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계 |
회기 |
주요 활동내용 |
준비단계 |
1 |
오리엔테이션/ 집단원 소개 |
실시단계 (용서를 위한 말씀묵상기도 실시) |
2-11 |
1.무엇을 용서하는가? (창50:17) -허물을 용서함. (마6:14) 사람의 과실을 용서함, (막11:25) - 혐의를 용서함 (고후2:10)-무슨 일에나 용서함 (고후12:13)-공평치 못한 일을 용서함 2. 용서해야 할 이유 (마22:39)-하나님의 계명이므로 (눅6:37)-너희가 용서를 받았기 때문에 (눅23:43)-예수님께서 본을 보여 주셨기 때문에 (롬12:20)-유익이 되기 때문에 (골3:13)-주께로부터 먼저 용서를 받았기 때문에 3. 용서는 하나의 과정 (골 3:13; 창50:15-21)-용서는 과정 (막11:25)-용서해야 용서를 받는다. (눅17:4)-회개하면 언제든지 용서를 하라. (엡4:32)-하나님이 용서하심 같이 용서하라. (골3:13)-주께서 용서하심 같이 용서하라. 4.용서 1단계 (롬 3:23; 벧전 4:12; 전3:4)- 상처확인 5. 용서 2단계 (전3:1-8; 잠 8:13)-미움을 고백 6. 용서 3단계 (빌4:13;눅6:37; 막11:25;로8:37;롬12:17-19;마18:21-22;고전 13:5)-치유받기선택 7. 용서 4단계 (골3:13; 마5:45-47; 마6:14-15;고후 5:18; 마5:44; 눅23:34)-화목을 통한 자유 8. 사랑하고 널리 용서하는 법 (사55:6-11; 롬4:7-8;시32:3-4; 요8:1-11; 마18:21-35) 9. 용서와 성공적인 삶 (빌2:5-11; 요14:15; 눅6:3) 10. 서로 용서를 구하고 용서 선포하기 (대상 21:9-17) |
마무리 단계 |
12 |
용서와 관계회복/ 집단원 축복하기 |
<표 2> 용서를 위한 말씀묵상기도 실시단계 활동
단 계 |
활 동 |
시 간 |
시작단계 |
하나님 의식하기 / 성령님께 도움청하기/시작기도 |
5분 |
활동단계 |
주어진 말씀을 3회 읽기 |
35분 |
읽은 말씀을 묵상-반복하여 말씀에 집중하기 | ||
말씀으로 기도하기 | ||
마음을 열고 침묵의 시간 / 나눔의 시간 | ||
정리단계 |
마침기도 / 기록하기 / 양식으로 받은 말씀을 한 번 더 기억하고 암송 / 말씀 암송장 |
5분 |
반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말씀을 읽고 묵상하기 다음 순서로 각자 주어진 말씀을 가지고 묵상하며 되새김하게 한다. 그리고 묵상된 말씀을 계기로 깊은 기도에 들어갈 수 있도록 시간을 가진다. 묵상기도의 시간이 끝나면 자신이 깨달은 바에 대해서 자유롭게 나눔의 시간을 가진다. 나눔은 모두가 의무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님을 알게 한다.
셋째, 정리단계에서는 하나님께 감사의 기도 또는 주기도문으로 마침기도를 드린다. 그리고 말씀묵상기도를 마치고 일어서기 전에 준비된 노트에 오늘 읽은 성경 구절에서 특별히 마음에 와 닿은 부분이나, 읽기를 통해서 주님께서 자신에게 들려주신 말씀이라고 여겨지는 것, 혹은 느낌이나 감상 등을 자신이 원하는 형식을 따라 기록하게 한다. 마무리 후 자리에서 일어나기 전 생명의 양식으로 받은 말씀을 한 번 더 기억하고 암송하며, 할 수만 있으면 암송장도 만들게 한다. 그리하여 쪽지수행에 도움이 되게 한다.
