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면 구조물의 노출상태 | 얇은경우 | 보통의 경우 | 두꺼운 경우 |
(1) 계속 또는 빈번히 물로 포화되는 부분 | 15N/㎟ | 12N/㎟ | 10N/㎟ |
(2) 보통의 상태에 있고 (1)에 속하지 않는 부분 | 5N/㎟ | 5N/㎟ | 5N/㎟ |
2.5 재료 가열시 골재 또는 물을 가열해야하며 시멘트는 가열하면 안된다.
2.6 가능한 한 시공연도의 최소범위로 단위수량을 줄인다.
2.7 AE콘크리트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2.8 콘크리트의 온도 및 양생일수의 표준은 아래와 같다.
(한중콘크리트 시공에 있어서의 콘크리트 온도의 권장값)
단 면 | 얇은경우 | 보통의 경우 | 두꺼운 경우 | |
쳐넣었을때의 콘크리트의 최저온도(℃) | 13 | 7 ~ 10 | 5 | |
비볐을때의 콘크리트의 최저온도(℃) | 기온 -1℃이상 | 16 | 10 ~ 13 | 7 |
기온 -1 ~ -18℃ | 19 | 13 ~ 16 | 10 | |
기온 -18℃이하 | 21 | 16 ~ 19 | 13 |
압축강도를 얻기위한 5℃ 및 10℃에서의 양생일수 표준
단면 시멘트의 종류
구조물 노출상태 | 보 통 의 경 우 |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 조강포틀랜드 보통포틀랜드 +촉진제 | 혼합시멘트 B종 | ||
(1)연속해서 또는 자주물로 포화되는 부분 | 5℃ | 9일 | 5일 | 12일 |
10℃ | 7일 | 4일 | 9일 | |
(2)보통의 노출상태에 있고 (1)에 속하지 않는 부분 | 5℃ | 4일 | 3일 | 5일 |
10℃ | 3일 | 2일 | 4일 |
3. 콘크리트 재료관리
3.1 시 멘 트
저온양생 했을 때의 초기재령의 강도발현에 대한 지연정도가 작고, 콘크리트가 동해를 받을 염려를 적게 할 수 있는 시멘트 사용
시멘트 SILO는 시멘트가 냉각되지 않도록 덮개등으로 보온한다.
3.2 골 재
골재가 동결되어 있는 경우 이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비빈 직후의 콘크리트의 온도가 낮아져서 콘크리트가 동결할 우려가 커진다
또, 골재에 빙설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 이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비빈 직후의 콘크리트 온도가 낮아질뿐더러,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골재는 시트등으로 덮어 저장하는 것이 좋다
3.3 물
시멘트의 가열이 실질적으로 곤란하므로. 물의 가열이 유리하다
온수의 온도는 시멘트가 급결하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 한다
3.4 혼화재
한중 콘크리트에는 AE제 또는 AE 감수제를 사용하여, KS F 2560 규격에 만족해야 한다. 고성능 AE 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은 물 시멘트비를 적게하여 동결에 대한 저항성을 높게 할 수 있다.
4.콘크리트 생산. 운반 및 타설관리
4.1 생 산
비빈 직후의 온도는 기상조건. 운반시간 등을 고려하여 칠 때에 소요의 콘크리트 온도가 얻어지도록 해야하며, 가열한 재료를 믹서에 주입하는 순서는 시멘트가 급결하지 않도록 정해야 한다.
또, 콘크리트를 비빈 직후의 온도는 각 배치마다 변동이 작아지도록 관리해야 한다.
한중 콘크리트의 비빔순서는 가열물 →굵은골재→잔골재→시멘트순으로 투입하고, 잔골재 까지 투입후 믹서안의 재료의 온도가 40℃이하로 되도록 한다.
4.2 운반 및 치기
운반 및 치기는 열량을 손실을 가능한 줄이도록 하고, 타설시의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치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5~20℃의 범위에서 정한다. 콘크리트를 칠 때에는 철근이나, 거푸집등에 빙설이 부착해 있으면 신속히 제거후 타설 해야한다.
타설 종료후 콘크리트의 노출면이 외기에 장시간 방치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5. 현장타설 콘크리트 양생 및 수화열 관리
5.1 양생방법
5.1.1 보온양생 - 시멘트의 수화열을 이용함
- 콘크리트의 주위를 보온재료로 덮는다.
5.1.2 급열양생 - 보온만으로 동결온도 이상 유지 못할 때 보온양생과 조합
하여 실시
- BOX내부 보온난로 설치로 온도 급강하로 인한 콘크리트
동결방지
- 보온난로 가동시 BOX전,후방을 차단하여 보온성 유지.
5.1.3 초기 보호양생 종료시 온도 급속저하를 방지
5.1.4 양생종료 12시간 전부터 살수금지
5.1.5 구조물의 소요강도를 발휘할 수 있들 때까지 거푸집 해체 금지
5.1.6 거푸집 해체 후에도 강재 SUPPORT 설치로 구조물의 구조적 변형 방지
5.1.7 콘크리트가 응결,경화초기에 동결하면 양생을 계속하여도 강도증진이
적으므로 타설 후 적어도 24시간은 동결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5.2 양생기구
보온난로 | - 연소된 가스가 콘크리트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
양생포,보온재 | - 콘크리트에 밀착되도록 한다. - 구조물의 코너와 모서리 부분은 본체에서 가장 취약부분이므로 충분한 두께로 한다. |
가설천막 및 칸막이 | - 난기의 통기가 되며, 작업공간을 고려한 천막크기로 한다. - 빈틈없이 하여 한풍 유입금지 |
보온덮개 내부 | - 더워진 덮개내부공기는 가습하여 상대습도 유지 - 일시적인 개방시 콘크리트가 동결되지 않도록 함. - 보온난로 가동시 급격한 건조수축 위험이 있으므로 가습 또는 습윤양생으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방지 |
5.3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양생
5.3.1 보온양생 - 시멘트의 수화열을 이용함.
- 기초철근을 제외한 콘크리트의 주위를 보온재료로 덮는다.
5.4.1 보온양생 - 시멘트 수화열을 이용함.
- 우수관기초 콘크리트의 주위를 보온재료로 덮는다.
- 우수관 보호 콘크리트 타설후 상부보호 거푸집 주위를 보온재료로 덮는다.
6. 작업 FLOW
한중계획서 작성 |
| ||
|
|
| |
|
| 감독관(감리단)승인 | |
| |||
|
|
| |
B/P장 및 현장 한중콘크리트 생산요건준비 |
| ||
|
|
| |
|
| 콘크리트 타설계획서 승인 | |
| |||
|
|
| |
|
| B/P장 한중콘크리트 생산준비 상태 검측 | |
| |||
|
|
| |
한중콘크리트 타설 |
| 한중콘크리트 검측 | |
| |||
|
|
| |
|
|
| |
|
|
| |
양생 및 관리 |
| 양생관리 검측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