종말론적인 예언사상
. 남은자 모을 것이다.
. 다윗에게서 새로운 가지가 나올것이다.
g.야웨의 역사활동
. 계약에 근거해서, 부자, 신랑, 신부바탕에서 말함.
5)중심사상:유다는 범죄함으로 멸망할 것이지만 하나님께서 새로운 관계를 맺어서 회복시켜 주시고 그리고 그들의 땅으로 다시돌아오게 하실 것이다.
(3) 예레미야애가
. 저자 : 예레미야, 70인역에서도 그렇게 보고 있다.
. 히브리어에는 - "애카","아" 탄식하는 표현
. 대하35:25 - 예레미야가 애가를 지었다고 나오고 있다.
. 예루살렘 성읍의 멸망한 것을 친히 목격한 사람(애1:13-15, 2:6,9,4:10)
. 대체로 예루살렘에서 거주(B.C.587)
1) 역사적 배경
ㄱ) 대하25:, 겔37:,39: - 건물 불탐. 성이 무너짐. 기근심함, 지도자 죽음. 포로로 끌려감.
a.많은 사람이 선택의 신앙을 의심함.
b.예언자의 예언 의심.
c.영적인 위기가 닥쳐옴
2) 내용
ㄱ) 1-3장 : 예배용
ㄴ) 4장 : 제사장들의 탄식
ㄷ)5장 : 하나님의 신뢰에 대한 찬양
3) 특징
ㄱ) 제사적인 삶의 자리
ㄴ) 지혜자의 교육적인 내용이 있다. 예언자적인 분위기가 들어있다.
ㄷ) 과거의 영광과 포로로 끌려가는 상황의 비극적인 상황을 반보고해서 탄식해 가고 있다.
ㄹ) 이런 결과가 신실하신 하나님께 불복종함에 있다.
하나님께 참된 회개를 하고 돌아와야 한다.
ㅁ) 기도강조
ㅂ) 미래의 소망을 가르침
ㅅ) 고난의 문제가 민족과 역사의 차원으로 확대
(4) 에스겔
1) 특징
예언 문학인 동시에 묵시문학적 요소를 구비, 인간이성의 한계를 초월하 시는 절대주 하나님을 묘사. 특히 한 목자로서의 메시야를 묘사. 선한 목 자상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계시록에 영향)
2) 다른 서와 비교해 볼때 다른 특징
ㄱ) 하나님의 부름을 받을 때 이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두루마리를 씹어먹는다. 폭우, 짐승나타남)
ㄴ) 예언의 말씀이 특이하다 - 두루마리 씹어 먹는것 : 에스겔의 말이 야 웨의 말로 확증하는 것을 의미
3) 에스겔의 신관
초월적 신관을 말하는바 야웨는 인간이 가까이 할 수 없는 광체와 불로 두러싸여 있기에 오직 야웨앞에 엎드려 그 율법을 듣는 것 밖에 없다.
4) 신학
ㄱ) 야웨는 유다의 심판하시되 모든 죄를 지은 사람도 심판하신다 - 공평 하신 하나님
ㄴ) 야웨는 심판하시지만 그의 백성에게 새 생명을 주어서 그의 백성과 함께 하시다 - 임마누엘의 하나님
ㄷ) 죄는 제사를 잘못드림에 있음으로 바른 제사를 드리라
(5) 다니엘
1) 특징 및 내용
. 사상 : 이방에서의 남은 사상을 보여줌. -지혜자적으로 가르침(이방에서 신앙을 지키면 하나님께서 크게들어 쓰신다.
. 꿈이 매우 중요시 다르어짐.
. 환경이나 역사를 초월해서 남은 자를 구원하시는 것을 보여줌 - 초자연 적으로 구원해 주신다.(그러므로 강한 믿음 요구)
ㄱ) 1장 - 6장 : 다니엘의 실제적인 경험사건
a.1: 느부가넷살에 의해서 포로로 끌려가는 사건 나옴. 채식사건 나옴 (육식 거절 - 우상숭배한 제물) 지혜를 더하여서 지위가 올라갔다.
b.2: 느부가넷살의 꿈
c.3: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의 고통당하는 일(남은자 사상 보여줌)
d.4: 느부가넷살의 꿈
e.5: 벨사살왕의 이야기(메네메네데겔 우르바신)
f.6: 사자굴의 이야기
ㄴ) 7: - 11: - 종말론적인 묵시(정확하게 환상을 봄)
그래서 B.C186년 이후로 본다는 학자도 있다.
a.7: 네짐승이 나옴(다니엘서의 인자를 예수로 말함)
b.8: 수양과 수염소 이야기
c.9: 70이레의 환상(70*7=490) - 예루살렘 성벽 중건한 후 70이레만에 메시야가 끊어진다.
- B.C458년,B.C490-458: 32년, 33년 정도가 예수님 십자가 달리심
e.10: 다니엘의 기도
f.11: 안티오거스 애피파네스의 치하에서 박해상황
가) 11:1-4 - 파사왕국에서 알렉산더까지
나) 11:5020 - 프톨레미 왕조와 셀루시이스 왕조의 전쟁
다) 11:21-39 - 이스라엘을 본격적으로 박해
라) 11:40-45 - 종말에 나타나는 안티오코스 애파파네스(종말에 나 타날 거짓 그리스도를 의미함. 성도와 적그리스도와의 전쟁)의 출현에 대한 이야기
g.12: - 환난자 하나님의 백성의 최후의 승리
가) 12:1 - 대 환난
나) 12:2-3 - 부활과 심판
다) 12:4 - 봉하다
라) 12:5-7 - 3때반과 3년만의 이야기(전3년반, 후3년반 말함)
마) 12:8-13 - 다니엘을 향한 마지막 명령<1290(1335일에 포함되는 날짜), 1335일(전3년반을 의미)>
2) 신학
ㄱ) 열국의 우상들과 뛰어난 하나님의 우월성
ㄴ) 세상나라보다 더 뛰어나고 높은 인자의 나라(세상나라가 아니다. 결코 망하지 않는 나라)
ㄷ) 핍박 때가 끝나면 메시야 오신다(그때 인간의 나라 망한다)
ㄹ) 하나님의 주권강조
ㅁ) 야웨신앙을 버리지 말자
3) 인자사상
ㄱ) 천사적 해석 ; 천사를 가르친다.
ㄴ) 집합적 해석 :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을 가르친다.
ㄷ) 혼합적 해석 :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과 메시야적인 것을 의미한다.
ㄹ) 신화적 해석 ; 바벨론의 신화에서 온 사상이다.
