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부정사의 의미
(1) 공식적 의미
infinitive란 ‘한정되지 않는‘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무엇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의미일까?
지난 시간에 동사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시 한번 동사의 성격에 대해 연구해보자.
<동사의 특징>
1. 주어가 있다.
영문에서 주어를 갖는 말이 동사말고는 없다는 것, 의외로 간단하게 알 수 있다.
2. 인칭에 따라 변화한다.
주어가 몇 인칭이냐에 따라 동사의 형태에 변화가 있다.
3. 수에 따라 변화한다.
단수냐 복수냐에 따라 역시 2번과 연계되어 변화하게 된다.
4. 시제가 있다.
동사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도 볼 수 있다.
영어에서는 크게는 현재, 과거, 미래의 3시제로 더 자세히는 12시제로 나누는데 여기에 대한 내용은 후에 다시 다루게 된다.
5. 부정이 가능하다
6. 목적어를 갖는다(전치사도 가능)
7. 부사에 의해 수식된다.(형용사와 부사)
다소 길게 말했지만 위의 동사의 특징 가운데
infinitive의 의미는 특히 ‘수’와 ‘인칭’의 쓰임에서 한정을 받지 않는다는 말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표적인 to부정사의 경우 시제와 부정, (의미상)주어는 표시되지만 인칭과 수에 따른 변화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비공식적 의미
부정사의 비공식적 의미는 여러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다른 관점에서 보는데 ‘부정’이라는 의미를 정해져 있지 않다고 보는 것이다.
무슨 말이냐 하면 부정사는 명사/형용사/부사의 세 가지 형태로 쓰이기 때문에 동명사/분사와 비교했을 때 어떤 특정한 품사의 역할만 한다고 명확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뜻이다.
2. 부정사의 종류
(1) 원형부정사(bare infinitive)
1) 조동사나 had better 다음.
2) 지각동사/사역동사 뒤의 목적격 보어
(2) to 부정사
(1)의 경우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 이 외에도 대부정사, 분리 부정사 등이 있지만 거기까지 알 필요는 없다. 용어를 모르고 문장을 보는 게 오히려 좋은 경우도 있기에 거기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3. 부정사의 용법
(1) 명사적 용법
앞에서 명사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공부했다.
부정사의 명사적 성격도 역시 일반적인 명사와 거의 흡사하다.
즉, 해석은 ‘-인 것’으로 되며 명사의 성격을 갖고 있기에 문장 속에서 주어/목적어/보어로 사용된다.
To speak English is difficult.
설명 : to speak은 문장의 주어가 되므로 명사적 성격을 가지고 있고 English라는 목적어를 갖게 되므로 동사적인 성격도 동시에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가. 가주어, 가목적어
위의 문장을 다시 한번 살펴보자.
To speak English is difficult.
밑줄 친 부분이 주어인데 우리말과는 달리 영어에서는 주어가 긴 문장을 싫어한다.
그래서 나타난 것이 가주어/진주어 구문이다.
주어가 길다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원래의 주어를 문장 맨 끝으로 보낸 후 빈자리에 해석하지 않는 형식적인 주어 it을 쓴 것이다.
이번에는 다른 문장을 살펴보자.
I think it easy To speak English.
이 문장에서 I를 없애고 나머지를 다시 살펴보자. 그러면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it (is) easy To speak English
( )안의 is가 실제로 있다고 가정하면 가주어가 있던 문장과 형태가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이 문장에서의 it을 가목적어, 줄친 to 이하를 진(짜)목적어라고 하는데 가목적어를 쓰는 이유는 가주어를 사용하는 것과는 다른 이유가 있다. 가목적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런 문장이 된다.
I think To speak English easy
이런 문장에서는 해석이 상당히 힘들어진다.
목적어가 어디서 끝나는지, 목적보어가 무엇인지 찾기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이때 가목적어를 사용하면 목적격 보어가 easy라는 것이 한 눈에 들어오므로 문장의 해석을 쉽게 하고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구별을 쉽게 하기 위해 가목적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참고로 위의 문장에서 목적어와 보어 사이에 be동사만 삽입하면 의미상 하나의 문장이 완성됨을 알 수 있다)
나. 의문사 + to부정사
I don''t know how to go my home.
