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크메르의 세계 (캄보디아 태국 라오스 베트남 미얀마 아세안)
카페 가입하기
 
 
 
 

최근 댓글 보기

 
 
카페 게시글
철학, 종교, 역사 탐구 (카페지기) 방법론적 사색 1 : 상식과 논리
울트라-노마드 추천 2 조회 602 11.01.21 07:36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1.01.21 08:08

    첫댓글 급하게 작업해서 썩 만족스럽지는 못합니다만
    일단 <오픈 2주년 기념> 게시물이니 시간에 맞춰 공개합니다..

  • 11.01.21 13:14

    상식과 논리 사이에 이런 많은 생각들이 존재할수 있다는게 참 대단합니다. 저의 생각을 넓히는데 쓰도록 하겠습니다.

    크세의 귀염둥이 보아즈 올림

  • 11.01.21 22:43

    어느 분이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죠. 한국인의 언어가 이중성 혹은 다중성 때문에 토론이 잘 이루어지질않는다.
    하나의 단어를 명료하게 하나의 뜻으로 쓰이면 다른 해석을 할 수 없는데, 이렇게도 저렇게도 다양하게 해석될 언어가
    많아 토론이 쉽게 결론에 도달하지 못 한다.

  • 작성자 11.01.22 03:55

    아마 반드시 그렇지는 않을 겁니다...
    원래 일상언어(자연언어)는 의미가 좀 유연하지요..
    그렇게 유연하기 때문에, 오히려 의사소통이 가능할지도 모릅니다.

    사실 의미가 가장 딱딱한 언어는 인공언어인데..
    가령 수학의 기호 같은 것이나, 연산식 같은거죠...
    이런 언어의 경우 명료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할 수 있는 용도가 제한을 받게 됩니다.
    가령 인공언어로 예술적 표현 같은 것은 안되니까요..
    또 컴퓨터가 감정을 갖지 못하게 되는 이유도 되는거죠..

    하여간 자연언어(=일상언어)의 의미가 유연한 것은
    한국어 말고도 다른 외국어들도 나름대로 다 유연성을 갖고 있습니다만..

  • 작성자 11.01.22 03:58

    문제는 한국인들이 가진 사고방식에 있는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토론의 수준은 곧 한 사회의 문화적 수준과 비례하게 되는데...

    그래도 이제는 사업관게의 협상 같은 데서는
    나름 한국인들도 많이 변화됐다고 보는데...

    그러한 태도가 정치나 사회현상과 같은 부분을 논의하거나 할 때도
    적용될 수 있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일단 <논리적일 것>이란 조건이야말로
    그간 한국인들에게 부족했던 태도로 생각이 되고..
    따라서 그 부분을 좀 치중해서 고민을 해보는 것이 좋지 않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한국어의 의미가 이런 저런 의미로 사용되는 것과 별개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 작성자 11.01.23 05:51

    나름 명료하게 사용하고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지 않나 하는 점입니다.

    결국 사람들의 태도가 문제인데
    그것을 적당히 둘러대려다 보니
    애꿎은 "국어"의 책임론이 등장하는거죠.. ^ ^

  • 작성자 15.01.30 06:11

    오늘 다시 읽어보니..
    이때만 해도 제가 참 희망에 넘쳐 있었다고 생각되네요...

    4년 사이에
    그 무엇이 세상을 이토록 바꿔버린 것일까요...

    혹시 세상은 그대로인데..
    제가 바뀐 것일까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