2-11주간 동안 실시단계를 통하여 나눔의 시간과 정리단계를 통하여 최종 마무리 단계에서는 용서와 관계회복을 위한 선포식을 하며, 용서대상에게 편지 쓰기, 찾아가서 용서하기 등을 통하여 용서의 축복을 누리게 한다.
6.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의 대상 및 조사도구의 구성과 타당도 및 신뢰도
본 연구는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기독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로써, 실험연구 방법과 사례분석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표집 대상은 서울의 C, K 경기도 N교회에 출석하는 고등부 1학년 60명을 선발한 후, 말씀묵상을 통한 실험집단 30명(남 15, 여 15), 통제집단에 30명(남 15, 여 15)을 선정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용서를 측정하기 위해서 Enright의 용서심리검사(Enright Forgiveness Inventory: EFI)를 박종효(2002)가 번안하여 사용한 용서 심리검사를 사용하였다. 총 문항은 30문항이며 인지적 용서 10문항, 정서적 용서 10문항, 행동적 용서 10문항으로 검사형식은 4점 Likert식 척도로써 1점(전혀 그렇지 않다), 2점(별로 그렇지 않다), 3점(그렇다), 4점(매우 그렇다)으로 이루어졌다. 이 검사의 Cronbach's α 는 박종효 연구에서는 .95이었으며, 본 연구를 위해서 최종 실시한 Cronbach's α 는 .91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Rosenberg(1979)의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s Self-Esteem Scale)를 김충희(1995)가 청소년에게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총 10개 문항으로 긍정적 문항 5개, 부정적 문항 5개로 구성되어 있는 5점 Likert식 척도로써 1점(전혀 그렇지 않다), 2점(그렇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그렇다), 5점(매우 그렇다)으로 이루어졌다. 이 검사의 Cronbach's α 는 이충희 연구에서는 .82이었으며, 본 연구를 위해서 최종 실시한 Cronbach's α 는 .88로 나타났다.
2) 연구설계 및 절차
본 연구는 유사 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와 사례연구를 적용하여 2012년 6월16일부터 9월1일까지 12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청소년에게 용서행위와 자아존중감의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 청소년에게는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실시하지 않은 상황에서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3) 자료분석 기법
본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과 오류 검토 작업을 거친 후 PASW(SPSSWIN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및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든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의 내적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집단 가운데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차이가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자의 관찰 및 부모 상담과 관찰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개인사례 분석이 실시되었다.
7. 연구의 결과 분석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용서경험 및 자아존중감 수준에 있어서 동질의 집단인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 간 수준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용서경험(p=.413)과 자아존중감(p=.33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임이 증명되었다.
<표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용서경험 및 자아존중감 사전검사
구분 |
실험집단(n=30) |
통제집단(n=30) |
t |
p | ||
M |
SD |
M |
SD | |||
용서경험 |
66.65 |
18.68 |
66.10 |
17.57 |
.312 |
.413 |
자아존중감 |
35.21 |
10.48 |
35.38 |
7.41 |
-.205 |
.331 |
2) 집단 간 사전-사후 차이에 따른 효과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기독교 청소년의 용서경험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사후 차이에 따른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 차이 검증
구분 |
실험집단(n=30) |
통제집단(n=30) | ||||||
M |
SD |
t |
p |
M |
SD |
t |
p | |
사전 용서경험 사후 용서경험 |
66.65 78.21 |
18.68 18.97 |
-3.82 |
** .004 |
66.10 66.12 |
17.57 14.57 |
.56 |
.461 |
사전 자아존중감 사후 자아존중감 |
35.21 39.28 |
10.48 6.42 |
-1.74 |
* .012 |
35.38 34.21 |
7.41 6.35 |
.61 |
.543 |
*P<.05 **P<.01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집단의 용서경험은 사전평균 66.65- 사후평균 78.21으로 측정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사전평균 35.21-사후평균 39.28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통제집단의 용서경험은 사전평균66.10-사후평균 66.12으로 측정되었고, 자아존중감은 사전평균 35.38-사후평균34.21로 측정되었다. 두 집단 가운데 실험집단 평균이 통제집단 평균에 비해서 점수 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제집단의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의 유의수준이 무의미한 것에 비하여 실험집단의 유의수준은 용서경험 p<.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p<.05 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 지수가 더 증가함을 의미한다.