= I don''t know how I should go my home.
여러분들의 의문사 + to 부정사를 따로 공부했겠지만 이때의 부정사는 명사적 용법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to 부정사를 절로 바꿨더니 know의 목적어가 되기 때문이다. 즉 위의 문장에서는 to부정사가 목적어가 되는 것이다.
I don''t know how to go my home.
굵은 글씨로 된 부분을 주의해서 보면 how는 go를 꾸며주는 부사임을 알 수 있다.
즉 know의 목적어는 to go가 되는 것이다.
이 단원에서는 의문사 + to부정사를 절로 고칠 때 어떻게 하느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2) 형용사적 용법
가. 형용사적 용법의 종류
1) 제한적(한정적) 용법
I am reading an interesting book.
이 문장에서 interesting이라는 형용사는 수많은 책 중에서 오로지 ‘재미있는’ 책이라고 자기가 읽고 있는 책을 한정시켰다.
2) 서술적 용법
He is happy와 같이 동사가 보어를 필요로 하는 불완전 동사일 때 형용사가 동사의 뜻을 보충해주는, 주어를 설명해주는 역할을 형용사의 서술적 용법이라고 한다.
나. 형용사 용법의 종류
일반적인 형용사의 용법과 비슷하게 to 부정사도 명사를 꾸며주는 제한적 용법은 물론, 서술적 용법으로도 쓰인다.
1)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제한적 용법
I want to get a easy book to learn English.
이때의 to learn은 앞의 명사 book을 꾸며주는 형용사적 용법이다. 이렇게 형용사처럼 사용되면서도 English라는 목적어를 동시에 갖고 있다. 목적어를 갖는 것은 동사적 성격. 그래서 동사와 형용사의 성격을 지니는 부정사라고 말하는 것이다.
2)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서술적 용법
He is to obey his parents. (의무)
I am to go to the park tomorrow.(예정)
Nothing was to be seen in the dark room. (가능)
If we are to remain friends, you should tell me the truth (조건)
He was never to return home. (운명)
형용사의 서술적 용법으로 to 부정사가 쓰일 때 특히 be 동사와 만나는 경우를 be to 용법이라고 하는데 굳이 특별한 이름을 붙이는 이유는 그 문장의 해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be to 용법을 정확하게 빨리 해석 하려면 그 다섯 가지 용법을 암기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형용사적 용법이라 하는지 예문을 분석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He is to obey his parents.
우선 위의 문장의 동사가 무엇인지를 생각하면 be 동사라는 걸 알 수 있다.
be 동사의 뜻은 어떻게 될까?
be 동사 뒤에 명사가 나오면 ‘-이다’,
형용사가 나오면 ‘-하다’
명사나 형용사가 없을 경우엔 ‘있다’의 뜻으로 해석됨을 알 수 있다.
He is a student. (He=student)
그런데 be동사 뒤에 명사가 나올 경우엔 주어와 그 명사의 관계가 일치됨을 알 수 있다. 이 정리를 활용해야 한다.
be to 용법에서의 부정사는 be 동사의 뜻이 ‘있다’가 아닐 경우에 명사 아니면 형용사적 용법이다.
그런데 명사라고 생각해보니 위의 문장에서 he와 to obey의 관계에 =이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위의 to 부정사는 명사적용법이 아니라 형용사적 용법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3)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 유의사항
형용사적 용법에서 단골로 문제화되는 것이 있는데 그건 바로 전치사와의 관계를 따지는 문장이다.
자, 다음 문장의 옳고 그름을 판단해보자.
He want a chair to sit.
(그는 앉을 의자가 필요하다)
우리 말 해석과 비교할 때는 전혀 이상이 없어 보이지만 위의 문장은 틀렸다.
틀린 이유는 아래 문장이 틀린 것과 같다.
He sits the chair.
(그는 의자에 앉는다)
역시 우리말로는 무리가 없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우리 생각일 뿐이다.
국어와 영어가 비슷한 점도 많이 있지만 유사성을 안다는 것은 차이점에 대한 이해도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위의 문장을 비교해보자.