(6) 호세아
1) 역사적 배경 및 생애
ㄱ) 아모스와 동일
ㄴ) B.C.750 - 725년(여로보암 2세)
ㄷ) 평화롭고 부흥기에 있었던 시대(북 이스라엘)
ㄹ) 친 앗수르 정책을 씀, 무역을 하는 것까지는 좋았으나 동시에 우상을 섬김
ㅁ) 종교적인 문제를 다루었다.(아모스는 정의 공의를 나눔)
ㅂ) 왕족 출신이었다.(호세아 - '구원')- 왕족에게 붙여진 이름
ㅅ) 북와국 출신의 예언자(예레미야에게 영향을 미쳤다)
2) 내용
ㄱ) 1-장 - 고멜에 대한 이야기
a.은15보리반호멜로 간음한 아내 데리고 오다
b.상당기간 동침하지 않음 - 제사, 왕이 없을 것에 대한 예표(3:1)
ㄴ) 4 - 14반
a.북 이스라엘에 대한 예언
b. 4-10은 교만과 우상, 제사와 제사장의 타락에 대한 북 이스라엘 심판
c.11장은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
d. 11:12-13:6 - 불충성과 하나님에 대한 반역에 대한 결과로 파멸
e. 14장 : 통회하는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자비
3) 호세아의 예언의 중요한 개념
ㄱ)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강조하고 있다.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없기에 우상에게 달려가고 있다. 시내산의 계 약개념을 모르기 때문에 하나님을 떠났다는 것이다. 우상에게 가는것 - 영적간음 으로 간주
ㄴ) 회개문제를 다룸
호세아의 회개는 우상에게서 돌아오더라도 영적으로 신생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스라엘에의 회개는 연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체험이다. 하나님의 참된 자각을 깨달을 때까지가 회개이다. 즉 계약적 영성강조했다.
ㄷ) 헷세드강조함(사랑, 자비)
하나님의 사랑강조. 하나님의 사랑에 의해서 이스라엘이 다시 회복할 것이다. 이스라엘의 고난을 하나님의 채찍으로 이해했다.
ㄹ) 야웨백성을 강조함
ㅁ) "듣고 돌아오라"는 말을 많이함
ㅂ) 앗수르에게 끄려갔다가 다시 돌아올 것을 예언
4) 호세아의 신지식
야웨의 계약사상에 바탕을 둔 것으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선택 하였다. 선택과 계약 - 호세아와 고멜관계, 이지식. 즉 하나님이 이스라 엘을 선택하시고 계약맺으신 바로 그 사랑이 없기에 이스라엘은 망한다 (호4:6,6:6)
5) 아모스와 호세아의 차이점
ㄱ) 아모스
사회정의 문제다룸. 제사의 타락, 왕정의 타락, 일반백성의 타락, 윤리 적 문제
ㄴ) 호세아
종교적 문제 많이 다룸
6) 호세아의 공헌
ㄱ) 새로운 신관
ㄴ) 고난에 대한 새로운 해석
ㄷ) 야웨를 아는 지식
ㄹ) 안정의 소재
7) 호세아의 메세지
ㄱ) 우상숭배
ㄴ) 종교지도자의 부패
ㄷ) 계약의 파괴
8) 호세아의 시학
ㄱ)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택한 백성이다.
ㄴ) 이스라엘은 여호와의 사랑을 거부하고 여호와의 계약을 파괴했다.
ㄷ) 여호와는 그럼에도 이스라엘이 돌아오기를 기다린다.
ㄹ) 이스라엘은 벌을 받게 되리라
ㅁ) 여홍와의 사랑에 의해 다시 회복될 것이다(호14:7)
(7) 요엘
1) 연대
ㄱ) 보수주의자들(E.J.Young, E.Koning, Leon,Wlld)은 호세아와 아모스 사 이에 기록되었다고 한다.
ㄴ) 암1:2 - 욜1:, 암9:13-용3:18 -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함.
ㄷ) 그러나 느헤미야시대때 기록된 것으로 보는것이 좋을 것 같다.(B.C445 년경)
욜3:1-3 - 바벨론에서 돌아오는 것을 예언하고 있다.
2:7-9 - 예루살렘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1:9,14,2:16 - 왕에 대한 언급이 없다(제사장에 대해서만 언급)
ㄹ) 3:6에 "헬라의 아들들이" 나오는데 이것을 보아 B.C. 350년경으로
보기도한다.
2) 역사적 배경
ㄱ) 느헤미야 시대에 가뭄이 있었는데 이때(요엘) 메뚜기가 또 지나간다. 포로때 돌아와서 성전 지으면 다윗왕국이 다시 회복될 줄 알았는데 이 것으로 인해서 백성들이 낙심함. 소제 들릴것도 없었다.
3) 예언의 특징
ㄱ) 요엘은 당시 상황이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이스라엘의 영적, 도덕적 타락과 관련이 있다.)
ㄴ) 임박한 심판이 가까왔다고 예언, 하나님의 재난의 날 오기전에 회개하 라. 울며 금식하며 애통하며 여호와께 돌아오라. 마음으로 애통할 것을 촉구(영적문제 다룸)
ㄷ) 그렇게 하면 주의 날이 도래하므로써 하나님께서 너희들의 회개에 용 서하신다.(3:14) - 신천 신지의 날이 온다(묵시적이며 초자연적 종말론 이다)
ㄹ) 영에 사로잡힌 신학을 말하고 있다.(2:28-29)
(8) 아모스
1) 생애 및 활동
ㄱ) 뽕나무 재배자, 목자로 여김(예언자로 여기지 않음)
ㄴ) 평신도 출신 예언자
ㄷ) 드로아의 가난한 사람(남왕국 출신)
ㄹ) 북왕국에 가서 예언
ㅁ) 남왕국 - 웃시야왕 때(B.C.783- 742) : 선왕
북왕국 - 여로보암 2세 때(B.C.786-746) : 평화시대 때였다.
a.이방인과 교역, 부축적, 왕하14:23 - 땅 확장
b.다윗왕의 영광이 찾아 왔다고 낙관
c.이때 아모스는 하나님의 심판을 선언(북왕국에서)
e.북왕국 대제사장 아마샤가 가라고 함.
2) 시대적 배경
a.빈부격차, 사치, 부패, 약탈
b.부자의 아내들은 바사에 가서 포도주 먹음
c.하나님께서 제사받지 않을 것을 예언
e.바알의 종교가 번지기 시작, 혼합 종교번성
f.제사장들도 혼합주의 반대않음
g.기복종교 내지 제사로 흘러감.
h.아모스가 하나님은 그들의 왕정정치에 있지않고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는 가운데 있다고 함
i.정의, 공의 강조, 영적갱신 강조
*. 예언자는 평안할 때도 하나님의 심판을 생각하며 기도하는 것이
필요
*. 이때에도 직업예언자가 있었지만 침묵을 지키고 있었다.
