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시를 사용하는 촬영에서 적정한 노출을 얻을 수 있도록 플래시의 광량을 실용적으로 표시한 숫자. 광원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일반적으로 feet )를 가이드 넘버로 나누면 F수(조리개값)가 된다.
감도(speed)
조리개를 더 넓게 개방함으로써 보다 많은 빛이 들어오게 하는 렌즈의 상대적인 능력
격막(diaphragm)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양을 통제하는 장치.아이리스 격막은 렌즈 중앙의 구멍의 크기를 크거나 작게 조정할 수 있는 겹쳐지는 금속의 날개를 갖고있다. 조리개,또는 렌즈 구경을 참조
계수(factor)
광선의 손실(예를들어,필터를 사용함으로서 생기는)을 보충하기 위해서,증가시켜야 하는 노출의 양을 표시하는 수치
고감도또는고속도(fast)
1) 광선에 매우 민감한 CCD 2) 조리개가 넓게 열린 렌즈
과다 노출(overexposure)
너무 밝게 보이는 이미지. 밝게 하이라이트된 부분의 컬러는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사실상 복원이 불가능하다
과초점거리(hyperfocal distance)
렌즈의 초점거리를 무한대에 맞추었을 때,카메라로부터 모든 피사체가 선명하게 초점이 맞기 시작하는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의 거리
관용도(latititude)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까지 나타내 줄 수 있는 범위. 화상의 질이 극단적으로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노출과다나 노출 부족의 정도. 관용도가 클수록 어두운 곳에서도 노이즈가 적게 발생한다
광각 렌즈(wide-angle lens)
표준렌즈보다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를 말하며 화각이 60도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28~40mm 정도를 말하며 25mm 이하는 초광각 렌즈로 구분한다
광각 왜곡(wide-angle distortion)
광각 렌즈로 피사체에 접근해서 촬영할 때 생기는 원근감의 변화. 피사체의 형태가 길게 늘어나 보이거나 원래의 위치보다 더 멀리 떨어진 것처럼 보인다
광학 줌(Optical Zoom)
실질적으로 다중-초점 거리를 갖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이는 사진의 중앙부를 확대하는 "디지털 줌"과는 구별되어야한다
광학 해상도(Optical Resolution)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가 물리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절대값
교환 렌즈(interchangeable lens)
카메라에서 탈착이 가능한 렌즈.촬영하는 도중,초점거리가 다른 렌즈로 바꾸어 낄 수 있다
그레이 카드(gray card)
정해진 비율만큼의 광선을 반사하는 카드. 보통 반사율18%의 회색 면과 반사율90%의 백색 면을 가진다. 정확한 노출계의 수치를 얻기 위해서(노출계는 반사율18%의 회색 톤을 노출의 기준으로 삼는다)사용되거나,또는 컬러 작업에서 알고 있는 회색톤을 얻기 위해서 사용된다
냉광 확대기(cold-light enlarger)
텅스텐 전구 대신, 형광 튜브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산광식 확대기
노출또는노광(exposure)
1) CCD에 광선이 닿게 만드는 행위. 2) CCD에 도달한 광선의 양.특히, 노출되는 시간의 길이에 의해서 증가하는 광선의 강도
노출계(exposure meter)
피사체에 닿는 입사광의 양,또는 피사체로부터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반사광의 양을 측정하는 기기. 계산된 조리개와 셔터속도의 조합을 지시해 준다
노출 부족(underexposure)
이미징 시스템에 전해진 빛의 양이 적어서 사진이 너무 어둡게 나오는 현상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
컬러 또는 그레이 레벨 이미지의 정밀성?의 측정값. 보다 많은 비트수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보다 선명한 그라데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단초점 렌즈(short lens)
