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용재 |
기둥 |
편백,삼나무,솔송나무,나한백,가문비나무,사할린젓나무,미국솔송나무(Western hemlock), 미국편백(Port-orord-xebar),수입 가문비나무(spruce)등 |
토대 |
편백,나한백,밤나무,일본잎갈나무,미굴솔송나무(Western hemlock),,아피통(apitong) |
대들보 |
소나무,미송(Douglas-fir),미국솔송나무(Western hemlock),등 |
마루판 |
마감처리하지 않은 마루판-합판,삼나무,편백등
마감처리한 마루판-너도밤나무,참나무류등의 각종 활엽수,편백등 |
천정판 |
삼나무,편백,미국측백나무(Western redcebar),화백,젓나무,참오동나무 등 |
내장 |
중인방-삼나무,미국측백나무(Western redcebar),편백 등
문턱,상인방-기둥과 동일, 그외에 일본자작나무,물푸레나무 등 |
장식기둥 |
연마한 삼나무 원목,흑단(ebony),자단(rosewood)등의 귀중재 |
가설 |
형틀-합판
발판-삼나무,편백 등의 직경이 작은 원목 |
벽판재 |
미국솔송나무(Western hemlock),수입 가문비나무(spruce),일본잎갈나무,라왕(lauan)등의합판 |
2x4공법용재 |
미송(Douglas-fir),미국솔송나무((Western hemlock),등의 미국산목재 |
가구 |
일본식가구 |
장롱-참오동나무,느티나무,귀중재,티크(teak),녹나무 등
경대-계수나무,오리나무,뽕나무,참오동나무 등
장식장-느티나무,감나무(먹감나무),뽕나무 등
차탁자-느티나무,벚나무,음나무 등 |
서양식가구 |
물참나무,물푸레나무,음나무,들메나무,자작나무등의 국산재,라왕(lauan),티크(teak),마호가니(mahogany),마토아(matoa)등의 외재 |
포장용재 |
목모(wood wool) |
소나무,곰솔이 대부분 |
통 |
나무조각을 짜 맞추어 만든 통-백참나무(white oak),물참나무,너도밤나무
둥근통-삼나무,소나무류가 주로 쓰임
일본식 통-삼나무 |
무늬단판,도시락 |
가문비나무가 주이며 젓나무,혼도가문비나무,참오동나무,소나무,곰골 등 |
광산토목용재 |
갱목 |
소나무,곰솔,강도가 큰 활엽수 |
전봇대 |
삼나무가 주이며 일본잎갈나무,가문비나무,미송(Douglas-fir),등 |
침목 |
켐파스(kempas),너도밤나무 등 |
갱목용 원목 |
일본잎갈나무,소나무,곰솔,편백 등 |
악기용재 |
샤미센 |
형니 베워져 있는 긴 막대 모양의 부분-자단(rosewood),파다욱(padauk),붉가시나무,회양목류,벗나무 등
몸체-파다욱(padauk),밤나무,느티나무,개물푸레나무,뽕나무 등
현 감개-조록나무,벚나무,흑단(ebony)등
채-붉가시나무,편백,회양목류 |
거문고 |
참오동나무 |
딱다기(박자용) |
붉가시나무 |
큰북 |
몸체-느티나무,벚나무,소나무,밤나무,참오동나무 등
채-붉가시나무,편백 등 |
피아노(piano),오르간(organ) |
외장,건반,받침대,공기상자,선반-가문비나무,수입 가문비나무,단풍나무,너도밤나무,물푸레나무,음나무,벚나무 등
향판-북해도산 가문비나무,수입가문비나무,섬잦나무,종비나무 등 |
바이올린(violin),기타(guitar),민돌린(mandolin) |
수입 가문비나무,가문비나무,편백,사할린젓나무,섬잣나무,단풍나무 등 |
관악기 |
흑단,벚나무,조록나무 등 |
하모니카(harmonica) |
너도밤나무,단풍나무 등 |
캐비닛(cabinet) |
자작나무,일본피나무,계수나무,가래나무,벚나무,각종 합판,식편판 등 |
운동기구용재 |
야구용방망이(bat) |
물푸레나무,음나무,푸조나무,아까시나무 등 |
라켓(racket) |
물푸레나무,아까시나무,히코리(hickory) |
스키(ski) |
히코리(hickory),물푸레나무,단풍나무 등 |
탁구대 |
계수나무,라왕(lauan),삭편판 등 |
체조용구 |
붉가시나무,음나무,밤나무,느티나무,편백,라왕합판 등 |
볼링(bowling) |
수입단풍나무,미송(Douglas-fir), |
골프클럽(golf
club) |
감나무,자작나무류,적층재 등 |
오락용
기구용재 |
바둑,장기 |
판-비자나무,은행나무,일본목련,계수나무,벚나무 등
장기 말-일본목련,계수나무,회양목류 등 |
당구 |
대-붉가시나무,벚나무,참나무류 등
큐(cue)-황근류(아욱과 무궁화속),배나무,벚나무,단풍나무 등 |
완구 |
계수나무,너도밤나무,자작나무,벚나무,일본목련,라왕(lauan)등 |
문구용재 |
연필 축 |
연필향나무,인센스시더(insense cebar),주목,오리나무,일본피나무,젤루통(jelutong) |
제도판 |
편백,일본목련,계수나무,단풍나무 등 |
자 |
벚나무,회양목류,편백,계수나무,단풍나무 등 |
주판 |
자단(rosewood),흑단(ebony),서어나무,적층재 등 |
흑판 |
삼나무,소나무류 등 |
도장 |
회양목류,계수나무,일본목련 등 |
일용품용재 |
신발 |
나막신-삼나무,편백,참오동나무,음나무,굴피나무 등
샌들(sandal)-소나무류,편백 등
하이힐(highheel)-일본목련,계수나무,너도밤나무,적층재 등
구두형틀-물푸레나무,단풍나무 등 |
성냥 |
황철나무,일본피나무,굴피나무 |
사진액자의테 |
라왕(lauan),계수나무,일본목련,단풍나무,벚나무 등 |
화로 |
라왕(lauan),너도밤나무,일본목련,편백 등 |
양복걸이 |
너도밤나무,참나무류,음나무 등 |
인형 |
단풍나무,층층나무,일본목련 등 |
목용통 |
금송,편백,나한백,화백 등 |
칠기용 |
바리-칠엽수,단풍나무,너도밤나무,벚나무,느티나무 등
휨가공품-가문비나무,편백,삼나무,혼도가문비나무 등
판상품-편백,화백,나한백,일본목련,계수나무 등 |
목관 |
젓나무,편백 등 |
목각 장식품 |
계수나무,벚나무,일본피나무,편백,섬잦나무,녹나무 등 |
부엌용품 |
도마-편백,젓나무,계수나무 등
주걱-너도밤나무,일본목련,편백 등
절구공이-아키다 삼나무
나무젓가락-삼나무,소나무류,편백,나한백 등
생선묵 판-젓나무,가문비나무,수입 가문비나무,(spruce) 등 |
산업용재 |
방적용 복관 |
너도밤나무,자작나무,벚나무,단풍나무 등 |
방적기 |
붉가시나무,새우나무,계수나무,젓나무,솔송나무 등 |
형틀 |
섬잣나무,편백,일본목련,삼나무 등 |
자루 |
붉가시나무,메밀잣밤나무,푸조나무,참나무류 등 |
농기구 |
붉가시나무,음나무,참나무류,라왕(lauan) 등 |
도르래,톱니바퀴 |
느티나무,붉가시나무,적층재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