3) 신관
. 윤리적, 보편적, 신관을 가지고 있음
4) 신학사상
ㄱ) 여호와 주권강조(종말론적, 심판사상)
ㄴ) 제사보다 공의 행하라(암5:34)
ㄷ) 하나님의 요구로 종교 의식보다 의를 행하는 것이다.
ㄹ) 사치, 향락, 우상숭배, 혼합주의 지적함.
(9) 오바댜
. 낙관주의 여당 예언자
1) 역사적 배경
ㄱ) B.C. 587년에 예언함.
상황 : 성전에 무너지고(바벨로네 의해서) 포로로 끌려감. 남쪽 에돔이 쳐들어옴.약탈해감. 많은 사람들이 낙심함, 에돔을 미워함.
이런 때에 오바댜 예언함 : 주의 날에 하나님이 에돔을 심판할 것이다.
ㄴ) 다윗 때 에돔을 지매(왕상11장, 삼하8장)했는데 남왕조 요담왕 때 반 란을 일으킴 (B.C.849-840) 그래서 B.C.734년에 독립함. 2년만에 앗수 르에게 멸망함.
유다말년 - 시드기야왕 때 봉기해서 바벨론편에 붙음. 남유다를 괴롭 히고 쳐부수는데 같이 도움. B.C. 587년에 와서 약탈해 감.
ㄷ) 포로후기에는 이두매로 에돔의 이름이 바뀌었는데, 마가비 전재때 유 대의 속국이 되어서 유대가 이두매를 다스리고 유대로 개종한다. 신 약의 헤롯왕이 에돔 출신이다.(이두매 사람)
. 렘41장에 보면 에돔이 유대 망한 것을 기뻐했다고 한다.
. 겔35:50 네갑을 점령했다고 한다.
. 렘49:7-22 에돔을 나쁘게 평가하고 있다.
2) 신학사상
ㄱ) 예루살렘에 대한 반역으로 에돔이 멸망할 것이다. 그때 만방이 여호와 임을 알리라.
ㄴ) 인과응보적인 신정론
(10) 요나서
요나서는 요나를 모든 이방인들을 멸시할 뿐 아니고, 전능하신 하나님은 유대인만의 하나님이시고 이방인들의 하나님은 아니시라고 믿는 편혐한 국 가 지상주의자로써 그려내고 있다.
1) 생애 및 활동
ㄱ) 여로보암2세(B.C. 783- 743)때 살앗다.(왕하14:25)
ㄴ) 스불론지파 사람. 아밋대의 아들(뜻 : 비둘기)
ㄷ) 이방에게 하나님의 말씀 전파하는 사명을 띤 메신져
2) 역사적 배경
ㄱ) 포로기와 그 이후에 있어서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적개심 상당히 고조.
ㄴ)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택한 백성으로써 하나님의 은총을 독점하고 있 으며,이방인들은 하나님의 자비와 보호밖에 있다고 믿음(반대하는
이도 있음)
ㄷ) 두가지 사상의 조류가 있다.
a.민족지상주의 사상
b.세계주의 사상
3) 특징
ㄱ) 예언자의 예언을 모은 책이 아니라 한 예언자의 이야기이다.
ㄴ) 지혜서에 들어가야 한다는 설도 있다.
ㄷ) 풍자적이면서도 교훈적인 짧은 이야기이다.
ㄹ) 어린이들에게 교육하기 위한 책이며, 연극대본이었다고 한다.
ㅁ) 1:1과 3:1이 반복되고 있다.
ㅂ) 단어도 반복되고 있다.(말하라, 부르다, 던진다, 크다, 신이 두려워하여 등)
ㅅ) 포로후기 때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퍼지게 됨(제3이사야 때)
(11) 미가
1) 생애 및 활동
ㄱ) 모레셋 출신 - 해변가, 농사지음
ㄴ) 평민출신, 이사야와 동시대인
ㄷ) B.C710년에 소명 - 705년까지(앗수르의 침략까지 예언)
ㄹ) 남 왕국에서 예언
2) 예언의 특징
ㄱ) 호세아, 아모스, 이사야의 예언을 종합했다.(미6:8) - 종교의 본질이 어디 있느냐를 가르치고 있다.
ㄴ) 특별히 5장에서 메시야 사상이 발전함 - 베들레헴에서 나오는 메시야 (하층에서 나오는 메시야)
3) 내용구분
ㄱ) 1-3장 : 이스라엘과 유다심판
ㄴ) 4-5장 : 메시야의 왕국과 정의 실현
ㄷ) 6장 : 이스라엘과 남유다의 탄식(세상을 사랑하는)
ㄹ) 7장 : 이스라엘의 회복
4) 신학사상
ㄱ) 아모스의 예언을 가장 많이 따랐다.(거짓저울, 종교자 부패, 죄의
심판)
ㄴ) 죄를 심판하러 오시는 메시야 - 정의로 유대를 다스릴 것이다.(정의의 왕)
고난은 하나님에 의해서도 올 수 있다. 그래서 여기서는 고난이 죄의 결과만이 아니라 연단으로 보았다.
ㄷ) 하나님의 비합리적인 행동을 인정 - 신실한자가 기도해도 응답은
오지 않는다. 응답은 하나님의 신비에 속한다.
ㄹ) 악한 세상에서 삶의 기쁨을 찾는 것이 합리적인 논리나 행복론에 근 거하지않는다. 다만 하나님의 섭리 안에 감추어져 있다고 보고 하나님 의 신실하심 안에서 기다려야 한다.
ㅁ) 하나님의 2:4 말씀을 통해 해결하고 나서 2장에 와서 "화있을 찐저" 말씀을 5개 받고 의심에서 하나님께 예배 드리는데로 나아가. - 하나 님의 임재를 말씀 한마디로 체험함
ㅂ) 3장 : 하나님의 인식을 통해서 기쁨과 충만이 하나님께로부터 나온 다.
(12) 나훔서
1) 생애 및 활동
ㄱ) 뜻 - 위로, 애정
ㄴ) 렘, 합, 습와 동시대 인물 B.C612년에 소명
ㄷ) 엘고스 사람
ㄹ) 예언 - 니느웨의 멸망을 예고함
ㅁ) 1장 - 니느웨멸망, 유대를 구원하신다.
2:3 - 바벨론을 일으켜서 니느웨를 징벌하신다.
ㅂ) 왕궁 예언자였던것 같다(나단 선지자처럼) - 제사장 출신의 왕궁
예언자
ㅅ) 유대인의 낙심된 가운데서 소망을 주기 위한 메시지 전달
2) 역사적 배경
ㄱ) 앗수르 제국 아슬바니팔 B.C626 사망하고 바벨론 독립(나보폴라살)
ㄴ) 스쿠디야인들의 침입으로 북방의 방비약화, 앗수르의 서방에 대한
지배권 무력.