사용하는 필름 프레임의 대각선의 길이보다 짧은 초점 거리의 렌즈. 실제 눈으로 보는 각도보다 넓은 범위를 기록한다.광각 렌즈라고도 부른다
따뜻한 색(warm)
일반적인 물체(불,태양 등)에서 오는 연상작용으로 따뜻한 느낌을 주는 붉은 색 계통의 색
데이라이트 싱크로(Daylight Synchro)
역광 상태의 피사체가 상대적으로 어두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래시가 필요 없는 낮일지라도 플래시를 발광시켜 적정 노출을 얻는 방법. 자동적으로 발광하는 것을 오토데이라잇 싱크로라고 한다
동조(synchronize)
카메라 셔터가 열리는 것과 동시에 플래시가 터질 수 있도록 작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디옵터(diopter)
렌즈의 능력을 표시하는 광학적 용어. 사진에 있어서는 주로 클로즈업 보조 렌즈의 확대 능력과 초점 거리를 지칭한다
디지털 줌(Digital Zoom)
이미지 전체 면적당 50%에 해당하는 중앙부를 디지털적으로 확대하는 것. 디지털 줌은 그 특성상 덜 섬세한 이미지를 보이게 도니다. 왜냐하면, 새로운 줌 이미지는 보간된?(interpolated) 것이기 때문이다
리프 셔터(leaf shutter)
나뭇잎 모양의 둥글게 겹쳐진 금속 날개를 열고 닫음으로써 광선을 통과시키는 카메라 셔터의 한 종류
렌즈 가리개(lens shade)
렌즈의 앞 면에서 반사되어 플레어를 일으키는 불필요한 광선을 차단시키기 위해서 렌즈 앞에 끼우는 가리개. 렌즈 후드(lens hood)라고도 부른다
로우키(low key)
화면에 어두운 부분이 많아 전체적으로 어두운 상태의 사진을 말한다. 하이키(high key)의 반대말
라인 프린트(line print)
흰 배경에 검은 선(혹은,검은 배경에 흰 선)으로 된 펜화와 비슷한 사진
레인지파인더(rangefinder)
1) 초점을 맞추는 거리계와 들여다 보는 창이 일체로 된 파인더. 2) 레인지파인더기구가 내장된 카메라.줄여서 RF라고도 부른다
렌즈(lens)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상을 형성시키는데 적합한 한 개 또는 여러 개로 된 광학 유리
모델링 라이트 (modeling light)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대용량 플래시에 내장된 작은 텅스텐 조명. 플래시의 지속 시간이 너무 짧아서 직접 그 효과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촬영자가 조명을 설치한 다음,이 모델링 라이트를 사용해서 조명의 효과를 판단한다
망원 렌즈(telephoto lens)
일반적으로 초점거리가 긴 렌즈를 말한다.특히,유효 초점 거리가 실제의 렌즈의 길이보다 길게 만들어진 렌즈를 말한다
매크로(macro)
작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아주 가깝게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매크로 렌즈(macro lens)
클로즈업 사진을 찍기 위해 설계된 렌즈.마이크로 렌즈 또는 접사 렌즈라고도 부른다
메인 라이트(main light)
어떤 사진에서 기본이 되는 광원으로,가장 짙은 그림자를 만들고,피사체의 질감과 양감을 뚜렷이 나타낸다. 키 라이트라고도 부른다
멀티 스포트 포커스(Multi Spot Focusing)
(다중 초점 조절) 자동 초점 시스템은 초점을 적절하게 맞추기위해서 이미지의 각기 다른 부분의 초점 거리를 평균한 값으로 초점 거리를 조절한다
메가픽셀(megapixel)
백만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총칭하는 말. 메가 픽셀 디지털 카메라는 1280 x 960 이나 그 이상의 이미지 해상도를 갖는다
무한대 (infinity)
렌즈의 거리 눈금에서 가장 먼 위치.렌즈로부터 무한대(약 15m)나, 그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범위가 포함된다. 무한대가 피사계 심도 안에 있을때, 그 거리나 그보다 더 멀리 있는 모든 물체에는 선명하게 초점이 맞는다
바운드 라이트(bounce light)
바운스 광원으로부터 피사체로 직접 진행하지 않고,다른 물체에서 한 차례 반사된 광선
반사판(reflector)