He sits the chair.
he : 그는 sits : 앉는다
the : (그) chair : 의자
이제는 우리 말 해석을 그대로 배열한다.
그는 (그) 의자 앉는다.
이제 차이가 보이는가? 의자 뒤의 조사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 조사에 해당되는 말이 영어의 on인 것이다.
부정사가 명사를 꾸며줄 때는 그래서 전치사의 유무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He has no pen to write with.
I want to buy a house to live in.
There is a large playground for me to play on.
I only want small room to rest in.
(나는 쉴 작은 공간을 원할 뿐이다)
(3) 부사적 용법
가. 부사적 용법의 해석
1. He is here to write about the place
in which he was born.(1형식)
2. She is a girl to have done it.(2형식)
3. It is very hard for me to finish my homework in a week.(2형식)
4. I think therefore I am.(1형식+1형식)
5. There are many books for them to
read during winter vacation. (1형식)
부사적 용법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문장구조를 알아야 한다.
위의 1-3번 문장은 모두 be 동사가 사용 됐으면서도 부정사의 용법이 다르다.
1번 문장은 부사적, 2번은 형용사적 3번은 명사적 용법이다.
어떻게 그 용법들을 구별하는가?
be 동사의 뜻을 통해 구별하게 된다.
1번 문장의 경우엔 be 동사 다음에 나온 단어가 to write이다.
here가 먼저 나왔지만 부사이기 때문에 be동사의 뜻과는 무관하다.
무슨 말이냐 하면 be 동사의 다음에 나온 말에 따라 그 뜻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명사면 -이다, 형용사면 -하다, 둘 다 아니면 ‘있다’. 주어와 =관계면 명사, 아니면 형용사. 나머지 단어는 해석에 의미 없음.
다시 1번 문장으로 돌아가자.
1번 문장의 to write는 he와 =관계 성립 안하고 그렇다고 be to용법으로도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사적 용법이라고 판단을 내리고 부사적 용법의 해석 중에 하나를 골라야 한다. (목적/감정의 원인/이성적 판단/조건/결과) 그 중에 목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그는 그가 태어난 곳(고향)에 대해 글을 쓰기 위하여 여기에 있다.
2번 문장은 be동사 뒤에 명사가 있으므로 주어 she와 girl 사이에 =의 관계가 성립하고 이렇게 해석이 된다.
그녀는 소녀이다, 그것을 했던. 그녀는 (이전에) 그것을 했던 소녀다.
3번 문장은 가주어 진주어 구문이다.
내가 숙제를 일주일 안에 끝내는 것은 아주 힘들다.
진주어이니 부정사는 명사적 용법.
같은 be 동사 뒤에 나온 부정사가 세 가지 용법으로 사용이 되었다.
따라서 여러분들은 부정사의 용법을 정확하게 알아야 할 것이다.
특히 지금 하는 부사적 용법은 우선 명사와 형용사적 용법이 아니란 판단이 선 후에 해석을 대입하면 되니까 가장 나중에 시도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나. 부사적 용법의 종류
He came here to study music. (목적)
He was happy to see her. (감정의 원인)
She may well be angry to hear such a word. (이유, 판단의 근거)
You will succeed to do like this. (조건)
He lived to become a musician. (결과)
She is too honest to tell such a lie. (형용사/부사 수식)
부사적 용법은 해석하는 방법을 미리 외우고 난 후에 문맥에 맞게 적용하는 게 좋다.
be to 용법의 문장해석과 비슷하다 하겠다.
too -to, enough to 의 문장은 의역이 아닌, 직역이 필요한 것이다.
< 연습문제 >
※ 다음 문장의 부정사의 용법을 쓰시오.
1. He is here to write about the place in which he was born.
2. She is a girl to have done it.
3. It is very hard for me to finish my homework in a week.
※ 다음 문장의 해석을 쓰시오.
4. I think therefore I am.
5. There are many books for them to read during winter vacation.
※ 틀린 부분을 찾아 고치시오.
6. He has no pen to write.
7. I want to buy a house to live.
8. There is a large playground for me to play.
9. I only want small room to rest in.
10. 줄친 부분을 절로 바꾸시오.
I don''t know how to go my ho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