3) 실험집단 내 개인사례분석
(1) 사례배경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기독교 청소년의 용서경험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보다 객관적인 연구를 위해서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실험집단 청소년 가운데 1명(B군)을 선발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B군의 아버지는 4급 행정직 공무원(서기관)으로 현재 가족과 떨어져 대전에서 지내고 있으며, 주말에만 서울로 올라온다. B군 가족은 모두 신앙생활을 하고 있으며, B군 또한 매주 교회를 빠지지 않고 출석하고 있으나 교회에서 동료 학생들과 잘 어울리지는 못하는 편이었고, 집에서도 여동생(중2)과 잘 지내지 못하였다. B군의 외모는 조금 외소해 보이나 억양은 매우 강한 편이었다. B군 아버지의 성격은 강직하며, 언어 표현이 직설적이고 거친 편인 것에 비해서 어머니는 지나치게 소심하고 내성적인 편이다. B군의 학교성적은 보통이하이며, 자아존중감이 낮은 편이고 주위 사람들에 대해서 적대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자신을 왕따 시키는 친구들과 거칠게 대하는 아빠 그리고 자신을 무시하는 여동생에 대해서 분노가 많았다.
(2) 사전 평가 및 말씀묵상기도 용서프로그램 적용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전 용서경험 평균(M=66.65)과 사전 자아존중감 평균 (M=35.21)에 비해 B군의 사전 용서경험 평균(M=62.48)과 사전 자아존중감 평균(M=32.31)은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 전체 평균 보다 낮게 나타났다.
B군에게 실시 된 말씀묵상기도에 따른 용서프로그램은 시작단계, 활동단계, 정리단계 순서로 실시되었다. 초기단계에서는 몸과 마음의 자세를 가다듬고 하나님의 현존을 의식하고 각자 자유롭게 성령님께 도움을 청하며 시작기도를 드리게 하였다. B군을 포함한 상당 수 학생들이 초기 몇 주간은 조금 어색해했으나 중기로 접어들면서 점차로 적응해 갔다. 활동단계에서는 미리 제시된 성경말씀을 세 번 천천히 반복해서 작게 소리 내어 읽고 묵상하게 했다. 대부분 말씀을 읽고 묵상하기를 3회로 기준하여 제시하였으나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달리 적용되기도 했다. 처음에는 B군이 매우 소극적이었으나 중 후반 부터 서서히 자신이 깨달은 바에 대해서 나눔의 시간에 참여하게 되는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용서를 위한 말씀묵상기도를 하고 일어서기 전에 마음에 와 닿은 부분이나, 읽기를 통해서 주님께서 자신에게 들려주신 말씀이라고 여겨지는 것, 혹은 느낌이나 감상 등을 자신들이 원하는 형식을 따라 기록하라고 했을 때, B군은 3주까지는 매우 소극적이었으나 4주 이후부터 마음을 열고 변화의 태도를 보였다. 그리하여 5주에 접어들면서 연구자가 B군에게 암송장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활용해 보도록 했다.
B군은 7주에 접어들면서 행동에 많은 변화를 보였는데, 자신의 낮은 자존감과 증오감정에 대해서 치료를 받고 싶다고 표현하며 기도를 부탁하기도 했다. 그리고 하나님 말씀과 기도에 대해서 너무나 무지한 자신에 대해서 표현하기도 했다. 10주째부터는 B군이 말씀 읽기 시간과 기도시간에 감동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고, 외견상으로도 처음보다 얼굴이 많이 밝아졌음을 느낄 수 있었다.