1) 그림자진 부분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광선을 반사시키는 백색 카드보드와 같은 판.플랫(flat)이라고도 부른다. 2) 램프로부터 피사체에 좀더 많은 광선이 가도록 램프의 뒤쪽에 설치된 둥그런 반사면
밝기(value)
장면에서 어떤 부분의 상대적인 밝기나 혹은 어두운 정도를 말한다. 밝기는 일반적으로 밝기의 비율이나 조리개의 차이로 표현된다
백색광(white light)
가시 스펙트럼의 모든 파장이 혼합되었을 때의 광선.눈으로 볼 때는 무색이나 흰 색으로 보인다
브래킷(bracket)
노출계가 지시하는 적정 노출치보다 어느 정도 높거나 또는 낮게 해서 단계적으로 노출을 주는 방법. 브래키팅을 해 두면 촬영후, 그중에서 가장 좋은 노출을 선택할 수 있다
백열광(incandescent light)
예를 들어, 일반적인 전구 속의 필라멘트와 같은 물질이 전기에 의해서 가열되었을 때 내는 광선
버터플라이 라이팅(butterfly lighting)
메인 라이트를 모델의 얼굴 정면의 윗쪽에서 비추는 조명법으로, 포트레이트를 찍을 때 사용된다
벌브(B,bulb)
셔터 릴리즈가 작동하는 동안,셔터가 계속해서 열린 상태로 있는 것을 말한다
보간된 해상도(Interpolated Resolution)
복잡한 알고리즘을 갖는 소프트웨어를 써서 인위적으로 픽셀을 추가함으로써 의도하는 화질을 구현한 것. 이는 이미지에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크기만을 부풀린 것에 불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보색(complementary colors)
1) 두 개를 합하면,광선의 전 파장을 포함하게 되어, 백색광을 만들어 내는 광선의 두 가지의 색 2) 두 개를 합하면,광선의 전 파장을 흡수해서 검은 색을 만들어 내는 색소의 두 가지 색. 착색된 필터는 착색된 색의 보색이 되는 광선을 흡수하고,그 필터와 같은 색을 가진 광선을 통과시킨다
뷰파인더(viewfinder)
피사체를 보고 프레임을 구성하는 카메라의 작은 창
브로드 라이팅(broad lighting)
메인 라이트가 거의 정면으로 카메라쪽을 향한 모델의 얼굴을 비추는 조명법으로, 포트레이트를 찍을 때 사용된다
비점수차(astigmatism)
비스듬한 각도에서 들어오는 광선의 초점을 정확한 곳에 맺지 못하는 렌즈의 결점으로 인해서 생기는 오차
비트 깊이(bit depth)
각각의 픽셀에대한 컬러 또는 그레이 스케일. 컬러당 8비트인 픽셀은 24비트의 이미지가 된다. (8비트 x 3컬러는 24비트) 24비트 컬러 해상도는 약 1670만 컬러가 된다
반사광식 노출계(reflected light meter)
피사체로부터 방출되거나 반사된 광선의 양을 측정하는 노출계.휘도 노출계(luminance meter)라고도 부른다
반사식 카메라(reflex camera)
초점판 유리 위에 장면을 반사시키는 거울이 내장된된 카메라.일안 반사식 카메라 와 이안 반사식 카메라가 있다
백 라이팅(back lighting)
피사체의 뒤쪽 방향에서 카메라를 향해서 비추는 조명
삼각대(tripod)
카메라를 고정시키기 위한 3개의 다리를 가진 도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헤드의 각도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실타래형 왜곡(pincushion distortion)
이미지의 모서리쪽으로 휘어지는 왜곡.이미지 전체가 실타래 옆 모양과 흡사하게 오목해진다. 초점 거리가 길 수록 그 정도가 커진다
셔터(shutter)
정해진 시간 동안 필름에 광선을 들여 보내기 위해서 열리고 닫히는 기계 장치
소프트(soft)
1)초점이 맞지 않거나 흔들린 상태. 2)콘트라스트가 낮은 상태.반대는 하이콘트라스트
수차(aberration)
렌즈는 피사체의 상을 변형시키거나, 흐리게 만들거나, 콘트라스트를 떨어트리거나, 색을 번지게 하는 등의 결함을 만들어내는데, 수차란 렌즈가 가진 이런 결함을 말한다.수차에는 비점수차, 구면 수차, 코마 수차, 색수차, 만곡수차, 실타래형 왜곡 등이 있다
선명도(sharp)
생생하고 정밀한 재질감과 디테일을 보여주는 상이나, 또는 그런 부분을 표현하는 용어
쇼트 라이팅(short lighting)
포트레이트에서의 조명으로,카메라로부터 고개를 약간 옆으로 돌린 얼굴의 한 쪽 면에 메인 라이트가 비치도록 한 조명법.내로우 라이팅이라고도 부른다
술통형 왜곡(barrel distortion)
이미지의 모서리 부분이 중심부쪽으로 휘어지는 왜곡.이미지 전체가 (포도주)술통의 옆 모양과 흡사하게 둥그스럼해진다. 초점 거리가 짧을 수록 그 정도가 커진다.브라운관형 왜곡이라고도 한다
