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으로부터 620년전 11만 8천여 명의 숨결을 들으며 한양을 둘러 싸고 있는 도성 18.627km를 걸을려고 합니다
서울 한양도성은
애초에는 서울성곽으로 부리어 지다가 2011년 7월 28일부터 명칭이 변경되었다 합니다
1392년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한양에 도읍지를 정하고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 하면서 일차적으로 궁궐과 종묘를
먼저 지은 다음, 1395년(태조 4) 9월 한양을 방위하고자
백악(白岳)을 비롯하여 인왕(仁旺) 목멱(木覓) 낙산(駱山)을 연결하는 18.627km의 성곽을 쌓게되지요
성곽에는 동쪽 흥인지문(興仁之門;동대문), 서쪽 돈의문(敦義門 : 서대문), 남쪽 숭례문(崇禮門 : 남대문),
북쪽 숙청문(肅淸門 : 북대문)으로 사대문(四大門)과
북동쪽 홍화문(弘化門), 남동쪽 광희문(光熙門), 북서쪽 창의문(彰義門), 남서쪽 소덕문(昭德門)으로 사소문(四小門)이 있으며
이 가운데 흥인지문만은 옹성을 쌓았고 숙청문(숙정문)은 암문(暗門)으로 하여 문루를 세우지 않았으며
남대문은 1396년, 동대문 옹성은 1399년 완성되었습니다

4대문의 숙정문은 1976년도에 복원 완료 되었으며
4소문인 광희문 1975년도에
혜화문은 1994년도에 복원 완료 되였습니다
(광희문은 일제강점기에 일부 무너지고 1960년에 퇴계로를 내면서 반쯤 헐렸던 것을 1975년 본래의 자리에서
남쪽으로 15m 떨어진 곳에 고쳐 지었습니다)
흥인지문의 옹성이란 성문을 엄호하기 위해 성문 바깥쪽에 반원형으로 쌓은 성이랍니다

A ㅡ> B ㅡ> C ㅡ> D ㅡ> A
이렇게 한바퀴 도는 한양도성 성곽길 18.627km 입니다

한양도성 18.627km 성곽따라 걷기~ 3부는
혜화문에서 ▶ 와룡공원 ▶ 말바위 안내소까지 구간 입니다
성곽위에서 바라본 구 서울시장 공관 입니다


옛 서울시장 공관에서 나와 한양도성 성곽 걷기를 계속 진행 합니다


한양도성 성곽이 서울시장 공관 담장 역할을 하고 있는 곳 입니다

아무리 보아도 서울시장 공관 담장 벽이 맞습니다
하지만
서울시장 공관 담장 구실을 하고 있는 벽면은 한양도성 성곽이랍니다

혜화동 서울시장 공관이 2016년 11월 3일부터는
한양도성 전시관으로 일반 시민님에게 공개되고 있습니다

궁시렁, 궁시렁거리다 보니 어느새 두산빌라 앞을 지나는군요
혜화문에서 두산빌라까지 거리는 250m뿐이 안되는군요

경신중학교 담장 역할을 하고 있는
한양도성 성곽이랍니다

아하~
여기가 경신중학교 교문 앞이군요
경신중학교 젊은 인재들이 미래를 이끌어 나갈 학도들이라 하던군요

경신고등학교 운동장 넘어 저멀리 와룡공원과 북악산이 조망되는군요

성북동 넘어 북한산 보현봉이 조망 됩니다

방금 지나온 곳을을 뒤돌아 보니 골목길쪽 담벽이 경신고등학교 담벼락인지
한양도성 성곽벽인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막 뒤돌아 본곳에서 진행 방향 앞을 보니 좌측으로
서울과학고등학교 후문이군요

서울과학고 뒤쪽 담장 울타리를 좌측에 두고 걷노라니~

도성 성곽이 불쑥 나타납니다


왼쪽의 울타리는 서울과학고 담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혜화문(동소문)에서 850m온 위치 입니다
1.6km를 더 진행하면 신분증이 있어야만 북악 성곽을 걷을 수 있는 곳이랍니다



조선시대부터 한양도성 성곽따라 걷는 풍습이 있었는 모양 입니다

성곽 오른쪽으론 성북동쉼터가 떡하니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성북동쉼터 바로 앞에는
성북초등학교 앞 교차로가 있군요


