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화력발전소(保寧火力發電所)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오포리에 위치한 화력발전소.
내용
국내 최대 면적의 화력발전소로서 유연탄과 중유를 각각
전소할 수 있는 50만㎾급 기력발전설비 2기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고정화력발전소(高亭火力發電所)로 불렸으나 1984년
4월부터 현재의 보령화력발전소로 개칭되었으며, 당시 발전소
부재상태였던 충청남도에 서천화력발전소와 함께 최초로 건설된
발전소로서 이 지역을 새로운 전력생산단지로 형성시킨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또한, 제4차 전원개발5개년계획(1977∼1981)에
의거 삼천포화력발전소와 함께 국내 최초로 건설된 대용량 유연탄
전소 발전소로서 유연탄 이용기술의 개발 및 축적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음은 물론 전력구조 및 우리 나라 에너지 구조 개선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발전소의 건설사업은 국내 최초로 한국전력공사
주도하에 분할발주방식으로 추진되었다. 보일러는 한국중공업주식
회사와 미국의 바브콕 윌콕스(B&W)사가, 터빈 및 발전기는 대우
중공업주식회사와 일본의 도시바(東芝)사가 각각 제작 공급하였고,
기타 보조기기는 한국중공업 외 27개 업체가 분할 공급하였으며,
시공은 대림산업주식회사가 일괄 도급 시행하였다.
건설공사는 1979년 12월 12일에 착공, 1983년 12월 28일에 1호기가,
1984년 9월 28일에 2호기가 각각 준공되었으며, 총 건설비는 4434억
9400만 원이 소요되었다. 설비상 특징으로는 국내 유일의 고성능
전기집전기가 설치되어 연소성이 불리한 탄종에 대해서는 연소효과가
우수하고 컴퓨터에 의해 주기기의 조작이 완벽하게 자동으로 제어되며,
11만t급 선박의 접안이 가능한 부두와 하역설비, 150m 높이의 고연돌
및 폐수처리장치 등 철저한 공해방지 설비를 갖추고 있다.
주연료는 호주 및 캐나다 지역산 유연탄을 사용하며, 또한 중유 전소에
의한 발전도 가능하므로 연료수급 변동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이 발전소는 연간 약 61억㎾h의 전력을 생산, 345kV 초고압
송전선을 통하여 경인지역과 중부지역에 공급하며, 연간 230여 만t의
유연탄을 소화하여 유류대체 연료비 절약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이 발전소는 처음에 50만㎾급 유연탄 발전설비 6기를 건설할 수
있도록 부지 조성 등 기본설계가 되어 있으며, 1990년대 초 동일 용량의
후속기 2기(3^4호기)의 건설사업이 추진, 준공하여 명실공히 국내
최대의 대단위 유연탄 연소 화력발전단지가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전력20년사』(한국전력주식회사, 1981)
『전기연감』(대한전기협회, 1985)
『보령화력발전소건설지』(한국전력공사, 1985)
『보령화력발전소홍보자료』(한국전력공사, 1987)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중부발전보령화력본부>

<석탄을 하역하고 있는 장면>

















에너지 발전소












보령 화령발전소 어마어마 하데요






















충청도아줌마
오기택 노래
, 와도 그만 가도 그만
방랑의 길은 먼데 충청도 아줌마가
한사코 길을 막네 주안상 하나놓고
마주 앉은 사람아 술이나 따르면서
따르면서 내 설움 네 설움을 엮어나 보자
서울이고 부산이고 갈 곳은
있지만은 구수한 사투리가 너무도
정답구나 눈물을 흘리면서 밤을새운
사람아 과거를 털어놓고 털어놓고
새로운 아침길을 걸어나보자
2016-12-15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