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CNC선반가공
 
 
 
카페 게시글
CNC가공싸이클 스크랩 G76 나사가공 사이클
수평선 추천 0 조회 7,526 10.12.01 09:2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나사 가공 사이클 명령입니다. - 가급적 G92 를 이해하시고 보시기 바랍니다.

 

[ Fanuc 0T ] - 여기 홈페이지에서 기술할 때에는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G76  P m r a   Q dmin   R d    ;

      G76  X(U) u   Z(W) w   P k   Q q   R i   F f  ;

 

           P : 6 자리의 숫자로 반드시 지령해야만 합니다.

           m : 정삭 반복 횟수(O1~99회까지)

           r   : 챔퍼링(Chamfering, 모따기)량 - 주로 45° 각도로 모따기하기 때문에 '10'이 됩니다.

           a  : 나사산의 각도 지령 (나사 바이트의 절입 각도는 주로 60에 해당)

                예 : P011060 → 1회 정삭다듬작업, 모따기량 45도, 나사산의 각도 60°

 

          Q dmin : 최소 절입량 (가공 횟수에 따라 자동으로 절입량이 작아지나 이 값보다 더 작아지지 않습니다.)

                       Q50 = 0.05mm 절삭(반지름 값 지정)

          d : 정삭작업할 때 여유량  R20 = 0.02mm 절삭(반지름 값 지정)

 

       X : 나사의 최종 골지름                              Z : 나사 가공 길이 지정(모따기 부분을 합한 길이)

       P : 나사산의 높이를 반지름값으로 지령 - 피치2의 전체절입량이 1.19이면 P1190으로 표시합니다

 

       Q : 최초 절입량으로 반지름값으로 지령 - 표를 보고 최초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R : 테이퍼 나사 가공시 기울기 양의 부호는 G9O의 테이퍼 절삭시와 동일합니다.

            평행 나사는 기울기가 '0'이므로 생략합니다.

       F : 나사의 리드로 1줄 나사는 피치와 동일합니다.

 
     
 

위에 글들을 보면 읽다가도 지겨워 집니다.

저도 꾸준히 인내하여 작성하고 읽기 쉽게하였지만 아래 상세히 설명합니다. 그래도 교육인지라 가공경로까지 딱딱한 그림을 보시고 나서 예제를 풀어보죠.

 

[1] 복합형 고정 Cycle(G76)의 나사 가공 경로

 
 

A : G00 으로 공구가 가공하기전 대기하는 자리

B : 최초 절입량(1회 절입량)

C : 모따기를 포함한 절삭길이

D : 후퇴점은 A초기점의 X값만큼 이송후 A지점으로 복귀

W : A에서 C점까지의 직선길이값

r : 모따기량 - 보통 45° 각도

ØX : 나사산 작업이 완료된 골과 골 사이의 지름

 
 

- 예제문제 풀이 : 아래그림을 보고 설명하세요 (0T 기종과 아닌기종 다 수록)

 
 

[0T 기종일때의 설명]

왜  G76  P011060  Q50 R20;

     G76  X24.22 Z-15.5 P890 Q350 F1.5   가 나왔을까요?

 

첫 번째 G76 P011060  Q50 R20;

1.  초기시작점 위치 인  G00  X30. Z0.5; 가 꼭있어야 합니다.  < 사이클 사용시 반드시 최초 시작점위치를 지정해야 합니다>

 

2.  G76 다음 명령인 P는 반드시 6자리로 지령해야만 합니다.  형식: Pmmrraa

           m : 정삭 반복 횟수(O1~99회까지)

           r   : 챔퍼링(Chamfering, 모따기)량 - 주로 45° 각도로 모따기하기 때문에 '10'이 됩니다.

           a  : 나사산의 각도 지령 (나사 바이트의 절입 각도는 주로 60에 해당)

       그러므로 정삭작업 한번만 하고 (P01), 모따기 45°로 하고(P0110), 나사산 각도가 60으로 한다.(P011060)

 

3. Q 는 최소 절입량을 1/1000로 표시합니다. 아래표에 보시면 1.5피치에 6회 절입량을 참고 하세요.

    (가공 횟수에 따라 자동으로 절입량이 작아지나 이 값보다 더 작아지지 않습니다.)  

    Q50 = 0.05mm 절삭(반지름 값 지정)

 

4. R 은 정삭작업할 때 여유량으로 1/1000로 표시합니다.   R20 = 0.02mm 절삭(반지름 값 지정)

   => G76  P011060  Q50 R20;         설명이 다 되었습니다.

 

두 번째 G76 X24.22 Z-15.5 P890 Q350 F1.5  

도면을 보면 ( M26X1.5 ) Ø26나사를 피치가 1.5로 14mm 절삭하라고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Z축의 가공거리는 피치만큼 더해주는데 14mm+1.5mm이므로 15.5로 줍니다.

<사실 여유있게 주시되 뒤에 몸체와 부딪치기 않게 주의하십시요>

 

X : 나사의 최종 골지름   26파이 - (0.89 X 2 ) = 24.22    ; 반지름이기에 (산의 높이 X 2 ) 를 해 줍니다.

Z : 나사 가공 길이 지정(모따기 부분을 합한 길이) ; 가공경로 그림에서 W 와 같은데 Z축의 가공거리는

      피치만큼 더해주는데   14mm+1.5mm이므로 15.5로 줍니다.

P : 나사산의 높이를 반지름값으로 지령 아래 표를보시면 피치1.5의 전체절입량이 0.89 이므로 P890 으로 표시합니다

Q : 최초 절입량으로 반지름값으로 지령 아래 표를 보시면  1회 절입량이 0.35를 Q350 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F : 나사의 리드로 1줄 나사는 피치와 동일합니다. 그래서 피치가 F1.5  입니다.

 

 
 

[나사절삭량 표] - 반경지름이므로 계산할 때는 곱하기 2를 해줘야 합니다. 

 
 

피  치

1.00

1.25

1.50

1.75

2.00

2.50

3.00

3.50

4.00

산의 높이

0.60

0.74

0.89

1.05

1.19

1.49

1.79

2.08

2.38

1회 절입량

0.25

0.35

0.35

0.35

0.35

0.40

0.40

0.40

0.40

2회 절입량

0.20

0.19

0.20

0.25

0.25

0.30

0.35

0.35

0.35

3회 절입량

0.10

0.10

0.14

0.15

0.19

0.22

0.27

0.30

0.30

4회 절입량

0.05

0.05

0.10

0.10

0.12

0.20

0.20

0.25

0.25

5회 절입량

 

0.05

0.05

0.10

0.10

0.15

0.20

0.20

0.25

6회 절입량

 

 

0.05

0.05

0.08

0.10

0.13

0.14

0.20

7회 절입량

 

 

 

0.05

0.05

0.05

0.10

0.10

0.15

8회 절입량

 

 

 

 

0.05

0.05

0.05

0.10

0.14

9회 절입량

 

 

 

 

 

0.02

0.05

0.10

0.10

10회 절입량

 

 

 

 

 

 

0.02

0.05

0.10

11회 절입량

 

 

 

 

 

 

0.02

0.05

0.05

12회 절입량

 

 

 

 

 

 

 

0.02

0.05

13회 절입량

 

 

 

 

 

 

 

0.02

0.02

14회 절입량

 

 

 

 

 

 

 

 

0.02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