ㄷ) B.C.621년 요시야(유다왕) 종교개혁실시 - 정치적 이유도 있음
ㄹ) 애굽왕 느고, 갈게미스 전투에서 바벨론에게 참패
3) 특징
ㄱ) 낙관주의적 여당예언자 - 유대편에서 예언
ㄴ) 하나님의 절대주권적 역사신관
(13) 하박국
1) 생애 및 활동
ㄱ) B.C.630-621년 사이에 소명(요시야 왕 말기)
ㄴ) 부름받아 활동했지만 요시야 왕 죽고 앗수르가 B.C.620에 기울고
잠시 여호와하스가 3개월 통치.
여호야김이 반란을 일으킴(여호아하스 쫓아냄)- 왕이 됨(악한 왕)
a. 성전폐쇠시킴
b.잔인함
ㄷ) 이 상황에서 하박국은 파수꾼이었는 것 같다.
ㄹ) 하나님께 질문
a."왜 의인이 고난을 받고 악인이 득세합니까?"
b."앗수르가 멸망하는 가운데 이스라엘이 해방될 것 같은데 왜 더 센 바벨론이 일어나느냐?"
c. "선한 왕은 죽고 왜 악한 왕이 득세하는가?"
ㅁ) 합2;4에서 해답을 주신다.
ㅂ) 지혜자 출신의 예언자
2) 역사적 배경
ㄱ) 여호야김이 유다를 통치하고 있을 당시 예루살렘 배경
ㄴ) 요시야 왕 전사- 여호아하스, 애굽으로 끌려감 - 여호야김이 왕이 됨
(사치생활 위해 - 세금, 노동력 착취)
ㄷ) 부패한 정치
3) 하박국의 신학
ㄱ) 신정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악의 승리와 하나님의 정의에 대하여
질문) -욥기와 비슷
ㄴ) 하나님은 정의의 편에서 세상의 사건을 조정하신다. 이전에는 오직 정 의만이 승리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하나님은 고난과 축복만 있다고 보 았다. 그후 하박국에 와서 의인도 고난을 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욥기에서도)
(14)스뱌냐
1) 생애 및 활동
ㄱ) 왕족출신94대까지 족보소개)
ㄴ) B.C.639-621년 사이 활동(요시야 왕 때 - 예레미야보다 앞서서)
ㄷ) 요시야 왕 측근에서 요시야 종교개혁 유도함
2) 역사적 배경
ㄱ) 스구디아인들이 수리아를 침략하려고 하는 때
ㄴ) B.C.621 종교개혁을 하기 몇해전
ㄷ) 바알예배, 야웨배반, 일월성신 예배종교 또는 의복 입는데 외국풍습
따름
3) 예언의 특징
ㄱ) 1:4-9 당시의 죄악상 지적9왕하23:11의 내용과 흡사)
ㄴ) 왕족사이에도 혼합주의 성행, 재판관 타락 극에달함 바알신과 말감을 숭배, 일월성신을 숭배 - 이것을 지적하면서 여호와의 날이 임할때에 그날은 이스라엘의 종교적, 도덕적 타락을 심판하는 날이다.
ㄷ) 독특한 사상 - 개인의 내적신앙강조(회개하는 상한 심령을 하나님께 서 구원하신다) - 예레미야와 에스겔에게 직접적 영향을 끼침.
(15) 학개
1) 생애 및 활동
ㄱ) 1:1- 스룹바벨, 여호수아를 위하여 예언한 사람.
ㄴ) B.C.520 제2차 포로 귀환에서 돌아옴(스룹바벨과 함께)
ㄷ)70세가 넘은 것 같다(B.C 587 성전파괴 이전을 보았기 때문)-말년에 예언한 사람
ㄹ) 에스라3:8-13,5:16에 의하면 성전의 기초가 놓여 있었다. 돌아오자마자 성전건축, 기초놓고 중단
a.사마리아인들이 빠져 나감(포로에서 돌아온 이들이 사마리아인들을 정 죄하였기에)- 상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북이스라엘로 떨어져 나감(남 유다와 사이가 좋지 않음),사마리아 오경을따로 만들고 신앙생활을 함.
b.돌아온 이들이 귀족층인데 돈도 없었다.
c.가뭄이 듬
ㅁ)이런 이유는 성전을 짓지 않았기 때문이라 하면서 성전 재건을 예언함
ㅂ) B.C.516 스룹바벨 성전완공
ㅅ)고레스왕이 죽고 B.C.520년 다리오왕 즉위 이때 성전을 다시 지음으로 해서 다윗의 왕권, 유대종교의 부흥을 꾀할려고 하는 것이 그의 목적이 었다.
ㅇ) 목회자적인 예언자
ㅈ) 현실주의자
2) 역사적 배경
ㄱ) 스가랴의 비슷
ㄴ) B.C.586-50년간 팔레스틴은 바벨론 제국의 일부, 그동안 유대인들은 느부갓네살왕에게 포로되어 생활함.
3) 예언의 목적
ㄱ) 성전지으면 물질회복
ㄴ) 성전 중심으로 공동체 생활을 해야 한다. - 영적 열심부흥
(16) 스가랴
1) 생애 및 활동
ㄱ) 환상, 묵시적 예언자
ㄴ) 잇도의 아들(느12:4,16)
ㄷ) 학개와 같이 포로에서 돌아옴
ㄹ) 학개보다 2달 늦게 예언함
ㅁ) 초기예언 : 스가랴1장 -8장(B.C.520-518) 제1스가랴
a.학개를 도와서 성전재건 예언(8가지 환상을 봄 1-8장)
b.성전재건 예언그침 - 낙심해서
이유 : B.C.516년에 스룹바벨이 파사정부에의해 제거되었다.(당시
사람들은 스룹바벨을 메시야로 봄)
c.30년후에 다시 예언함- 후기예고
ㅂ) 후기 예언 : 9-14장(B.C490-475) 제2스가랴
a.종말론적인 메시야관 가짐 - 평화의 왕 메시야, 나귀탄 메시야
b.스룹바벨적인것이 아니라 목자의 개념으로 메시야관을 가짐
2) 역사적배경
ㄱ) 1:17-8:10 - 폐허, 굶주림, 영적인 허탈
ㄴ) 학개와 비슷
3) 에언의 내용 : 시온의 영광의 회복을 외침
(17) 말라기
1) 생애 및 활동
ㄱ) 제의 예언자
ㄴ)B.C.445 이전에 예언
ㄷ) 뜻 - "나의 사자"(천사를 의미) - 별명이라고 함.