(3) 사후 평가 및 해석
B군이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에 참여한 후에 나타난 사후평가를 보면 실험집단의 전체 사후 용서경험 평균(M=78.21 )보다 증가된 M=79.11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 역시 실험집단 전체 사후 평균(M=39.28)보다 다소 증가된 M=40.12로 평가 되었다.
그리고 관찰자인 어머니와 학교 및 교회학교 교사 그리고 주위 친구들의 평가에서도 B군의 용서행동과 자아존중감이 높아졌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B군의 용서행동과 자아존중감에 효과를 미치게 되었음을 증명한다고 하겠다.
Ⅲ. 닫는 글
1. 연구의 논의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 증진 효과검증을 위해서 조사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집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질의 집단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검사 후 평균을 구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용서경험에서는 p=.413, 자아존중감은 p=.331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 참여한 서울의 C, K교회와 경기도 N교회에 출석하는 고등부 1학년생들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관계없이 사전 검사에서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 지수가 비슷함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제집단의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의 유의수준이 무의미한 것에 비하여 실험집단의 유의수준은 용서경험 p<.01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p<.05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에 속한 B군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볼 때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은 성령님의 임재 가운데서 이루어지기에 수평적 관계만을 중시하는 심리학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연구 문제로 제시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입증한다고 하겠으며, 오윤선의 선행연구에서 말씀묵상기도가 청소년 불안조절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것과 아울러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2. 결론 및 제언
대인관계에서 미해결 된 분노감정과 낮은 자존감에서 비롯된 청소년의 문제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용서프로그램이 청소년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 증진에 의미 있는 효과가 있음이 검증된 것은 기독교 청소년 상담과 지도에 중요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된다고 하겠다.
최근 용서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많은 연구가 실시되고 있지만 대부분 인본주의 심리학에 뿌리를 두고 실시되고 있으며, 기독교 청소년에게 적용하는데도 많은 한계가 있음을 본다. 하나님께서는 이미 말씀과 기도를 통하여 우리가 어떻게 자신을 다스려나가며 주 안에서 진정한 웰빙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말씀묵상기도를 통하여 용서 메뉴얼에 따라 청소년들의 심리적· 영적 웰빙을 위해서 검증된 의미 있는 연구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기독교 청소년들의 행복증진과 신앙지도를 위해서 복음주의적 입장에서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구체적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 이어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이해가 문화권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에 다문화권 청소년 또는 국가별 비교연구를 한다면 좀 더 풍부한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용서경험과 자아존중감에 변인을 제한하였으나 좀 더 다양한 변인을 통한 연구가 된다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일부 지역교회에 출석하는 고등학생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생들까지 확대한다면 연령변화에 따른 연구 결과를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양적 연구와 사례연구를 시도하였으나 보다 심층적인 접근을 위한 질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양적 연구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새로운 변인들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수,“용서교육 프로그램”.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김광수. 용서모델과 청소년 상담. 「청소년 상담연구」제5권(1) (1997): 145-163.
김영화.『학교폭력, 청소년 문제와 정신 건강』.서울: 한울 출판사, 2012.
노향규,“용서 변화현상 모델의 목회상담적 적용”.박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9.
박주태.“한국교회 영성훈련을 위한 새로운 방안: 렉시오 디비나”.박사학위논문, 호남신 학대 목회전문대학원, 2006.
백승숙,“교사-학생관계와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학업성취도와의 연관성에 관한연구”.석사학위논 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오오현,“기독교인 용서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2.
오윤선.『말씀묵상기도를 통한 청소년 분노조절하기』. 서울: 예영 B&P, 2011.
최희영.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5.
한국청소년상담원편.『2010 상담경향 분석 보고서』.서울: 청소년 상담원, 2001.
한숙자·정해순. “외도위기부부의 용서를 위한 기독교상담학적 접근”. 한국복음주의기독교상담학회,「복음과 상담」제15권(2010,11): 245-246.
황혜자·김태훈. “용서훈련 집단상담이 비행청소년의 분노수준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동아논총」 42권 (2006):111-149.