스테레오그래프(stereograph)
스테레오스코프를 통해서 들여다 보는, 약간 다른 각도로 나란히 찍은 두 장의 사진. 상이 3차원적으로 보인다
스톱(stop)
1)렌즈에서 조리개값을 조정하는 수치. 2)두 가지 요인에 의한 노출의 변화. 예)1스톱 높은 노출은 CCD에 닿는 광량을 두 배로 증가시키며, 반대로 1스톱 낮은 노출은 노출을 반으로 줄인다
스포트 측광(spot metering)
카메라의 자동 노출 시스템의 일종으로, 뷰파인더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아주 작은 면적을 기준으로 노출값을 결정해서 이를 전체 이미지의 노출값으로 하는 방식
싱크 코드(sync cord)
카메라의 셔터와 플래시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카메라와 플래시를 연결하는 전기코드
수동 노출(manual exposure)
촬영자가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를 결정하는 카메라 조작의 한 형식
셔터 우선식(shutter-priority)
적정 노출을 얻기 위한 자동 노출의 한 방식으로, 촬영자가 셔터 속도를 먼저 결정하면 카메라가 자동적으로 그 셔터 속도에 맞는 조리개 값을 정한다
수렴(convergence)
건물의 수직선과 같은, 피사체의 평행선이 사진에서 한쪽 끝을 향해서 좁혀지는 광학적 현상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다양한 색의 광선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되기 때문에,동일한 면에 초점을 맺지 못하는 렌즈의 결점
색온도(color temperature)
열을 방사하는 물체의 색을 숫자로 표시한 것. 이상적인 흑색의 복사체(그 물체에 닿는 광선을 전혀 반사하지 않는 물체)가 가열될 때 내는 광선의 색을 절대 온도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스마트미디어(SmartMedia)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으로 3.3vd 용과 5v 용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3.3v를 사용한다. (후지의 경우는 5.5v)
스톱 다운(stop down)
렌즈 구경의 크기를 줄이는 것
스포트라이트(spotlight)
밝은 소형 램프, 반사판, 경우에 따라서는 광선을 한 곳으로 모으는 렌즈로 구성된 전기적인 조명. 밝고 좁은 광선을 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면만곡(field curvature)
판판한 평면 대신, 둥그렇게 굽어진 면으로 상이 형성되는 렌즈의 결점
시차(parallax)
장면을 들여다 보는 렌즈와 실제로 필름을 노출하는 렌즈가 분리되어 있을때 생기는 시점의 차이
실루엣(silhouette)
피사체보다 배경이 훨씬 더 밝게 조명된 사진이나 장면
원색(primary colors)
다양한 비율로 배합해서 다른 색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본적인 색
연속된 톤(continous tone)
검은 색에서부터 중간의 회색을 포함해서 흰 색에 이르는 모든 범위의 풍부한 톤을 가진 상을 말한다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종래의 아날로그 카메라는 빛이 감광되는 필름을 사용했으나,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해 전기적인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다
인터폴레이트(Interpolated)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복잡한 수학적 연산을 사용해서 여분의 픽셀(화소)을 추가함으로써 실질적인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를 얻는 방식
압축(Compression)
디지털 사진은 큰 용량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저해상도인 640 x 480 이미지도 픽셀수가 307,200 개에 이른다. 만약, 각각의 픽셀이 24비트(3바이트)인 트루 컬러라면, 한개의 이미지가 차지하는 저장 공간은 1메가 바이트를 넘게된다. 이런 이유로 이미지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거의 모든 디지털 카메라는 압축을 하고 있다