뒤돌아 보고~

지나왔던 곳을 또 뒤돌아 보니 왼쪽 성곽 넘어엔 성북동쉼터인 팔각정자 지붕이 보이며 오른쪽으론 서울과학고 뒷뜰 테니스장인가요눈여겨 보지안하고 대충대중 지나왔으니~ 참



11월 20일
가을의 짙은 향기가 자욱하게 내려 앉은 성곽길을 걷고 있습니다

종로구 명륜동과 성북구 성북동 경계선을 이루는
고색창연한 성곽길에서
가을빛 향기와 함께 하고 있는 성곽길 입니다










가야할 한양도성 성곽이 산 능선따라 쌓여저 있습니다






지나온 성곽길을 뒤돌아 보고~




성곽 밖의 성북동









한양도성 성을 쌓을적에 풍수적으로 백악산의 좌청룡이라 하는 낙산에서
혜화문(동소문)과 옛 시장공관을 거처 현 위치에 이르는 성곽을 따라 왔습니다

북악스카이웨이를 드라이브를 할적에 잠시 쉬어 갈 수 있는 쉼터
팔각정자 입니다

암벽 꾼들이 즐겨찾는 도봉산의 암봉들 입니다

혹시 수락산엘 가시거들랑 꼭~
하강바위에서 자일을 타고 암벽도 타시고~ 시간이 되시거들랑 수락산 주봉에서 도정봉 방향으로 진행하시면 외줄을 잡고 하강하는
대슬랩 기차바위도 기다리고 있지요. 또는~ 철모바위에서 서울시가지를 내려다 보며 스릴넘치는 독수리바위를 지나
대슬랩을 거처 매월당에서 잠시 쉬면서 김시습의 시 몇귀도 암송하는 것도 산행의 묘미를 더 할 수 있지요

뒤돌아 보고~


여기가 와룡공원이라 하렷다
넵~
그렇습니다, 가카~

와룡공원에서 성곽길을 따라 혜화문까지 거리는 1.7km이며
말바위까지 성곽을 따라 걷는 거리는 700m라하는군요

1984년 4월 1일 개원된 와룡공원이랍니다

종로구 명륜동에 위치한 와룡(臥龍)공원>은
용(龍)이 길게 누워있는 형상을 하여 와룡이라고 한답니다

접근성이 좋은 와룡공원 봄날에는
산수유, 매화, 진달래, 개나리 등이 앞다투어 피어나는 나들이 코스로 제격이라 합니다

와룡공원 안내도

와룡공원에서 말바위까지 구간 일부는 성밖 길을 따라 걷습니다

성 밖으로 말바위 방향으로 진행 합니다


와룡공원으로 출입할 수 있는 위치를 뒤돌아 보았습니다

뒤돌아본 성곽 바깥길~

와룡공원에서 말바위로 가는 방향 입니다




















삼청각
1972년 건립된 1970년~1980년 요정정치의 산실로 대표되던 곳이다. 여야 고위정치인의 회동과 1972년 남북적십자회담,
한일회담의 막후 협상장소로 이용하였던 곳으로, 제4공화국 유신시절 요정정치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손님이 줄어들어 1990년대 중반 이름을 예향으로 바꾸고 일반음식점으로 전환하였으나 경영난으로 1999년 12월에 문을 닫았다.
1999년 말 건물과 부지를 인수한 화엄건설(주)이 고급빌라를 짓기 위해 관할 성북구청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였으나
문화재 보존여부에 대한 판단문제로 건축허가 결정이 유보되었다.
그러다가 2000년 5월 22일 서울특별시가 삼청각 부지와 건물을 도시계획시설상 문화시설로 지정하였으며
리모델링 공사를 끝낸 후 2001년 10월 새로운 전통 문화공연장으로 문을 열었다. 운영은 세종문화회관이 맡고 있다.
새롭게 단장한 삼청각은 공연장, 한식당, 찻집, 객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모는 대지 5,884평, 연건평 1,331평이다.
6채의 한옥이 있으며, 건물마다 원래의 이름을 그대로 살렸다. 월요일을 제외하고는 연중 전통공연이 열리고 있다.
도시계획시설상 문화시설로 지정되면 기존 건물은 공연장, 박물관 전시장 등의 용도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두산백과)

한양도성 18.627km 성곽 따라 걷기~
3부는 인왕산 구간 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