Anderson Neil T. Victory over The Darkness, 유화자 역, 『내가 누구인지 이제 알았습니다』.서울: 죠이 선 교회, 1999.
Bachman Jerald, G. & O'Malley, Patrick M. Self-Esteem in Youngman: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Attain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Feb. 1977): 365-80.
Collins Gary R. Christian Counseling: A Comprehension Guide, 이현희· 이혜련 공역, 『크리스찬 카운슬링』. 서울: 두란노, 1988.
David A. Seamands, Healing Grace, 윤종석 역, 『치유하시는 은혜』.서울: 두란노, 1990.
Droll, D. M. “Forgiveness: Theory and resear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vada-Reno (1984): 13-18.
Enrigh, R. D. Gassin, E. A. & Wu, C. "Forgiveness: A development view." Journal of Moral Education, 2 (1992): 99-114.
Enright, R. D. Santos, M. & Almabuk, R. "The adolescent as forgiver." Jouenal of Adolescence, 12 (1989): 95-110.
Enright, Robert D. Helping Client Forgive .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Fitzgibbons, R. P. "The Cognitive and Emotive use of Forgivenessin the treatment of anger." Psychotherapy, 23(1986): 629-633.
Groome, T. H. Educating for life. Allen, Texas: ThomasMore, 1998.
Jean Leclercq, The Love of Learning and the Desire for God.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1961.
Luskin, F. Forgive for good, A Proven Prescription for Health and Happiness. San Francisco : HarperOne, 2005.
Mauger, P. A. "The measurement of forgiveness: Preliminary research." Journal of Psycholology and Christianity, 11(2) (1992): 170-180.
Mccullougy, M. E. & Worthinton E. L. "Encouraging Clients to Forgive People who have Hurt them: Review, Critique, and Research Prospectus."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22(1994): 3-20.
Nathaniel Branden, The Power of Self-Esteem . 강승규 역. 『나를 존중하는 삶』.서울: 학지사, 1994.
Nathaniel Branden, Six Pillars of Self-Esteem . New York: Bantam, 1994.
Padovani, M. H. Healing wounded emotions: Overcoming life's hurts. Mystic Conneticut: Twenty-Third Publication, 1988.
Patton, J. Is Human Forgiveness Possible? A pastoral Care Perspective. Nashville, TN: Abingdon Press, 1985.
Pingleton, J. P. "The Role and Function of Forgiveness in the Psychoterapeutic Process."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17 (1993):27-32.
Prabhu, G. "As We Forgive: Interhuman Forgiveness in The Teaching of Jesus." Concilium, 184 (1986): 12-21.
Thomas Merton, Opening the Bible. Collegeville : Liturgical Press, 1986.
Trainer, M. “Forgiveness: Intrinsic, Role-expected, Expedient, in the Context of divor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Boston, 1981.
Trindis, H. T.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of Cultural Syndromes." American Psychologist, 51 (1996): 407-415.
Worthington, Everett L. Forgiving and Reconciling: Bridges to Wholeness and Hope.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03.
【Abstract】
The Effect of a Forgiveness Program on Forgiveness Experience and
Self-esteem of the Christian Adolescents
Yoon-Sun Oh
Korean Bibl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orgiveness program on forgiveness experience and self-esteem of the Christian adolesc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30 high schools students who were the Christians.
This study confirm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ub-regions of forgiveness experience and self-esteem are such that p=.413/p=.331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scor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re-post differences, the average scores forgiveness experience pre(M=66.65)-post(M=78.21)and self-esteem pre(M=35.21)-post
(M=39.28)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a forgiveness program are relative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average scores pre(forgiveness experience M=66.10,self-esteem M=35.38)-post(forgiveness experience M=66.12,self-esteem M=34.21)
of the control group. While a significant level of forgiveness experience and self-esteem of the control group are meaningless, a significant level of forgiveness experience p<.01 and self-esteem p<.05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above results, forgiveness program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of the adolescents' forgiveness experience and self-esteem.
Key words: forgiveness program, forgiveness experience, self-esteem,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