어안 렌즈(fisheye lens)
초점 거리 17mm 이하의 단초점 렌즈로서 술통형의 왜곡을 만들어 내는 특수 렌즈. 극도로 넓은 시계(180도) 까지도 표현할 수 있다
오픈 업(open up)
렌즈의 조리개를 넓게 여는 것
임계 초점면(plane of critical focus)
어떤 장면에서 가장 정확하게 초점이 맞는 범위
인터레이스(Interlaced)
이미지 센서의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첫번째 프로세싱에서는 홀수 줄을, 그다음에는 짝수 줄을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를 얻는 방식
유용광(vailable light)
사진을 촬영하는 장소에 처음부터 존재하는 광선으로, 비교적 어두운 광선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
역 제곱의 법칙(inverse square law)
광선의 강도는 광선과 피사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물리적인 법칙. 광선과 피사체의 거리가 2배가 되면 도달하는 광선의 양은 1/4로 떨어진다
원근(perspective)
사진에서의 물체의 외관상의 크기와 깊이
왜곡(distortion)
1)상의 가장자리에 있는 직선을 휘어져 보이게 만드는 렌즈의 수차. 2)렌즈가 피사체에 아주 가깝게 접근했을 때(광각 효과)나,혹은 아주 멀리 떨어졌을 때(망원 효과)일어나는 원근감의 변화
인공광(artificial light)
백열 전등, 플래시 벌브, 전자 플래시 등에서 나오는 광선. 주로 어떤 장면을 밝게 조명하기 위해서 촬영자가 사용하는 광선을 말한다
입사광식 노출계(incident-light meter)
피사체에 닿는 광선의 양을 측정하는 기구
전자기 스펙트럼(electromagnetic spectrum)
10억분의 1mm의 감마선에서부터 몇 마일의 라디오 파동에 이르는 모든 영역의 파장을 순서대로 정리한 방사 에너지의 한가지 형태. 400-700nm(1nm는 1m의 10억분의 1)범위의 광선으로서, 보라, 파랑, 초록, 노랑, 빨강색의 지각이 가능한 파장을 가시 스펙트럼이라고 부른다
전자 플래시(electronic flash)
전기가 통하면 짧고 강렬한 섬광을 내는 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관. 플래시 벌브와는 달리, 전자 플래시는 상당 기간 재사용할 수 있다. 단순히 플래시,또는 스트로브라고도 한다
접사 링(extension tubes)
클로즈 업 촬영시에 카메라 몸체와 렌즈 사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금속 링. 렌즈와 필름 면과의 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정상적인 거리보다 피사체에 더욱 접근해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조도(illuminance)
표면의 주어진 부분에 닿는 광선의 강도. 입사광식 노출계로 측정된다
줌 렌즈(Zoom Lens)
초점 거리를 다양하게 변화 시킬 수 있는 렌즈.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3:1 의 비율을 갖는다
적외선(infrared)
약간의 열로서 감지되는, 스팩트럼에서 적색 바로 다음에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광선
조리개 또는 렌즈 구경(aperture)
광선이 통과하는 렌즈의 열려있는 크기. 구경은 렌즈의 초점 거리를 그 구경의 반지름으로 나누어 산출하는 것으로,예를들면 f8, f11과 같은 숫자로 나타낸다
존 포커스(zone focus)
피사계 심도 안의 장면에서 앞으로 일어나게 될 어떤 동작에 대비해서 렌즈의 초점을 미리 맞춰 놓는 것을 말한다
중간 톤(mid tone)
아주 어두운 그림자나 아주 밝은 하이라이트가 아닌, 중간 밝기의 부분. 사진에서는 중간 회색
중간 회색(middle gray)
18%의 반사율을 가지는 평균적인 회색톤. 노출은 이 톤을 기준으로 한다
중앙 중점식(Center-Weighted)
이미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체 노출 값을 결정하는 자동 노출 방식
자동 노출(automatic exposure)
적정한 노출이 되도록 카메라가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노출방식