70인역에는 "말코"라고 번역(그의 사자)
ㄹ) 탈무드 전승에 의하면"에스라"라고 한다.
ㅁ) 파사에 아부하는 유애인을 구속하는 시대(스가랴때와 같이)였다. 그래 서 자기 이름을 말하지 않고 말라기라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때 사 람들은 말라기가 누구였는지 알고 있었다고 한다.
ㅅ) 학개, 스가랴보다 훨씬 후대
2) 역사적 배경
ㄱ) 성전 준공후였지만 학개, 스가랴 예언이 안맞아 들어가고 훙텬, 가뭄 이 계속됨. 그래서 영적 열심이 낙심, 종교적으로 방조, 이방인들과 결 혼(잡혼), 십일조 소홀히(3:8-) 흠있는 예물을 하나님께 드림.
ㄴ) 느헤미야를 도와 종교부흥을 일으키며 이런 것들을 하나님 앞에 제거 해야 한다고 함.
3) 말라기서의 중심
ㄱ) 종교적 방심, 이방인들과 결혼, 십일조 소홀, 흠있는 에물 - 이런 문제 를 해결할 뿐 아니라 그속에 들어 있는 하나님에 대한 열심, 사랑, 영 적 열심까지 회복하는 것까지 요구(율법의 정신요구-예언자들이 주로 주장하고 요구하고 있는 중심적인 내용임)
ㄴ) 온전한 십일조의 의미:정확한 십일조를 의미하지만
a. 가장 좋은것의 1/10을 의미한다.
b. 하나님이 모든 것을 주셨다는 중심
c. 하나님의 사랑의 신앙고백 포함요구
4) 예언의 내용
ㄱ) 모든 고난은 죄의 결과이다. - 회개하고 의를 회복하면 복받는다.
그렇지 않으면 징벌의 날이온다93:16-18)
ㄴ) 지도자들이 먼저 회개해라
ㄷ) 제사를 바로 시행하라
5) 신학사상
ㄱ) 국수적인 유대주의, 율법주의 신학을 가짐(이방의 것을 제거하라)
ㄴ) 주권자 하나님(주권자 하나님 의를 회복하는 것은 영적인 무관심에서 떠나야 한다)
ㄷ) 종교지도자들의 타락상 지적
ㄹ) 주의 날 사상(종말론)
제 7 장 주요개념 및 기타
[1] 하나님의 신명이해
구약에선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지 않고, 영원전부터 계신분으로서
경외하는 것을 강조하며, 인격적인 지존자로(츌3:14)로 나타난다.
1)엘 - 조상들의 하나님(양육하시는 하나님)
2) 엘로힘 - 창조주 하나님(형태적으로 복수, 내용상으로는 단수취급)
3) 야웨 - 구속주 하나님, 애굽에서 구원하신 하나님. 지존자(출3:14)주님
4)엘샤다이 - 전능하신 하나님
5) 야웨츠바오트 - 만군의 하나님(삼상17:45), 승리케 하시는 하나님
* 엘 올람 - 영원하신 하나님
엘 엘리온 - 높이신 하나님, 지존하신 하나님
엘 브리스 - 계약의 하나님(모세때부터 여호와로 입증됨)
[2] 오경의 신학적 이해
1) 창 : 창조와 타락 = 창조주 하나님
2) 출 : 구원(복음), 율법수여, 거룩 = 야웨 하나님
3) 레 : 거룩(구원의 목적), 제사
4) 민 : 훈련(조직)과 완성
5) 신 : 순종(들으라, 기억하라)
[3] 출애굽신학
이스라엘 백성의 정체성을 규정하려는 것이 주목적
그 정체성은 이스라엘 백성이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하나님이 언약백 성으로서 출애굽 구속을 통하여 민족이 형성되었고 가나안 약속의 땅에 서 선민이 되기 위하여 계약을 맺은 계약백성이라는 것이다.
[4] 제사예식과 절기
1) 번제
완전한 희생, 자기 부인과 자기 위탁이 혀전히 나타남(위로 올린다) 짐승 제물의 가죽외에는 모두 불로 태운다.
2) 소제
제물이 짐승아닌 곡식예물, 단독 또는 번제와 함께 매일 아침, 저녁으로 드림, 고운가루 드림, 하나님께 대한 충성과 희생 봉사의 정신(누룩, 꿀 사용하지 않고 소금만 사용)제사장들의 식생활 해결
3) 화목제
기도응답에 대한 감사, 하나님의 선함에 스스로 자원하는 의미에서, 서원 한것이 성취 되었을때, 하나님 몫, 제사장 몫, 나모지는 가족잔치, 나눔의 예배, 하나님의 섬김을 통해 받는 개인과 공동체의 축복
4) 속죄제(신. 인 관계 범죄)
부지중에 범한죄를 속죄하기 위해, 구원받은 백성이라도 누구나 실수하 고 잘못할 수 있다고 인정, 고백하고 새로운 삶을 경험하는 진정한 예배
5) 속건죄
사회와 이웃에 대해 초래되는 잘못, 사죄하고 경제적으로 1/5 보상하는
사죄, 인간과 인간 사이의 문제에 대한 속죄제사 (빚진자 의식)
[5] 축일
5대 제사를 통해서, 롬12:1 거룩한 산제사 의미
1) 안식일
매7일마다 노동을 쉬고, 하루를 하나님께 예배하는 일에 바침.
출 : 창조사역, 신:구원사역근거, 각각 안식일의 의의선언
2) 월삭
매월 초하루에 모이는 날로서 안식일과 같이 지켰다.
3) 유월절(무교절)
하나님의 백성의 해방(출애굽)기념일, 하나님의 주권인정, 구원받은 은혜 를 감사하는 절기, 쓴나물, 어린양 먹는다.
4) 칠칠절(맥추절,오순절)
그 해의 첫곡식(모맥)으로 하나님께 감사하는 절기, 유월절후7주 지난50, 유월절과 다른것은 유교병을 먹는다.
5) 초막절(수장절)
7.15에 시작 1주간 계속됨.1주동안 초막짓고 살면서 광야생활기념, 1년간 의 모든 곡식 거두며 지키는 절기이므로수장절(추수감사절)
6) 나팔절
7.1에 모이는 성회로서 매월삭의 제사보다 더 많은 제물을 드리면서 재 물위에 나팔을 부는 절기(매월삭마다 나팔, 그러나 이절기는 특별)
7) 대 속죄일
7.10은 1년중 가장 중요한 날중의 하나, 대제사장이 피를 들고 지성소에 들어가고 백성들은 자기를 괴롭게 하는 날이었다.
