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러스병 (Virus) |
병징 |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는 잎에 사엽증상을 나타내고, 줄기와 과실에는 흑색의 반점증상을 나타내며, 줄기 선단부분이 구부러지는 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는 새잎에 사엽증상을 나타내고 위축이 심하며 TMV와 중복 감염 시에는 심한 괴저형 반점을 나타낸다. 감자모자이크바이러스(PVX)는 가벼운 모자이크증상을 나타내며, TMV와의 중복 감염 시에는 심한 괴저형 반점을 나타낸다. 토마토바이러스(TSWV)는 잎과 과실에는 갈색 괴저반점을, 줄기에는 줄무늬반점을 나타내고 노랗게 변한다.
|
|
TMV 바이러스 증상 |
발생생태 |
TMV는 촉성재배 및 반촉성재배시에 많이 발생하고, CMV는 시설을 개방 재배하는 4∼6월과 9∼10월에 발생이 많다. 그 밖의 것은 발생이 적은 편이며, 부분적으로 조금씩 발생한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병징이 조금씩 다르지만 어느 종류든 일단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생육이 억제되고 착과 수가 감소되며 과실의 성숙이 불량해진다. 또 괴저반점이 나타나서 상품가치가 없어진다. 일단 이 병이 발생하면 급격히 만연하는데다가 정확한 방제법도 없기 때문에 경영이 불안정하게 된다. TMV는 이어짓기에 의한 토양전염성이 강하며, 또 새싹의 순치기에 의한 접촉전염성이 강하여 노지에서 보다도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한다. CMV는 진딧물에 의해서, TSW는 총채벌레에 의해서 매개되나 시설을 개방하게 되면 시설재배의 경우 병원균을 보유한 해충이 시설 내에 날아 들어와 전염되게 된다. PVX는 감자 재배자에 의해 전염되는 수가 많다. |
방제방법 |
TMV는 종자소독과 토양소독을 철저히 해서 제1 전염원을 박멸할 필요가 있으며 발병포기는 조기에 발견하여 제거하도록 한다. 병든 포기를 제거할 때는 2차전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재배관리 작업을 마친 후에 하는 것이 좋다. 이어짓기를 할 때는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고 대목도 저항성 품종에 접목하도록 한다. CMV와 TSWV는 해충이 시설 안으로 날아 들어오는 것을 막음으로써 방지할 수 있고, PVX는 감자 재배자의 출입을 통제하여 사전에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것을 막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