자외선(ultraviolet)
보라색 바로 다음에 있는 스펙트럼의 한 부분
조리개 우선식(aperture-priority)
자동 노출의 한 방식. 촬영자가 조리개를 먼저 선택하면, 적정 노출에 알맞은 셔터 속도를 카메라가 자동으로 조정한다
자동 플래시(automatic flash)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측정하는 감광관과, 적정한 노출량이 들어오면 자동적으로 플래시를 꺼주는 전자회로가 내장된 전자 플래시
장초점 렌즈(long lens)
사용하는 필름의 대각선의 길이보다 긴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 장초점 렌즈의 시계는 실제보다 훨씬 좁고 가깝게 보인다
전용 플래시(dedicated flash)
특정한 카메라와 함께 사용했을 때,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셔터 속도가 맞추어지고, 플래시가 충전되고 촬영준비가 완료되면 뷰파인더에 표시가 나타나게 되어있는 전자 플래시. 지정 플래시라고도 부른다
초점(focal point)
피사체의 어느 점으로부터 반사된 광선이 교차되는, 초점이 맞은 CCD상의 한 점
초점 거리(focal lenth)
무한대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렌즈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 초점거리가 길어질수록 상의 배율이 커진다
초점 심도(depth of focus)
초점을 맞추었을 때, 선명한 상을 맺은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범위
착란원(circle of confusion)
렌즈가 피사체의 한 점을 투사할 때 렌즈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선의 작은 원. 사진에서 모든 착란원의 반경이 작을수록 그 상의 선명도는 높아진다
축광(axis lighting)
렌즈에 가까운 곳에서 피사체를 향해 들어오는 광선
초점면(focal plane)
초점이 맞아서 선명한 상이 맺히는 면이나 표면
초점(focus)
1) 렌즈를 통한 광선이 수렴되어 선명한 상을 맺는 위치. 2) 가능한 한 선명한 상을 맺기 위해서,상과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
컬러 깊이(color depth)
디지털 이미지는 실제 컬러에 근접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컬러 깊이, 픽셀 깊이, 또는 비트 깊이에 따라 결정된다. 현재 컴은 24비트의 트루 컬러를 구현한다. 인간이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색상수와 거의 같은 1600만 컬러(24비트 컬러 깊이)를 트루 컬러로 지칭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크로핑(cropping)
보다 나은 화면구성을 위해서 상의 가장자리를 잘라내는 것. 크로핑은 촬영할 때 카메라를 움직여서 시도할 수 있고, 완성된 사진을 포토샵등의 편집 프로그램에서 가장자리를 잘라냄으로써도 가능하다
캐치라이트(catchlight)
피사체의 눈 속에서 반사되어 생기는 광원의 반사
코마 수차(coma aberration)
렌즈에 비스듬히 입사하는 광선이 CCD 위의 다른 점에 초점을 맺게 하는 렌즈의 수차나 결점
콘트라스티(contrasty)
피사체나 네거티브, 또는 사진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사이의 밝기의 차이가 매우 큰 것을 의미한다
카드 리더(Card Reader)
데이터를 컴으로 전송하기위해 플래시 메모리를 삽입하는 기기. 시리얼 포트에 비해 훨씬 빠르다
콘트라스트(contrast)
농도나 밝기에 있어서의 어느 한 톤과 다른 톤 사이의 차이
클로즈 업 접사(close-up)
접사 링이나 벨로즈, 혹은 보조 렌즈를 이용해서 근접한 거리에서 피사체에 초점을 맞는 것
타임(time)
셔터 위치를 T라고 표시된 곳에 놓고 찍으면, 한 차례 셔터를 누른 다음, 촬영자가 다시 닫 을 때까지 셔터가 열린 상태로 있게 된다
태양광 싱크로(syncohro-sun)
태양광선 아래에서 촬영할 때,플래시를 보조광으로 쓰는 방법. 플래시가 그림자의 부분을 밝게 비추어 사진의 콘트라스트를 줄인다
텐팅(tenting)