[6] 신명기 신학
포로중기 신학역사관으로 예레미야가 주도
팔레스타인에 남은 예언자들을 중심으로 요시아왕 이후 발전된 신명기 신학을 이어받아 신명기적 역사관을 발전시켰다. 나라의 멸망을 모세전 통의 신명기 계약을 위반한 결과로 인식하고, 예언자 전통에 입각한 역사관을 신학적으로 의미를 밝히기위해 수, 삿, 삼, 왕을 기록하였다. 즉, 왕정이 실패한 것은 신정을 추구하지 않음으로 보고 왕조 전승에 반대하고 신정문제를 추구하였다. 악을 행하면 심판을 받기에 회개해야만 구원이 있다.
* 예언자적 역사는 사무엘로 부터 시작되었는데, 이것은 신정정치를 회복하려는 움직임이다. 신정추구는 예언자적 관점으로 모세전통(시내산 계약)의 율 법을 붙들고 있다.
[7] 신26:5-9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구원해 주신 하나님에 대한 최초의 신앙고백으로 그들의 과거를 회상하면서 하나님께 감사하며 민족이 일심동체가 되어 같이 즐기고 같이 기뻐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 폰 라드는 이를 "작은 역사적 신조"라고 하였다.
* 족장전승, 출애굽전승, 가나안 전승이 결합
[8] 신6:4-5
이스라엘 자손의 유일신관을 천명
[9] 사사기에 나타난 신명기적 역사관
신명기적 역사관이란 기원전 586년 남왕국 멸망이라는 민족적인 아픔을 겪고 난 후 포로기즘을 지나간 역사를 새롭게 해석하려고 시도한 신명기 사가들의 역사관이며, 이스라엘의 멸망은 하나님과 맺은 신명기 계약을 파괴한 결과임 을 강조한다. 이러한 역사관은 전기 예언서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데 특히 사사기는 여호수아 이후부터 왕국건설에 이르기까지 잃었던 이스라엘의 역사를 이스라엘의 배신, 심판, 회개, 구원들의 순서를 배역함으로서 신명기적 역사관의 도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10] D와 Dtr의 관계 (D - 신명기, Dtr - 수, 삿, 삼, 왕)
신명기적 역사관 : 전기 예언서 전체에 흐르는 사상(수 - 왕까지 - 신 명기적 역사관의 사상이 흐르고 있다.)
1) 신명기적 사관이 Dtr에도 흐르고 있는 점을 보아 오경의 D는 마지막 부 분이다.
2) 신학적 전승 문제로 신명기 역사서에는 모세계약 전승과 다윗게약 전승 이 병행되고 있다.
3) 언어, 문체, 유사성이 D와 Drt이 비슷하다
4) 신명기의 성명신학이 신명기 역사서에도 반영되어 하나님의 거처는 하늘 이고 시온산은 그의 이름만 거하는 곳이되며, 또 법궤도 비 신화화 된것 이라고 설명한다.
[11] 가나안 정복모델
1) 정복모델
여호수아서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 가는것
2) 이주모델(학자 :G.E.Wight,A.Alt, M.Noth)
이스라엘 백성은 원래 유목민이었는데 물을 따라다니다가 가나안 족속과 자연스럽게 섞여 살게 되었다.
3) 혁명모델(학자 : N. K>Gottwald, G.E Mendelhell)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5-6천명이 가나안에 가서 혁명을 이르켜 세운 나라가 이스라엘이다.
[12} 신명기 역사관과 역대기 역사관의 차이
1) 공통점
ㄱ) 역사자료가 같음(역대기 역사자료는 신명기 사가의 것을 그대로 썼음)
ㄴ) 죄문제와 유일신 사상
ㄷ) 하나의 공동체로서 종교의 중앙집권화 강조
ㄹ) 영적 문제를 다루지 않음
2) 차이점
ㄱ) 신명기
a. 쌍방계약의 모세법 강조
b.다윗, 솔로몬의 비행을 지적
c.예언자적 역사(모세전통)
d.영적인 문제를 다루지 않음
ㄴ) 역대기
a. 다윗계약강조(신뢰희망촉구)
b.다윗 솔로몬의 비판기사가 없다.
c.제사장의 우의성
d.영적인 문제(기도, 찬양)를 다룸
[13] 역대기 신학
포로후기 신학 역사관으로 에스라 - 느헤미아의 산물로서 야웨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선택한 사랑이 아직 다윗게약의형태로 이스라엘에 남아 있다고 믿 고 다윗왕조계약에 근거한 신학을 수립, 예루살렘에서 율법준수와 제사강조 를 통해 이스라엘 제사 공동체의 신정실현이 회복되어 다윗왕국과 같은 제사 장적 왕정적 신정통치가 회복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유대주의와 제사장 중심 의 강력한 율법주의로 발전. 이러한 역사관은 역대기와 에스라 - 느헤미아에 나타난다.
[14] 지혜신학
인생문제 - 하나님의 사상이 하나님에 대해서 신앙이 밑받침
1) 지혜신학은 하나님의 일반 계시적 차원에 있다. 표현하는 양식에 있어서 속담, 잠언, 수수께깨 등으로 나타나며 교훈, 대화, 질문 등을 통해서 하나 님의 말씀을 전달한다.
지혜문서의범위=욥,잠,전(아가), 지혜시편(127,128,73,133,111,112,34,37,49)
등이며 외경으로는 집회서, 솔로몬의 지혜 등이 있다.(이것의 메시지는 한마디로 올바른 삶. 곧 인간다운 삶이라고 할 수 있다)
2) 이것의 특징은 히브리 인생철학, 인도사상(하나님 경외) 등을 나타내며 여기서 다루는 인생문제들은 신정론(욥), 인생관(잠), 가치관(전), 남.여 애 정관관계(아) 등이다.
[15] 시편신학
1) 다양한 인생경험속에서 야웨 하나님과의 관계안에서 읊은 시들로 대부분 은 찬송이 아닌 보다 포괄적인 의식의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고 예배자들 의 찬양과 참회를 반영할 뿐 아니라 예비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 포함.
2) 신약에서 제일 자주 인용(시1,22,69,110,118)
[16] 주전8세기 예언자
암, 호, 미, 사를 말하며 보편적, 윤리적 유일신 신앙을 말한다. 윤리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의 윤리이고, 그 이전까지는 선택사상에 근거해서 하나님 을 말하였으나, 우주적 하나님의 통치를 말하는 신관이 확대되는 모습을 본 다. 아모스는 이스라엘 백성의 사회적 불의에 대한 고의를 , 호세아는 야웨 종교 부패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이사야는 이방을 의지하지 말고 야웨 하 나님만 의지하는 겸손한 신앙을 그리고 미가는 앞의 세 예언을 종합하는 (미 6:9)데 이른다.
