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덤프 에러에 의한 블루스크린 해결방법
-윈도 2000 에서부터 XP에 오면서, MS에서는 ACPI 라는 전원 관리 기술을 채택했다. ACPI 에서는 표준PC와는 달리 VGA, 랜카드, 사운드카드 등의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IRQ 로 공유하여 관리하게 되는데 이것이 서버급 컴퓨터가 아닌 일반 PC 유저들에게는 사실 필요도 없고, 오히려 게임이나 멀티작업을 많이 하는 데에 있어서 동시에 많은 디바이스를 호출하다 IRQ 충돌이나 메모리 덤프가 날 확률이 크다. (표준 PC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각각의 IRQ를 할당한다.)
- 메모리 덤프란 ?
메모리 덤프는 시스템 메모리의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고 그 사이즈는 RAM사이즈에 맞먹습니다.
- 덤프란?
프로그램의 오류 수정이나 데이터의 검사를 위해 기억 장치나 파일 내용의 전체 또는 일부를 행 인쇄기에 출력(copy)하는 것. 종류로는 자기 코어의 내용을 추출하는 코어 덤프, 자기 테이프의 내용을 추출하는 테이프 덤프 등이 있다.
- 질문을 통한 전문가의 답변.
운영체제의 시스템메모리와 어플리케이션메모리를 물리적인 메모리(RAM)으로만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새로 열린 어플리케이션 플로세스를 물리메모리에 올리고 이전에 메모리에 올렸던 어플리케션정보를 하드디스크로 내립니다. 즉 일반적으로 가상메모리/캐시멤모리/스왑메모리/메모리덤프 라고 합니다. 윈도 2000에서는 비정상 종료시 메모리의 범주 및 구분을 두어서 하드디스크에 저장을 하고 나중에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것이 메모리덤프라고 하네요. 더 자세한 내용은 웹에 많을 겁니다.
- 해결방법 1
반복적인 메모리 덤프 에러의 원인
1. 90%이상은 실제로 메인보드나 CPU, 램의 에러에서 기인합니다.
2. 소프트웨어에서 기인하는 경우는 그 소프트웨어가 시스템의 과도하고 정밀한
성능을 요구하는 경우나 링 0 영역을 건들다 오류가 난 경우입니다.
3. 서비스vor이 설치 안된 경우 중 특정 소프트웨어의 문제
- 해결 방법
하드웨어의 손상이나 관련드라이버의 손상 점검, 검증된 수리도구 이용 권장
- 프로그램이 안지워질 경우에는(피지컬 메모리 덤프의 경우)
1. 하드웨어 점검을 마친 후 다시 시도 또는 지워봅니다.
2. 다시 그 프로그램을 설치한후 지웁니다.
3. 마지막 성공한 부팅으로 부팅하시고 다시 설치합니다.
4, 레지스트리의 찾기로 관련항목을 수동으로 찾아지우고 다시 설치후 지우거나 작동
합니다.
피지컬 메모리 덤프가 나면서 재부팅하는 것을 막으려면 내컴퓨터에서 우측클릭 > 고급 > 시작및복구에서 > 시스템 실패 자동으로 시스템 재부팅 항목의 체크를 지워준다.
- 해결방법 2
문> 메모리 덤프에 대해서
답> 메모리 부족 때문은 절대 아닙니다. 덤프한 코드를 잘 살펴보신 후, 마이크로소프트사 사이트에 있는 Knowledge-Based support 에서 에러코드를 찾아보세요. 거기에 나온 대로 대처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www.microsoft.com/kb/default.asp 로 접속을 하셔서 에러코드 분석을 해보세요.
- 해결방법 3
잦은 메모리 덤프 발생시..
특별하게 설치한 소프트웨어도 없고 하드웨어상에도 문제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컴퓨터 사용중에 Windows2000의 블루스크린(메모리덤프) 이 자주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경우 대부분 OS 를 다시 설치 하게 되는데 재 설치전 해볼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내컴퓨터] → [등록정보] → [시작및복구] → [디버깅정보쓰기]
이곳에서 "전체메모리덤프라고 되어 있는 것을 "작은 메모리 덤프(64KB)"변경 하시면 대부분의 경우 해결 하실수 있습니다..
- 해결방법 4
블루스크린 에러가 발생하면....
먼저, 에러 원인을 파악하세요
1. 메모리 페리티 에러발생시에는 (VIA 보드에서 자주발생되는것으로 압니다) 메모리 슬롯
을 변경해 봅니다.
2. 메모리 물리적 덤프 에러가 발생하면....대부분 가상메모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랍니다.
시스템 등록정보에서 가상메모리를 기본메모리에 2배정도로 잡아주세요... 256MB라면
512MB정도로..
3. 그래도 해결이 안되면, 하드웨어 호환성 테스트를 해 보셔야 합니다.
*Win2000 관련하여 VIA 보드의 경우는 될 수 있으면 초기 윈도우 설치 시에 4in1 최상버전을 설치해 준 후 그래픽카드를 다시 잡아주시면 효과적이라 합니다.
또, 기타 부품들에 대하여 정식 w2k 용 드라이버를 다운받아 설치해 주는게 좋습니다.
4. 이벤트 로그 저장을 2~3일 정도로 낮추는 방법도 메모리 덤프를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 해결방법 5
메모리 덤프를 해결한 방법은 단지 가상메모리를 2배로 늘려줌으로써 해결하였습니다.
참고사항) 에러발생시 나오는 메모리 번지를 기록해 두셨다가 마이크로소프트 홈에 접속하시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메모리 덤프를 해결할려면 전에 이야기 했듯이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하는 것 같습니다.
각자의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하지만, 정리해보면 방법은 정해져 있는 것 같습니다.
1. 가상메모리를 조절해준다. 1.5배~2배 정도.
2. 메모리 덤프를 사용하지 않는다. 디버깅정보쓰기에 없음으로 해주면 됩니다.
3. 윈도우를 표준PC로 해서 IRQ의 공유를 좀 더 원할히 해서 윈도우나 각 프로그램, 시스템에 부담감을 덜어준다.
4. 자신의 시스템을 다시 점검해본다. 램이나 보드(CMOS쪽)를 살펴본다.
5. VGA와 보드패치를 새로깔아본다. => 연관이 없는 얘기같지만 일종의 장치와 메인보드간의 호환성문제로 에러가 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 정도로 정리가 될 것 같습니다. 참고해서 문제를 해결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참, 제가 어제 윈도우를 2~3번깔면서 위에 것을 참고하면서 테스트를 해봤는데
표준PC로 깔아 IRQ를 여유롭게 해주고 테스트를 하니까 메모리 덤프에러는 안 뜬데 블루스크린은 떴습니다. VGA 드라이버를 새로 잡던지.. 다른 조치를 취하라는 메세지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아예 메모리 덤프 사용을 안함으로 맞춰놨는데 위에 에러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http://fox1.bestrok.pe.kr/ 에 가시면 참고되는 것들이 좀 있습니다.
내용출처 : http://fox1.bestrok.pe.kr/
>매번 그런건 아니고 3번중에 1번정도 윈도우를 종료하면 정상적으로 종료가 되지 않고 블루스크린이 뜸니다....
>
>블루스크린 내용은...
>
>stop : 0x000000D1 (0Xf98AD867, OX00000002, 0X00000000, 0XF98AD867)
>
>NDIS.SYS-ADDERSS F98AD867