반사가 심한 피사체를 조명하는 방법. 피사체의 주위를 넓은 종이나 투명한 물질로 싸고나서, 조명함으로써 스튜디오 안의 램프나 카메라, 그 밖의 다른 불필요한 물체들을 반사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법
타임랙(Time Lag)
셔터버튼을 누르고나서 실제로 카메라 내부의 셔터가 눌려기지기 까지의 시간차
파이어와이어(firewire)
고속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디지털 캠코더 뿐만이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이 용어가 쓰이게 될 것이다.보다 자세한 정보는 Adaptec사의 Firewire 웹페이지를 참고. IEEE1394 로도 알려져 있다
펌웨어(Firmware)
ROM에 저장된 상용 마이크로프로그램 또는 명령어 세트.일반적으로, ROM 기반의 기기 작동용 소프트웨어를 뜻한다.펌웨어는 카메라는 물론 기타 디지털 주변기기까지 모든 컴퓨터 기반 제품에서 볼 수 있다
포괄력(covering power)
렌즈가 투사하는 상이 충분한 선명도와 균일한 밝기를 가지는 필름상의 초점면의 범위
플래시 노출계(flash meter)
특별한 촬영 위치에 적당한 노출을 결정하기 위해서 플래시의 광량을 측정하는 노출계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 컴팩트플래시/스마트미디어
포토 시디(PhotoCD)
코닥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종으로 사용자들의 필름을 고가의 드럼 스캐너로 스캔해서 CD 로 출력하는 최초의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 각각의 필름 사진의 이미지를 작은 크기이 해상도로부터 매우 큰 해상도로 필요에 따라 조절해서 얻을 수 있다
플래시 큐브(flash cube)
몇개의 아주 작은 플래시 벌브로 구성된 조명기구로, 몇차례의 분리된 섬광을 낸 후에 완전히 소모된다
플래어(flare)
렌즈나 카메라 안에서 분산되거나 반사되는 불필요한 광선. 이 광선이 필름에 닿으면 상의 콘트라스트가 약해진다
포그(fog)
의도하지 않은 광선에 노출되므로써 사진 전체에 걸쳐서 생긴 짙은 농도
표준렌즈(normal lens)
사용되는 필름의 대각선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의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 육안으로 보는 시각과 거의 비슷한 화각을 가지고 있다
플로피디스크 어댑터(floppydisk adapter)
3.5인치 디스켓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기기로 스마트미디어 메모리 카드를 3.5인치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읽어들일 수 있게 하는 전송용 어댑터이다
풀 스케일(full-scale)
짙고 깊은 검정에서부터, 여러 층의 회색 톤을 거쳐 완전한 백색에 이르는 광범위한 톤의 범 위를 포함하는 사진
프레이밍(framing)
촬영시에 파인더의 시야틀에서 피사체를 제거한 화면을 구성하는 것. 즉, 카메라 앵글, 주제의 화면상의 위치, 부제의 배치등 모든 것을 들여다 보고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플래시(flash)
순간적으로 밝은 광선을 터뜨려서 광선을 방출하는 플래시 벌브나 스트로브와 같은 광원
플래시 벌브(flashbulb)
전구 속에 알루미늄선, 산소, 기폭 장치가 들어 있는 전구. 전기로 기폭 장치가 작용하면 알루 미늄선이 발화하게 되고, 그 선들이 순간적이고 밝은 섬광을 방출하게 된다. 플래시 벌브는 1회용이다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
초점을 맞추었을 때, 사진에서 선명하게 나타나는 카메라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장 먼 곳 사이의 범위. 피사계심도가 얕다라고하면 중경에 놓인 물체에 초점을 맞추면 전경과 원경은 초점이 맞지 않는 것을 말한다. 반면, 피사계심도가 깊다라고 하면 중경에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춰도 모든 물체에 초점이 맞는 것을 말한다. 피사계심도는 렌즈의 초점거리, 렌즈의 구경,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피시 카드(PC Card)
플래시 메모리 카드, 네트워크 카드, 모뎀 혹은 심지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 쓰일 수 있는 신용 카드 크기의 기기를 일컫는 말