[17]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의 공통된 예언의 내용
세선지자의 공통된 예언은 메시야가 오시면 이스라엘이 회복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사야의 주제는 메시야가 오시면 이스라엘이 새롭게 된다는 것, 예레미야의 주제는 70년이 지나면 돌아올 것음. 에스겔의 주제는 마른뼈 환상과 같이 회복을 의미하고 있다. 여기에서 공통된 예언은 이스라엘의 회 복이다
[18] 남은자 사상
포로 후 야웨신앙을 그대로 지키고 있는자를 통하여 새이스라엘을 건설 하고 그들만 구원받을 수 있다는 사상(사17:6)
[19] 구약에 나타난 계약사상(계약신학)
이스라엘 백성이 야웨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분명한 인식과 이러한 관계속에서 이스라엘이 자기의 하나님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하는 내용을 설명하는 신학적 개념이 계약이다. 이 계약의 구체적 표현 내용은"나는 저희의 하나님이 되고 저희는 내 백성이 된다"(출6:7,레26:12, 신6:7)의 말씀에 나타나며 이것은 약속과요구에 대해 하나님의 뜻을 순종하고 그 분을 신뢰함에서 이 계약은 유지되며 여기에서 이스라엘에 특유의 역사의식이 나타난다)
[20) 계약의 종류
1) 쌍무계약
모세와의 계약, 하나님 계약조건을 강조, 출19:5-6,계약에 대한 응답으로 서의 예배, 십계명 수여(쌍방간의 합의 계약)
2) 편무계약
노아(창9:11), 아브라함(창17:7),다윗자손과의 계약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예배, 십계명수여(쌍방간의 합의 계약)
* 예언자들이 본 계약사상의 침해요소
ㄱ) 가나안 신(바알) : 경제적 이유
ㄴ) 종교예식 : 정착생활에서 온 종교예식 제도의 일반적 발달에서 점차 야웨의 주권을 무시한 형식주의와 의식주의가 팽창하게 되었다.
ㄷ) 왕권발달 : 신앙 생활과 국가 정치적 종교의식의 결탁에서 오는 부패 와 비신앙화
[21] 예언신학
1) 예언자
하나님의 사람, 말씀을 맡은자, 하나님의 백성파악에 대해 예민성을 소유 한 사람으로 종교, 사회적인 사소한 문제에까지 관심
2) 예언자들의 메시지
ㄱ) 정의 : 하나님의 정의선언, 심판선언, 백성들 회개, 하나님경외를 일깨 운다.
ㄴ) 공의 : 이웃사랑에 대한 선포통해 공동체의 이익 생각
정의를 행하며 공의를 행하라. 정의 없는 공의, 공의 없는 정의는 있을 수 없다고 선언
3) 예언자 신학
ㄱ) 예언자의 메시지는 심판과 구원의 양면이 있다. 즉 심판의 메시지 뒤 에는 언제나 사랑이 있다.
ㄴ) 역사에는 아직도 하나님이 주인이시며 따라서 역사에 아직 희망이 있 음을 선언, 이러한 사항은 묵시문학에서는 배제되고 있다.
[22] 묵시문학(종말론)
1)문서
ㄱ) 사56장 -66장 : 이사야 후기 묵시록, 제3이사야
ㄴ) 사24장 - 27장 : 이사야 전기 묵시록, 부활사상 강조
ㄷ) 슥9장 - 14장
ㄹ) 단7장 - 12장
2) 특징
ㄱ) 역사에 대한 비판(악이 지배하는 세계)
ㄴ) 절망적이고 어두운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ㄷ) 때가 되면 하나님 나라의 출현
ㄹ) 독자에게 대한 인내의 요구
3) 종말론 성격
ㄱ) 역사개선이 아니라 역사를 뛰어넘은 완전한 새로운 창조기대(종말론
ㄴ) 부활사상강조
ㄷ) 인자도래 사상
= 예언신학은 현실역사를 인정하고 그 역사의 개선과 회개를 촉구한 반면, 묵시 신학은 완전히 현실역사를 초월해서 새창조, 부활, 우주적, 인자의 도래를 외침
ㄹ) 차이점
a.에언신학
.역사관 : 긍정
.새시대 : 역사와 연결, 낙관, 회개
b.묵시 문학
. 역사관 : 부정
. 새시대 : 단절, 비관, 인내
[23] 야웨의 날
종말론적이며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에 대한 계시로서, 이스라엘 백성 이 가나안 종교에 침식 또는 동화되어 모든것이 형식화, 습관화 되는 것을 예언자들이 외치게 되었는데 이 날에는 천재지변과 자연의 변화 (우박, 혼돈등)을 통하여 하나님의 일을 나타낸다. 즉, 새 하늘과 새 땅 창조, 전 우주적 심판을 의미한다.
[24] 시편촬요
최초로 구약본문이 한국어로 번역, 출판된 것으로 러시아인"알렉산더 알버트 피터스"에 의한 번역서(1898)
[25] 쿰란사본
쿰란종단이라고 하는 유대교 한 종파의 종교문서로서 경전(이사야서의 두루마리 등), 외경(에녹서등) 주해서(하박국 주해서 둥) 등이 있으며, 종교집단의 조직, 목적, 계율, 의식등이 기록되어 있다.
[26] 아멘 - 엠 - 오페(emen-em-ope)
1888년 부즈에 의해 발견된 이집트의 지혜서로써의 30장으로 구성 되 어있고 종교적, 도덕적인 교훈의 지혜서다. 특징은 잠언서와 비슷하다는 것이고 다신론 사상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잠언서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학설이 지배적이다.(학자 : 영, 케빈)
[27] 탈무드(연구하다. 배우다의 뜻)
에스라(B.C.4C)부터 A.C6C에 걸쳐서 형성된 성서해석과 율법에 대한 세부 규례로 현명한 지혜와 충고를 모아 놓은 문서로 히브리어와 아람 어로 기록되었으며, 할라카(율법자료)와 학가다(윤리, 종교, 지혜, 격언, 역사등)으로 구분됨
[28] 하비루
B.C.2000-1000년경에 널리 퍼져있던 족속으로 마리(mari)문서에 의하 면 바빌로니아에 위협적인 민족으로 기록되어 있다. 히브리가 하비루에 서 파생되었지 않은가 하는 추측으로 유대 노예와 출애굽을 통해 형성된 히브리민족의 근원이라고 보기도 한다.
[29] 수 - 왕까지 신명기 역사라고 하는 이유?
1) 신명기학파(전기예언서를 D문서 기자가 썼다고 주장하는 학파)에 의해서 역사서가 기록되었기에
2) 신명기가 역사서의 서론 역할을 하기 때문에
[30] 전기 예언서(수, 삿, 삼, 왕)는 역사성이 짙은데 왜 예언서라 했는가?