포인트 앤드 슈트(Point and Shoot)
사용자가 최소한의 조작만으로 쉽고 간편하게 카메라를 다루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
포토 플러드(photoflood)
매우 밝은 광선을 내지만, 비교적 수명이 짧은 사진용 백열등
프레임(frame)
카메라의 파인더 안에 실제로 촬영되는 시야를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틀
프로그램 AE(programmed AE)
AE(Auto Exposure, 자동노출)와 거의 동일한 용어이나, 앞에 프로그램이란 말이 추가되면 보다 고도의 연산에의해 적당한 AE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플래시 바(flash bar)
몇개의 아주 작은 플래시 벌브로 구성된 조명기구로, 몇차례의 분리된 섬광을 낸 후에 완전히 소모된다
편광 필터(polarizing filter)
선택된 각도에서 진동하는 광선의 파동을 차단해서, 유리나 물과 같은 비금속 물체의 표면 에서 생기는 반사를 줄이는 필터
플렛(flat)
피사체나 사진에서 명암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프로그레시브(Progresive Scan)
이미지 센서의 일종으로 데이터를 수집해서 순차적으로 스캔 라인을 처리한다. 포토매크로그래프(photomacrograph) 피사체와 같거나,또는 그보다 큰상을 만드는 클로즈 업 촬영.매크로 사진이라고도 한다
포토몽타주(photomontage)
몇 개의 사진을 오려붙이고 합성해서 만드는 구성된 이미지. 포토샵과 같은 전문 편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보다 손 쉽게 작업이 가능하다
플러드라이트(floodlight)
넓고 확산된 광선 다발을 내도록 설계된 조명
픽셀(pixel)
화소. CCD 각각의 이미징 요소 또는 출력용 디스플레이 기기 각각의 포인트. 이는 특정 디지털 카메라의 해상도를 거론 할 때, 640x480, 800x600, 1024x768, 1280x960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숫자가 클수록 고화질을 의미한다
필 라이트(fill light)
메인 라이트에 의해서 생긴 그림자를 밝게 해서 사진의 콘트라스트를 줄여주는 광원이나 조명
하프톤(halftone)
인쇄상의 기법으로서, 상의 농담을 미세한 검은 망점으로 바꾸어, 그 망점의 분산에 의해서 상을 재현하는 방법.어두운 부분은 크고 밀집된 점으로, 밝은 부분은 작고 간격이 벌어진 점으로 표현된다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이미지의 가장 밝은 부분이 흰색이 되도록 빨간색, 녹샛, 파란색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
후방초점(rear nodal points)
렌즈의 초점거리(렌즈에서 초점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렌즈속의 지점. 궤도 를 따라 진행하는 광선과 렌즈의 축은 이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게 된다
휘도(luminance)
조명된 면이 반사하는 광선의 강도. 반사광식 노출계로 측정한다.같은 의미로 밝기(brightness) 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이것은 피사체의 밝기에 대한 주관적인 인상을 말하는 것으로, 피사체로 부터 방출되거나 반사되는 광선에 대한 정확한 용어는 휘도이다
해상도(Resolution)
프린트 되거나 디스플레이 된 디지털 이미지의 품질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수인 해상도에의해 대부분 결정된다
확산(diffuse)
흐린 날의 광선처럼, 한 방향으로부터 오지 않은 확산된 광선
하드(hard)
피사체나 네거티브, 또는 사진에서의 강한 콘트라스트를 설명하는 표현. 소프트나 로우 콘 트라스트를 참조
핫슈(hot shoe)
플래시를 부착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꼭대기에 설치된 장치로,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는 동시 에 플래시가 점화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