이스라엘의 역사가들은 객관적인 사실의 기록보다는 역사적 종교의 의 의를 해석해서 예언자들처럼 기본적 종교원칙을 나타낼려고 했기 때문에
[31] 6경설(학자 : 폰라드)
1) 창세기에서 여호수아서까지를 말하는데 여호수아서의 자료가 오경 의 자료와 일맥하다는 설
2) 오경안에 있는 제사법전 자료가 여호수아서에 있는 가나안 토지분 배기사에서 끝을 보고 있기 때문에
[32] 4경설(학자 :M.Noth)
오경전체가 전기예언서와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신명기만 문맥 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4경과 신명기를 따로 떼어 놓아야 한다는 설
<구약신학>
* 1991학년도 목회연구과정 입학시험 문제 *
1. 다음질문에 간단한 답을 하시오.(5×15=75)
1) 유대인의 정경은 모두 몇 권의 책인가?
2) 최초의 구약성경의 번역본은 언제 어디서 번역되었는가?
3) 모세 오경의 저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서설을 집대성한 독일 학자는 누 구인가?
4) 애굽 땅에서 힉소스(외국인)를 추방한 바로 임금은 누구인가?
5) 고대 비문 가운데 출애굽 연대를 측정하는데 유일한 자료는 어떤 비문인가?
6) 핫비루라는 호칭이 자주 나타나는 애굽문서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7) 우가릿 문서중 대표적인 작품 하나만 쓰시오.
8) 노아 홍수 이야기와 유사한 바벨론 홍수 이야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9) 주전 18세기의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유명한 법전을 무엇이라 하는가?
10) 전기 예언서를 지칭하는 옛적(이전) 예언자란 말이 어디에 나타나는가?
11) 구속사 신학을 대표하는 신학자는 누구인가?
12) 모세 율법서와 예언서의 정경화 완성시기를 암시하는 외경의 이름은 무엇인 가?
13) 폰라트가 여호수와서를 포함하여 모세 육경이라 지칭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4) 통상 신명기학파의 작품이라고 할 때 어느 책부터 어느 책까지를 말하는가?
15) 신명기 25:5-11절의 말씀을 폰라트는 무엇이라 불렀는가?
2. 구약성경의 구조와 내용을 서술하시오.(25)
* 장로회 신학 대학원 목회연구과정 1992년도 *
* 다음 문제에 가장 적절한 답을 쓰시오.
1. 현존하는 최고의 구약 완질 사본 이름은?
2. 우리 나라 최초 구약 번역인 시편촬요를 번역한 사람은?
3. 정경(Canon)비평을 통해 구약신학의 성격을 강조하는 구약 신학자는?
4. 이스라엘의 기원을 가나안에서 농민 봉기 가설로 주장하는 학자는?
5. 5경의 문서가설을 반대하는 학자들 중 한사람의 이름을 쓰시오.
6. 고등비평학자들은 구약의 "윤리적 유일신 신앙"의 확립을 주전8세기 어느 예 언자 이후로 보는가?
7. 야웨가 구속주 하나님을 강조하는 명칭이라면 족장들의 하나님 명칭은 무엇인 가?
8. "만 군의 여호와"라는 명칭이 최초로 나타나기 시작하는 구약의 책 이름은?
9. 시내산 계약사건을 구약신학의 핵심으로 파악한 대표적 계약신학자는?
10. 시리아 지역 텔 엘 마르딕에서 1976년 이후 발굴 공개된 주전2500-2000년 시 대의 토판 문서자료는 무엇인가?
11. 지혜문학에서의 계시는 율법서나 예언서의 특별계시와 대조해 볼 때 어떤 성 격으로 볼 수 있는가?
12. 예언자적 종말론과 묵시적 종말론의 비교에서 예언자적 종말론의 특징은 무 엇인가?
13. 시편은 5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제2부의 신학적 특징은?
14. 소위 제2이사야하고 할 때 이사야 몇 장부터 몇 장까지인가?
15. B H S는 무슨 뜻인가?
16. LXX는 무슨 뜻인가?
17. 구약창조 이야기와 비교되는 바벨론 창조이야기는 무엇인가?
18. 회년법은 구약에 어느 책에 나오는가?
19. 홍해를 건넌 직후 부른 이스라엘백성의 바다의 노래(출15)에 나타난 하나님의 주권은 어느 직분을 강조하는가?
20. 예언자를 지칭하는 구약 히브리어 "나비"의 어원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 1993년도 목회 연구과정 *
다음 물음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2×20=40)
1. 이스라엘의 역사의 기원을 아브라함 족장시대로 보고 있는 학파는?
2. 주전 8세기 남유다의 웃시아왕 시대와 마찬가지로 같은 시대에 북이스라엘에 정치적 안정을 가져오게 된 때의 왕의 이름은?
3. 소위 시리아 에브라임 전쟁때 시리아의 르신과 동맹을 맺은 이스라엘 왕의 이 름은?
4. 신명기 법전을 토대로 야훼종교의 회복을 시도한 종교개혁을 일으킨 왕의 이 름은?
5.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간 이스라엘 공동체가 귀국했을 때 이들에게 모세의 법 을 다시 가르친 율법사의 이름은?
6. 아브라함이 가나안에 처음 정착한 곳이며 다윗이 첫 번째로 수도로 정한 곳이 기도한 도성의 이름은?
7. 우가릿 언어로 기록되었으며 가나안 종교를 이해하느데 결정적인 문서는?
8. 고대 바벨론왕국에서 어느신을 바벨론 도성의 신으로 모셨는가?
9. 야훼가 해마다 있는 가을 신년 축제에서 왕으로 추대되는 즉위식을 거행했다 고 주장한 학자는?
10. 오경의 모세 법전은 포로후기 유대공동체의 종교법이라고 주장한 "이스라엘 역사서설"의 저자는?
11. 구두전승의 중요성을 강조한 학파는?
12. 성결법전은 레위기 몇 장부터 몇 장까지인가?
13. 후기 예언서의 범위는?
14. 이스라엘 사회 안에서 예언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추구하고 있는 "고대 이스 라엘의 예언과 사회"의 저자는?
15. 역대기 역사서의 범위는?
16. MT의 뜻은?
17. 잠언, 전도서, 욥기뿐만 아니라 요셉 이야기도 지혜문학으로 여긴 학자는?
18. 주전 8세기 예언자들의 메시지로 요약한 본문은 어느 책의 몇 장 몇 장에 나 오는가?
19. 양식비평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학자의 이름은?
20. 에스더는 유대인 어느 절기와 관련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